[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7837Y1 -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고장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고장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837Y1
KR200247837Y1 KR2020010019054U KR20010019054U KR200247837Y1 KR 200247837 Y1 KR200247837 Y1 KR 200247837Y1 KR 2020010019054 U KR2020010019054 U KR 2020010019054U KR 20010019054 U KR20010019054 U KR 20010019054U KR 200247837 Y1 KR200247837 Y1 KR 200247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ignal
data
control unit
obsta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근식
Original Assignee
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9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8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83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 고장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출입문에 장애물이 끼었을 경우나 각 도어엔진의 고장 시에 이를 감지해 출입문 작동 상태 감지 신호를 생성시켜 주는 다수개의 장애물 감지부(100-1∼100-n); 상태 확인 호출 신호, 열림 신호 또는 닫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각 장애물 감지부(100-1∼100-n)를 제어하며, 상기 각 장애물 감지부(100-1∼100-n)로부터 인가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해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생성시켜 주며, 장애물 감지 시에 출입문 엔진을 제어하여 기설정된 재열림 반복 회수와 재열림 시간에 따라 출입문의 자동 재열림을 수행함과 아울러 바이패스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출입문 제어부(200-1∼200-n); 상태 확인 호출 신호를 전송받아 고유 ID를 확인하여 자신의 고유 ID와 동일한 경우에 해당 상태 확인 호출 신호를 상기 각 출입문 제어부(200-1∼200-n)에 인가하고, 열림 신호 또는 닫힘 신호를 상기 각 출입문 제어부(200-1∼200-n)에 인가하며, 상기 각 출입문 제어부(200-1∼200-n)로부터 인가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수개의 데이터 송수신부(300-1∼300-n); 고유 ID를 포함하는 상태 확인 호출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부(300-1∼300-n)에 전송하고, 출입문의 열림 동작 수행 시에 열림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부(300-1∼300-n)에 전송함과 아울러 출입문의 닫힘 동작 수행 시에 닫힘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부(300-1∼300-n)에 전송하며,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부(300-1∼300-n)로부터 전송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변환시켜 출입문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앙통제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 고장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 고장감지장치{APPARATUS FOR FAULTS SENSING OF INTERLOCK SWITCH AND CONTROLLING FOR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ENGINE OF A RAILWAY VEHICLE}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 고장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문의 열림, 닫힘 및 재열림 시에 각각의 출입문에서 제어가 가능하고 장애물 감지 시에 자동 재열림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각각의 도어엔진의 각종 정보 및 출입문 상태를 운전실에 전송하도록 한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 고장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 출입문 엔진(Engine)의 구성은 대소 두 개의 실린더(Cylinder)와 전자변(Magnet Valve), 로울러(Roller), 벨트(Belt)와 랙(Rack), 인터록 스위치(Interlock Switch), 피스톤 로드(Load)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해당 구성의 도면은 생략한다.
그리고, 전동차 출입문의 제어부는 차량 종합 제어장치(예로, TGIS, TIS 등)의 방식을 사용하여 해당 전동차에 대한 각종 정보를 모니터링 하도록 하고 있으나, 승객의 안전과 직결된 출입문에 대한 정보가 개별 인식되지 않으므로 해당 종합 제어장치 방식은 무의미한 상태와 다름없다.
