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7262Y1 -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 Google Patents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262Y1
KR200247262Y1 KR2020010018618U KR20010018618U KR200247262Y1 KR 200247262 Y1 KR200247262 Y1 KR 200247262Y1 KR 2020010018618 U KR2020010018618 U KR 2020010018618U KR 20010018618 U KR20010018618 U KR 20010018618U KR 200247262 Y1 KR200247262 Y1 KR 200247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board
text
frame
advertisement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의선
Original Assignee
안의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의선 filed Critical 안의선
Priority to KR2020010018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26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화면창에 복수의 광고화면이 나타나도록 함과 아울러, 구성요소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은,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기구(3)와,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화면창(2)과, 상기 화면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조명기구의 작동에 따라 다른 광고문안이 표시되는 다중 디스플레이수단(10)으로 구성된다. 다중 디스플레이수단(10)은, 복수의 광투과홀(21)이 천공되며 그 표면에는 제1광고문안(22)이 인쇄된 불투명재질의 제1광고판(20)과, 상기 제1광고판의 후방에 배치되며 그 표면에 투명의 제2광고문안(31)이 인쇄된 투명의 제2광고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하여, 주간에는 제1광고문안(22)이 디스플레이되고, 조명기구(3)가 켜지는 야간에는 제2광고문안(31)이 보이게 된다.

Description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MULTI DISPLAY TYPE SIGNBOARD}
본 고안은 광고간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화면창으로 주야에 각기 다른 광고문안이 교대로 나타나도록 함과 아울러, 구성요소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간판은 상점 등에서 업소명이나, 취급제품명 등을 광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그 구조나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며, 또한 설치방법에 따라 입간판, 벽간판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광고간판의 구조는, 벽간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벽에 부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화면창과, 상기 화면창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광고문안이 그려진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내부에 형광등과 같은 조명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기구가 갖추어진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은 광투과성이 좋은 얇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광고간판은 사람들의 눈에 쉽게 띄는 곳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그려진 광고문안이 사람들에게 시각을 통해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조명기구가 갖추어진 경우에는 야간에도 상기 조명기구의 발광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기된 광고문안이 선명히 드러남으로써 광고효과가 유지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화면창을 열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교체 설치함으로써 여러 가지 광고문안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일반적인 광고간판은 광고문안을 바꾸기 위하여 일일이 화면창을 열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교체하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비용도 많이 든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하나의 화면창으로 복수의 광고문안을 나타낼 수 있는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을 국내 특허출원 제99-5353호로 제안한 바 있다.
선출원한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화면창(2)과,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설치되는 형광등과 같은 조명기구(3)와, 상기 화면창(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명기구(3)의 작동에 따라 각기 다른 광고문안이 표시되는 다중 디스플레이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수단(4)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광투과홀(5a)이 구비되며 광고문이 그려진 불투명의 광차단막(5)과, 상기 광차단막(5)의 일측면에 접착되는 광투과성의 배경막(6)과, 상기 배경막(6)의 후방에 배치되며 광차단막(5)에 그려진 광고문안과 다른 광고문안이 그려진 광투과성의 광고문안막(7)과, 광차단막(5)의 전방과 광고문안막(7)의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투명의 보호막(8)(9)으로 구성된다.
선출원된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의 작용을 간략히 설명하면, 태양광 등의 외부광원의 일부는 광차단막(5)에 의해 반사되며, 나머지 일부는 광투과홀(5a)을 통하여 배경막(6) 및 광고문안막(7)을 통과하여 프레임(1)의 내부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조명기구(3)가 꺼진 상태에서는 빛을 반사하는 광차단막(5)에 그려진 광고문안이 화면창(2)을 통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외부광원보다 강한 내부광원이 조명기구(4)에 의해 발생되면, 내부광원이 광고문안막(7)과 배경막(6)을 통과한 후 일부는 광차단막(5)에 의해 반사되고, 나머지는 광차단막(5)의 광투과홀(5a)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어 광고문안막(7)의 광고문안이 광차단막(5)의 광투과홀(5a)을 통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실질적으로는 광차단막(5)과 광고문안막(7)에 그려진 광고문안이 비슷한 면적비율로 나타난 상태이지만 사람은 상대적으로 밝은 빛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광차단막(5)의 광고문안보다 밝게 보이는 광고문안막(7)의 광고문안만을 화면창을 통해 보게 된다. 