한편, 종래 철도차량 출입문의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에 의한 열림 또는 닫힘 기능과 재열림 기능만을 갖춘 안전성이 결여된 시스템인데, 즉 출입문의 개폐 기능 외에 특별한 안전 장치 없이 운행되어 이에 따른 승객의 안전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운영자의 검수 불편함과 많은 정비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해당 재열림 기능도 각각의 출입문에서 제어되는 상태를 모니터링하지 않은 채, 루프(Loop) 방식으로 연결된 인터록 스위치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에 램프(Lamp) 또는 신호음으로 장애 감지 여부를 운전자로 하여금 확인하도록 한 후에 운전자가 재열림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모든 출입문이 다시 열리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이것은 출입문이 닫히는 경우의 위치 여부에 상관없이 차량 종합 제어장치에 세팅(Setting)된 시간 내에서는 장애 감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방식일 뿐만 아니라 도어엔진의 열림 및 닫힘은 운전자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실린더의 힘에 의한 단순 작용으로, 출입문 닫힘시 승객이 출입문 사이에 끼게되면 운전자의 재열림 신호에 의해 출입문은 다시 열리게 되나 운전자가 인식을 못하거나, 늦게 함으로 인해서 승객이 입는 타격은 상당히 크며, 노약자나 어린이에게는 큰 충격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철도차량 출입문의 개폐 동작이 잘못되어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몇 번째 차량의 출입문이 고장이라는 표시만 운전실에 전달되므로, 해당 고장난 출입문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철도차량 도어엔진의 각종 정보 및 출입문 상태를 운전실에서 전송함과 동시에 장애물 감지와 장애 감지 시에 각각의 출입문을 자동으로 재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출입문 제어 시스템의 유지 보수의 편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출입문 장애 발생 시에 알람 발생으로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고 무인 운전 시에 출입문 제어 시스템의 정보 전송으로 안전 사고를 방지하며, 운전실에서 출입문의 상태를 감지하고 출입문의 위치별 제어로 항상 안전한 시스템을 유지하며, 장애가 발생한 출입문의 위치 및 장애 원인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 고장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애물에 대한 대응 및 시스템 자체의 문제 발생 시에 바이패스(By-pass) 기능을 수행하여 종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모드로 변경하여 운용함과 아울러 운전자실로 고장상태를 전송함으로써, 출입문 제어 시스템의 중단 없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 고장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 고장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 고장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1 ~ 100-n : 장애물 감지부
200-1 ~ 200-n : 출입문 제어부(Door Control Unit)
300-1 ~ 300-m : 데이터 송수신부
400 : 중앙통제부 410 : 데이터 송수신부
420 : 데이터 변환부 430 : 디스플레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의 고장감지장치는 각 출입문에 장애물이 끼었을 경우나 각 출입문 엔진의 고장 시에 이를 감지해 출입문 작동 상태 감지 신호를 생성시켜 주는 다수 개의 장애물 감지부; 상태 확인 호출 신호, 열림 신호 또는 닫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각 장애물 감지부를 제어하며, 상기 각 장애물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해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생성시켜주며, 장애물 감지 시에 도어엔진을 제어하여 기설정된 재열림 반복 회수와 재열림 시간에 따라 출입문의 자동 재열림을 수행함과 아울러 바이패스 동작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출입문 제어부; 상태 확인 호출 신호를 전송받아 고유 ID를 확인하여 자신의 고유 ID와 동일한 경우에 해당 상태 확인 호출 신호를 상기 각 출입문 제어부에 인가하며, 상기 각 출입문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수개의 데이터 송수신부와; 고유 ID를 포함하는 상태 확인 호출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부에 전송함과 아울러 출입문의 열림 또는 닫힘동작 수행 시에 열림 또는 닫힘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부에 전송하며,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변환시켜 출입문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앙통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의 고장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로서, 각 차량의 각 출입문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장애물 감지부(100-1 ~ 100-n); 각 차량의 각 출입문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 각 차량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 운전실에 설치되는 중앙통제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100-1 ~ 100-n)는 공압식 출입문 엔진과 일체형으로 제작된 출입문에 장애물 감지 센서를 구비시켜 주는데, 상기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의 제어에 따라 해당 장애물 감지센서의 동작을 수행시켜 승객이 출입문에 끼었을 경우나 출입문 엔진 고장 시에 이를 감지하며, 출입문 작동 상태 감지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로 전달해 준다.
여기서, 해당 장애물 감지센서에는 광 차단에 의한 신호 발생형의 포토 센서(Photo Sensor), 중공 루버(Rubber)의 압력 변화에 의한 신호 발생형의 제 1압력 서, 루버 극접점에 의한 신호 발생형의 제 2압력센서, 출입문 엔진 실린더의 배기 압력 변화에 의한 신호 발생형의 제 3압력센서 등을 사용하는데, 이 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여 장애물 감지나 출입문 엔진의 고장을 감지한다.
해당 포토 센서는 포토 발신부, 포토 수신부 및 신호 발생부로 이루어지며, 해당 포토 발신부에서 광(예, 적외선)을 발생시켜 송출하며, 해당 포토 수신부에서 해당 포토 발신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검출하는데, 이때 광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장애물이 있음을 감지하여 해당 신호 발생부로 알리며, 이에 해당 신호 발생부에서 장애물 감지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로 전달해 준다.
해당 제 1압력센서는 중공 루버 내에 플러스 전도체 박판과 마이너스 전도체 박판을 설치시켜 중공 루버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해당 센서 박판이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장매물을 감지했음을 통보하기 위한 기준 압력을 설정하도록 하는 압력 설정용 게이지와, 해당 압력 설정용 게이지에 설정된 기준 압력 이상일 경우에 장애물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해당 중공 루버에 장애물이 부딪치게 되는 경우에 해당 중공 루버의 단면적이 변화되어 해당 중공 루버의 압력 변화가 일어나 해당 센서 박판을 움직이므로, 기준 압력 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장애물로 인식하여 해당 압력으로 해당 리미트 스위치를 동작시키며, 해당 리미트 스위치에서 장애물 감지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으로 전달해 준다. 이때, 해당 제 1압력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출입문 루버의 압력을 확인하므로 민감한 동작이 가능하며, 장애 감지를 위한 기준 압력의 설정이 가능하며, 기계식 접점을 사용하므로 진동이나 외부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출입문의 닫힘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해당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전원 공급은 중단되어진다.
해당 제 2압력센서는 중공 루버에 공압 연결관을 연결시켜 중공 루버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해당 공압 연결관의 내부 접점이 붙도록 구성되며, 장애물을 감지했음을 통보하기 위한 기준 압력을 설정하도록 하는 압력 설정용 게이지와, 해당 압력 설정용 게이지에 설정된 기준 압력 이상일 경우에 장애물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해당 중공 루버에 장애물이 부딪치게 되는 경우에 해당 중공 루버의 형상이 변화되어 해당 중공 루버에 연결된 공압 연결관을 밀어 내부 접점을 붙게 함으로써, 기준 압력 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장애물로 인식하여 해당 압력으로 해당 리미트 스위치를 동작시키며, 해당 리미트 스위치에서 장애물 감지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로 전달해 준다. 이때, 해당 제 2압력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해당 제 1압력센서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장점이 있다.
해당 제 3압력센서는 출입문 엔진 실린더의 배기관에 연결시켜 출입문 엔진 실린더의 배기 압력 변화를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장매물을 감지했음을 통보하기 위한 기준 압력을 설정하도록 하는 압력 설정용 게이지와, 해당 압력 설정용 게이지에 설정된 기준 압력 이상일 경우에 장애물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출입문 엔진 실린더가 닫힘 동작을 수행하고 있을 시에는 배기되는 압력은 일정하게 되나, 해당 중공 루버에 장애물이 부딪치게 되는 경우에 출입문 엔진 실린더의 스트로크에 부하가 발생하게 되어 공급 압력은 상승하게 되고 배기 압력은 감소하게 되므로, 기준 압력 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장애물로 인식하여 해당 압력 차로 해당 리미트 스위치를 동작시키며, 해당 리미트 스위치에서 장애물 감지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로 전달해 준다. 이때, 해당 제 3압력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해당 제 1압력센서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장점이 있다.