즉, 광차단막(5)의 광고문안이 사라지고 광고문안막(7)에 그려진 다른 광고문안이 화면창에 나타나는 결과가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출원된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에 의하면, 하나의 화면창(2)을 통해 복수의 광고문안이 나타나는 작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문안의 반복교체가 주야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광고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출원된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에 따르면, 광고문안이 그려진 광차단막(5)이 배경막(6)의 일면에 부착되어 각각의 부품(5)(6)을 제조 및 서로 접합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화면창에 여러 가지 광고문안이 주야로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광고효과가 증대되도록 함은 물론, 구성요소를 최소화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의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에 적용된 다중 디스플레이수단의 작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의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5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에 적용된 디스플레이수단의 작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에 적용된 디스플레이수단의 다른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수단의 다른 예에 따른 작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화면창
3 : 조명기구, 10 : 디스플레이수단
20 : 제1광고판, 21 : 광투과홀
22 : 제1광고문안, 30 : 제2광고판
31 : 제2광고문안, 40,41 : 보호막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면창;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명기구; 및 상기 화면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명기구의 작동에 따라 다른 광고문안이 표시되는 다중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수단은, 복수개의 광투과홀이 형성되며 표면에 제1광고문안이 인쇄된 불투과성재질의 제1광고판과; 그리고, 상기 제1광고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광고판의 제1광고문안과 다른 제2광고문안이 그려진 광투과성재질의 제2광고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면창;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명기구; 및, 상기 화면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명기구의 작동에 따라 다른 광고문안이 표시되는 다중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는 복수의 광투과부를 가지는 제1광고문안 및 복수의 광투과부를 가지는 배경이 인쇄된 제1광고판과; 그리고, 상기 제1광고판의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1광고판의 제1광고문안과 다른 제2광고문안이 그려진 광투과성재질의 제2광고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예 1 >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5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의 작용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외부광원에 의해 제1광고문안이 나타나는 것을 보인 것이며, 도 5a 및 도 5b는 내부광원에 의해 제2광고문안이 나타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한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은,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화면창(2)과, 상기 프레임(1)에 설치되는 조명기구(3)와, 상기 화면창(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명기구(3)의 작동에 따라 광고문안이 나타나는 다중 디스플레이수단(10)으로 구성된다.
이 디스플레이수단(10)은, 도 3과 도 4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광투과홀(21)이 형성되고 표면에 제1광고문안(22)(도 3에 도시됨)이 인쇄된 불투과성의 제1광고판(20)과, 상기 제1광고판(2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광고문안(22)과 다른 제2광고문안(31)(도 3에 도시됨)이 그려진 투과성의 제2광고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광고판(20)의 전방과 제2광고판(30)의 후방에는 투명재질의 보호막(40)(41)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광고판(20)의 복수의 광투과홀(21)은 막히지 않은 나머지 부분과의 전체적인 면적비율이 비슷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그 간격이 조밀하고 일정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광고판(20)의 표면에 인쇄되는 제1광고문안(22)은 제1광고판(20)에 천공된 광투과홀(21)에는 인쇄되지 않고 광투과홀(21)이 천공되지 않은 불투명부분에만 인쇄된다.
상기 제1광고판(20)이 프레임의 외측을 향하고 제2광고판(30)이 내측을 향하도록 화면창에 장착됨으로써 화면창을 닫을 경우 제1광고판(20)이 외부에 드러나게 된다.
조명기구(3)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예컨대,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는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와, 필요에 따라 조명등의 작동을 자동반복하여 온/오프시키는 자동제어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사용편의상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등은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온/오프될 뿐 아니라, 외부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의 작용 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 4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태양광 등의 외부광원은 전방의 제1보호막(40)을 통과한 후, 그 일부는 제1광고판(20)의 표면에 부딪쳐 반사되며, 나머지 일부는 광투과홀(21)을 통하여 그 안쪽으로 입사되어 투명의 제2광고판(30)과 제2보호막(41)을 통과한 후, 프레임의 내부에서 흡수되며, 조명등이 꺼진 상태에서는 도 4b에서와 같이 빛을 반사하는 제1광고판(20)에 그려진 제1광고문안(22)만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조명기구가 작동되어 외부광원보다 강한 내부광원이 조명등에서 조사되는 경우, 내부광원은 제2광고판(30)을 통과한 후, 그 중 일부는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광고판(20)에 의해 반사되고, 나머지는 제1광고판(20)의 광투과홀(21)을 통해 외부로 조사됨으로써 도 5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2광고문안(31)이 제1광고판(20)의 광투과홀(21)을 통하여 나타나게 된다. 이때, 실질적으로 제1,2광고판(20)(30)에 인쇄된 제1,2광고문안(22)(31)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난 상태이지만 사람은 상대적으로 밝은 빛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제1광고판(20)의 제1광고문안(22)보다 밝게 보이는 제2광고판(30)의 제2광고문안(31)을 보게 된다.