상기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는 출입문의 개폐에 있어 안전한 구동을 위한 구성으로, 출입문 엔진의 작동 유무를 감시하여 정비 및 이상 유무의 확인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와 양방향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데, 출입문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주제어부와, 해당 주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확인하는 보조제어부와, 데이터의 입출력 수행하는 입출력부와,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1 ~300-m)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가되는 상태 확인 호출 신호, 열림 신호 또는 닫힘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장애물 감지부(100-1 ~ 100-n)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장애물 감지부(100-1 ~ 100-n)로부터 인가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에 전달함과 동시에, 승객의 안전을 고려하여 장애물 감지에 의해 출입문의 자동 재열림을 제어하도록 한다. 즉, 상기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는 프로그램 타이머(Program Timer)에 의한 재열림 반복 회수와 해당 재열림 반복 회수에 대응하는 재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하도록 하며,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라면 출입문 엔진을 제어하여 해당 재열림 반복 회수와 재열림 시간에 따라 출입문의 재열림 및 닫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의 인터록스위치 고장 발생 시에 출입문의 개폐를 위한 바이패스 기능을 수행하여 종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모드로 변경하여 운용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는 상기 중앙통제부(400)로부터 상태 확인 호출 신호를 전송받아 고유 ID를 확인하며, 자신의 고유 ID와 동일하지 않으면 응답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데이터의 혼선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자신의 고유 ID와 동일하면 해당 상태 확인 호출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에 인가하여 응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중앙통제부(400)로부터 전송되는 열림 신호 또는 닫힘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에 인가해주며, 상기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로부터 인가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무선으로 상기 중앙통제부(40)에 전송해 출입문의 상태를 운전실에서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와 상기 중앙통제부(40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들의 혼선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각 모뎀에 고유 ID를 부여하며, 데이터의 송수신 시에 전용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방해 전파에 강하도록 하며, 해당 고유 ID는 차량 번호로 설정해야 오동작의 발생을 막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차량 ID가 중복된 차량이 정차 중일 경우에 차량을 호출할 때에 다른 차량이 응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해당 상태 확인 호출 신호는 차량의 고유 ID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는 고유 ID 및 각 출입문의 상태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모뎀은 RF 모뎀을 사용하여 잡음 및 외란에 강하도록 한다.
상기 중앙통제부(400)는 출입문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 확인 호출 신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에 전송하고, 운전실의 열림 스위치에 의해 출입문 엔진에 전원이 공급되어 출입문의 열림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에 열림 신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에 전송하며, 운전실의 닫힘 스위치에 의해 출입문 엔진에 전원이 공급되어 출입문의 닫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에 닫힘 신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에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로부터 전송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변환시켜 출입문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해 준다.
또한, 상기 중앙통제부(400)는 운전실에 설치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410)와, 디스플레이 해주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420)와, 출입문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출입문 자동제어방법을 도 2의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 출입문에 장애물이 끼었을 경우에 출입문의 재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타이머에 의한 재열림 반복 회수와 해당 재열림 반복 회수에 대응하는 재열림 시간을 미리 설정해 두며, 차량 출입문에 장애물이 끼었음을 감지하기 위하여 압력 설정용 게이지를 통해 기준 압력을 설정해 두는 등의 시스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S10).
이에, 운전실의 열림 스위치에 의해 출입문 엔진에 전원이 공급되어 출입문의 열림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중앙통제부(400)에서는 열림 신호를 생성시켜 각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에 전송해 준다.
또한, 운전실의 닫힘 스위치에 의해 출입문 엔진에 전원이 공급되어 출입문의 닫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상기 중앙통제부(400)에서는 닫힘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에 전송해 준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의 차량 출입문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중앙통제부(400)에 출입문의 작동 상태 확인을 요청하면, 상기 중앙통제부(400)에서는 호출할 차량의 고유 ID를 하나씩 증가시키면서 해당 차량의 고유 ID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 확인 호출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에 전송해 준다(단계 S20).
그러면,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는 상기 중앙통제부(400)로부터 전송되는 수신 데이터를 확인하는데(S30), 이때 해당 제 30단계(S30)에서 수신 데이터가 열림 신호 또는 닫힘 신호인 경우에 열림 신호 또는 닫힘 신호를 임시 저장함과 동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에 인가해준다(S40).
반면에, 해당 제 30단계(S30)에서 수신 데이터가 상태 확인 호출 신호인 경우에는 해당 상태 확인 호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ID를 확인하는데(S50), 이때 해당 확인한 고유 ID가 자신의 고유 ID와 동일하지 않으면 응답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데이터의 혼선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해당 확인한 고유 ID가 자신의 고유 ID와 동일하면 해당 상태 확인 호출 신호를 임시 저장함과 동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에 인가해 준다(S60).
이에 따라, 상기 각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는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 부(300-1 ~ 300-m)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가되는 상태 확인 호출 신호, 열림 신호 또는 닫힘 신호를 확인하는데, 이에 각 장애물 감지부(100-1 ~ 100-n)를 제어하여 출입문 상태 감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해준다(S70).
그러면, 상기 각 장애물 감지부(100-1 ~ 100-n)는 상기 각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의 제어에 따라 장애물 감지센서의 동작을 수행시켜 승객이 출입문에 끼었을 경우나 출입문 엔진 고장 시에 이를 감지하며, 출입문 작동 상태 감지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로 전달해준다(S80). 여기서, 해당 장애물 감지센서에는 포토 센서, 제 1압력센서, 제 2압력센서, 제 3압력센서 등이 있다.
이에, 상기 각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는 상기 장애물 감지부(100-1 ~ 100-n)로부터 인가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인지를 확인하며(S90), 이때 승객의 안전을 고려하여 장애물 감지에 의해 출입문의 자동 재열림을 제어하도록 하는데, 즉 상기 제 90단계(S90)에서 출입문 작동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한 결과로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라면, 출입문 엔진을 제어하여 기설정된 재열림 반복 회수와 재열림 시간에 따라 출입문의 재열림 및 닫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S100).
예를 들어, 기설정된 재열림 반복 회수가 3회이고 이에 대응하는 재열림 시간이 각 5초, 3초, 1초라고 한다면, 먼저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에 출입문 엔진을 제어하여 출입문의 재열림 동작을 수행하고 5초 후에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두 번째로 장애물이 다시 감지되는지를 확인하여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닫힘 동작을 계속 수행하도록 하고 반면에 다시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에는 출입문의 재열림 동작을 수행하고 3초 후에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세 번째로 장애물이 다시 감지되는지를 확인하여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닫힘 동작을 계속 수행하도록 하고 반면에 다시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에는 출입문의 재열림 동작을 수행하고 1초 후에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런 후에도 다시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에는 출입문의 인터록스위치의 고장에 따른 강제개폐를 위한 바이패스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에러를 통보하기 위한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에 전달해준다.
그리고, 상기 각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는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생성시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에 전달해준다(S110).
이에,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는 상기 각 출입문 제어부(200-1 ~ 200-n)로부터 인가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수신받아 정렬한 후에 고유 ID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중앙통제부(400)로 전송할 송신 데이터로 변환시켜 주는데(S120), 이때 해당 변환시켜 송신 데이터와 상기 제 30단계(S30) 또는 제 50단계(S50)에서 저장한 수신 데이터를 비교하여 송수신 에러를 확인한다(S130).
이 때, 상기 제 130단계(S130)에서 송수신 에러가 없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는 변환시켜 송신 데이터를 상기 중앙통제부(400)로 전송하게 되며(S140), 이에 상기 중앙통제부(400)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300-1 ~ 300-m)로부터 전송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차례로 수신받아 분석한 후에 데이터 변환부(410)와 디스플레이부(420)를 제어하여 출입문 상태를 디스플레이해준다(S150).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해 철도차량 출입문 엔진의 각종 정보 및 출입문 상태를 무선 또는 유선 데이터 통신에 의하여 운전실에서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출입문의 열림, 닫힘 및 재열림 시에 각각의 출입문에서 제어가 가능하고 장애물 감지 시에 자동 재열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출입문 제어 시스템의 유지 보수의 편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출입문 장애 발생 시에 알람 발생으로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고 무인 운전 시에 출입문 제어 시스템의 정보 전송으로 안전 사고를 방지하며, 운전실에서 출입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출입문의 위치별 제어로 항상 안전한 시스템을 유지하며, 장애가 발생한 출입문의 위치 및 장애 원인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해 장애물에 대한 대응 및 인터록스위치의 고장 발생 시에 바이패스 기능을 수행하여 종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모드로 변경하여 운용함으로써, 출입문 제어 시스템의 중단 없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각 출입문에 장애물이 끼었을 경우나 각 출입문 엔진의 고장 시에 이를 감지해 출입문 작동 상태 감지 신호를 생성시켜 주는 다수개의 장애물 감지부(100-1∼100-n);
    상태 확인 호출 신호, 열림 신호 또는 닫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각 장애물 감지부(100-1∼100-n)를 제어하며, 상기 각 장애물 감지부(100-1∼100-n)로부터 인가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감지 신호를 분석해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생성시켜 주며, 장애물 감지 시에 출입문 엔진을 제어하여 기설정된 재열림 반복 회수와 재열림 시간에 따라 출입문의 자동 재열림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출입문 제어부(200-1∼200-n);