< 실시예 2 >
실시예 2는, 제1광고판만 실시예 1과 다르며, 나머지 모든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른 제1광고판(50)은, 실시예 1에 적용된 제1광고판(20)과 비교할 때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광투과홀이 형성되지 않고, 제1광고판(50)의 표면에 인쇄되는 인쇄층인 제1광고문안(51) 및 그배경(52)이 광투과홀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광투과부(51a)(52a)를 갖는다. 즉, 제1광고문안(51)과 그 배경(52)은 광차단의 광고문안부(51b) 및 광차단의 배경부(52b)와 이들(51b)(52b) 내부에 형성되는 광투과부(51a)(52a)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광차단의 광고문안부(51b), 광차단의 배경부(52b), 광투과부(51a)52a)는 점(點) 형태로 교대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광고판(50)의 표면에는 제1광고문안(51) 및 그 배경(52)이 전체적으로 불투명하게 인쇄되지만, 제1광고문안(51)과 그 배경(52)에 실시예1의 광투과홀과 같은 크기, 배열로 형성된 광투과부(51a)(52a)에 의해 조명기구에 의한 내부광원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실시예 2에 따르면, 도 7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외부광원의 일부는 제1광고문안(51)과 배경(52)의 광차단부(51b)(52b)에 의해 제1광고판(50)을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되며, 나머지 일부는 제1광고문안(51)과 그 배경(52)에 형성된 광투과부(51a)(52a)를 통해 제1광고판(50)을 통과하고, 제2광고판(30)을 통과한 후 프레임의 내부에서 흡수되어 제1광고판(50)의 제1광고문안(51)과 배경(52)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조명기구가 작동되어 외부광원보다 강한 내부광원이 조명기구에 의해 조사되면,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사되는 내부광원이 투명의 제2광고판(30)을 통과하고, 그 중 일부는 제1광고문안(51)과 그 배경(52)의 광차단부(51b)(52b)에 의해 반사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광고판(50)에 인쇄된 제1광고문안(51)과 그 배경(52)의 광투과부(51a)(52a)를 통해 외부로 조사됨으로써 화면창에는 제2광고판(30)의 제2광고문안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 1과 같이, 제1광고판(20)에 광투과홀(21)이 형성되거나 실시예 2와 같이 제1광고판(50)에 인쇄되는 제1광고문안(51)이 광투과부(51a)를 갖게 되어 제1광고판(20 또는 50)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광차단막을 부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성요소가 줄어든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에 의하면, 제1광고판의 구조 또는 제1광고판에 인쇄되는 제1광고문안의 인쇄방식에 의해 구성요소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조립작업이 줄어들어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프레임(1); 상기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면창(2);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명기구(3); 및, 상기 화면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명기구의 작동에 따라 다른 광고문안이 표시되는 다중 디스플레이수단(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에 있어서,
    상기 다중 디스플레이수단은, 복수개의 광투과홀(21)이 형성되며 그 표면에 제1광고문안(22)이 인쇄된 불투과성재질의 제1광고판(20)과; 그리고,
    상기 제1광고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광고판의 제1광고문안과 다른 제2광고문안(31)이 그려진 광투과성재질의 제2광고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2. 프레임(1); 상기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면창(2);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명기구(3); 및, 상기 화면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명기구의 작동에 따라 다른 광고문안이 표시되는 다중 디스플레이수단(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는 복수의 광투과부(51a)를 가지는 제1광고문안(51) 및 복수의 광투과부(52a)를 가지는 배경(52)이 인쇄된 제1광고판(50)과; 그리고,
    상기 제1광고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1광고판의 제1광고문안과 다른 제2광고문안(31)이 그려진 광투과성재질의 제2광고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KR2020010018618U 2001-06-21 2001-06-21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Expired - Lifetime KR200247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618U KR200247262Y1 (ko) 2001-06-21 2001-06-21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618U KR200247262Y1 (ko) 2001-06-21 2001-06-21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262Y1 true KR200247262Y1 (ko) 2001-10-17

Family

ID=7306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618U Expired - Lifetime KR200247262Y1 (ko) 2001-06-21 2001-06-21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2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52B1 (ko) 2010-05-14 2012-01-20 (주)한국킹유전자 주야 변환형 사인보드
KR101934232B1 (ko) * 2018-04-20 2019-04-05 안의선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52B1 (ko) 2010-05-14 2012-01-20 (주)한국킹유전자 주야 변환형 사인보드
KR101934232B1 (ko) * 2018-04-20 2019-04-05 안의선 다중식 디스플레이 광고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2248B1 (en) Thin internally illuminated sign
US5678334A (en) Lighted display board
US8375613B2 (en) Illuminated signboard with edge effect
EP1225555A2 (en) Backlit label with enhanced &#34;off&#34; state appearance
KR101039205B1 (ko) 광고용 led 간판
KR200233393Y1 (ko) 외부조명등이 구비된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GB2358513A (en) Lighting apparatus and illuminated signs
KR200247262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KR100631149B1 (ko) 후측광을 구비한 광고 간판
KR20060116478A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 간판
KR200357004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 간판
KR200299714Y1 (ko) 광고간판
KR100306364B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US3553869A (en) Illuminated sign
KR200249928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간판
KR200195635Y1 (ko) 다중 디스플레이 광고간판
KR100613595B1 (ko) 광고장치
KR100330313B1 (ko) 베리어를 이용한 2중 간판
KR200385064Y1 (ko) 후측광을 구비한 광고 간판
JP2003057629A (ja) 表示パネル装置
KR200312959Y1 (ko) 광투과부가 형성된 광확산필름과 이를 이용한 광고간판
KR200364225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 간판
EP1559084A1 (en) Illuminated indicia
JP2000276084A (ja) 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251659Y1 (ko) 광고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62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9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6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2032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2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