    상태 확인 호출 신호를 전송받아 고유 ID를 확인하여 자신의 고유 ID와 동일한 경우에 해당 상태 확인 호출 신호를 상기 각 출입문 제어부(200-1∼200-n)에 인가하고, 열림 신호 또는 닫힘 신호를 상기 각 출입문 제어부(200-1∼200-n)에 인가하며, 상기 각 출입문 제어부(200-1∼200-n)로부터 인가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수개의 데이터 송수신부(300-1∼300-n);
    고유 ID를 포함하는 상태 확인 호출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부(300-1∼300-n)에 전송하고, 출입문의 열림 동작 수행 시에 열림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부(300-1∼300-n)에 전송함과 아울러 출입문의 닫힘 동작 수행 시에 닫힘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부(300-1∼300-n)에 전송하며, 상기 각 데이터 송수신부(300-1∼300-n)로부터 전송되는 출입문 작동 상태 데이터를 변환시켜 출입문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앙통제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 고장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제어부(200-1∼200-n)는 인터록스위치의 고장 발생 시 바이패스 기능을 수행하여 종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모드로 변경시켜 운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 고장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제부(400)는 운전실에 설치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410);
    디스플레이 해주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420);
    출입문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 고장감지장치.
KR2020010019054U 2001-06-25 2001-06-25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고장감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47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54U KR200247837Y1 (ko) 2001-06-25 2001-06-25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고장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54U KR200247837Y1 (ko) 2001-06-25 2001-06-25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고장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837Y1 true KR200247837Y1 (ko) 2001-10-26

Family

ID=7310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05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7837Y1 (ko) 2001-06-25 2001-06-25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고장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8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501B1 (ko) * 2007-06-20 2009-05-08 주식회사 한터기술 Psd 제어 시스템
KR101199410B1 (ko) 2010-09-14 2012-1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501B1 (ko) * 2007-06-20 2009-05-08 주식회사 한터기술 Psd 제어 시스템
KR101199410B1 (ko) 2010-09-14 2012-1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문 안전 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5768B1 (en) Automatic door safety system with multiple safety modes
US6550585B2 (en) Hoistway intrusion detection
US91206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functionality of an automatic door system
EP0803632B1 (en) Door sensor with self-diagnosing function
JP2005502567A (ja) エレベータドア用安全回路
CA2487470C (en) Elevator installa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JP2018188273A (ja) エレベーター点検装置
KR100761023B1 (ko) 지하철 승강장 스크린도어에 구비된 안전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N105668374A (zh) 一种电梯故障安全逃生系统
KR20230156428A (ko) 차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
KR102295461B1 (ko) 열차의 안전루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H10265154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
KR101100865B1 (ko) Psd 제어를 위한 dcu 운용 시스템
KR200247837Y1 (ko) 철도차량의 도어엔진 개별개폐제어 및 인터록스위치고장감지장치
JP538081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US20040095240A1 (en) Detecting device applied to a vehicle door
US20140347162A1 (en) Automatic door system having a security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id system
CN107618958B (zh) 电梯困人自动报警装置及方法
KR101944068B1 (ko) 승강장안전문 이중화 동작감시시스템
KR101856866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광학 안전 센서 진단 시스템
KR200242196Y1 (ko) 철도차량 출입문 제어 장치
KR20080001212U (ko) 전동차량의 도어 장애물 감지장치
KR19990046470A (ko) 엘리베이터원격감시및제어시스템
KR101006973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020088830A (ko) 철도차량 출입문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St.27 status event code: A-5-4-M10-M11-oth-UT07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0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409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U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91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