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5919Y1 - 교통 안전 표시구 - Google Patents

교통 안전 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919Y1
KR200245919Y1 KR2020010013526U KR20010013526U KR200245919Y1 KR 200245919 Y1 KR200245919 Y1 KR 200245919Y1 KR 2020010013526 U KR2020010013526 U KR 2020010013526U KR 20010013526 U KR20010013526 U KR 20010013526U KR 200245919 Y1 KR200245919 Y1 KR 200245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traffic safety
air
tube body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훈
Original Assignee
정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훈 filed Critical 정병훈
Priority to KR2020010013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91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통 안전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도로 운행중 사고 또는 고장 등의 비상상황시 교통 안전 표시구를 공중에 부양시켜 차량의 후방에서 진행하여 오는 차량의 운전자들이 멀리서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가 충진되어 표시구(1)가 공중에 부양될 수 있도록 형성된 튜브 본체(10)와; 상기 튜브 본체(10)의 일측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가스주입구(20)와; 상기 튜브 본체(10) 외주연으로 위험을 나타내기 위해 형성된 적색의 날개부(30)와; 상기 적색의 날개부(30) 하단 양쪽으로 표시구(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50); 및 상기 고정홈(50)과 연결되어 표시구(1)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표시구를 제공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 안전 표시구{A traffic sign indicator}
본 고안은 교통 안전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로 운행중 사고 또는 고장 등의 비상상황시 차량의 후방에서 진행하여 오는 차량의 운전자들이 멀리서도 쉽게 인지하여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교통 안전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시 안전 표지판이나 안전 표시 기구인 삼각대를 차량의 후방에 설치함으로서 후방의 운전들이 이를 감지하여 안전운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통례이다.
상기 안전 표지판은 통상적으로 고장이나 사고 자동차로부터 100m 정도 떨어진 지점에 설치하고 있으며, 특히 후방의 운전자들이 쉽게 인지가능하도록 표지판 전면을 주로 붉은색과 황색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자동차 안전 표지용 삼각대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표지판(110)의 전면에 안전표지가 표시되고, 표지판(110)의 양쪽 하단부 및 뒷면에 지지대(120,120')가 하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자동차 안전 표지용 삼각대는 지지대(120,120')를 표지판(110)에 밀착시킨 상태로 차동차의 트렁크 공간에 보관하고 있다가, 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과 같은 비상 상황시 표지판(110)의 전면이 차량의 진행방향과 마주향하도록 하고 지지대(120),120'를 적절히 펼쳐 도로 노면에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표지판을 비롯하여 종래 표지판의 경우 높이가 약 40cm정도로 작아 고속 주행시 직선 거리를 기준으로 200m 내지 300m 거리에서나 볼 수 있으므로 표지판을 보고 나서 제동을 걸게 됨으로 대처가 어렵고, 특히 굽은 도로에서는 표지판을 확인하기가 어려워 운전자가 이를 간과하여 사고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고속 운전시에는 운전자의 시야에서 벗어나기 쉬워 안전 표지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안전 표지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사고나 고장시 등의 비상 상황에서 교통 안전 표시구를 공중에 부양시켜 차량의 사고나 고장시 후방에서 고속으로 접근하는 운전자들이 먼거리에서도 한 눈에 쉽게 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통 안전 표시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통 안전 표지용 삼각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통 안전 표시구의 일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 안전 표시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안전 표시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안전 표시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구 10 : 튜브 본체 20 : 가스주입구
30 : 날개부 40,40' : 유동방지부 50 : 고정홈
60 : 고정부 70 : 용기 수납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가 충진되어 표시구가 공중에 부양될 수 있도록 형성된 튜브 본체와; 상기 튜브 본체의 일측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가스주입구와; 상기 튜브 본체 외주연으로 위험을 나타내기 위해 형성된 적색의 날개부와; 상기 적색의 날개부 하단 양쪽으로 표시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과 연결되어 표시구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표시구를 제공함으로서 달성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통 안전 표시구의 일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교통 안전 표시구(1)에 가스를 주입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구(1)를 자동차의 트렁크나 지붕위에 고정홈(50)과 연결된 고정부(60)를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표시구(1)의 튜브 본체(10)에 충진된 가벼운 가스에 의하여 표시구(1)가 공중으로 부양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표시구(1)가 공중으로 부양됨에 따라 후방의 운전자들은 이를 먼거리에서 인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굽은 도로에서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 안전 표시구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교통 안전 표시구(1)는 가스가 충진되는 튜브 본체(10)와; 상기 튜브 본체(10)의 일측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가스주입구(20)와; 상기 튜브 본체(10) 외주연으로 위험을 나타내기 위해 형성된 적색의 날개부(30)와; 상기 적색의 날개부(30) 하단 양쪽으로 표시구(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50); 및 상기 고정홈(50)과 연결되어 표시구(1)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60)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80은 빈공간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튜브 본체(10)는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가 충진되는 부분이며, 가스주입구(20)를 통해 가스가 충진된다. 가스가 충진되면 표시구(1)가 공중으로 부양되는데, 이때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로는 수소가스나 헬륨가스 등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 중에서도 안전성을 고려하여 헬륨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가스 충진은 별도로 헬륨이나 수소가 충진된 용기를 휴대하고 있다가 표시구(1)의 사용시 가스주입구(20)를 이용하여 충진하면 된다.
또, 상기 튜브 본체(10)는 가스가 내부에 충진된 후 표시구(1)가 공중으로 부양될 수 있는 재질(일예로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표면은 눈에 잘 띄는 교통 안전 색채인 황색이나 적색을 주로 사용하여 형성하며, 야간에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야광안료로 처리하거나 반사효율이 높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분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상기 튜브 본체(10) 외주연에는 위험표시를 나타내기 위한 적색의 날개부(30)가 형성되는데, 눈에 쉽게 띄는 적색이므로 후방의 운전자들이 원거리에서도 표시구(1)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방어운전을 하게 되고, 따라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날개부(30)는 상기 튜브 본체(10)와 마찬가지로 야간에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야광안료로 처리하거나 반사효율이 높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분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날개부(30)에는 날개가 바람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유동방지부(40)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유동방지부(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상의 날개부(30)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가스가 충진될 수 있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색의 날개부(30) 하단 양쪽으로 표시구(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5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50)은 고정부(60)와 연결되어 표시구(1)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50)의 위치는 유동적으로 지정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날개부(30) 하단 양쪽으로 고정홈(50)을 형성하는 것이 안정적이다.
특히, 고정부(60)는 상기 고정홈(50)과 줄이나 실 등과 같은 연결수단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고정부(60)는 트렁크의 양측에 걸수 있도록 후크식으로 제조되거나 자동차 지붕위에 부착할 수 있도록 흡착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다 효과적으로 표시구(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홈(50)에서 각각 두개 이상의 줄이나 실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연결하여 자동차 지붕의 앞뒤좌우로 고정부(60)의 흡착판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교통 안전 표시구(1)의 작용관계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교통 안전 표시구(1)는 평상시 자동차 트렁크에 가스가 빠진 상태로 보관하고 있다가 차량사고나 고장시 먼저 고정부(60)를 자동차의 트렁크나 지붕에 부착하여 고정시킨 다음, 가스주입구(20)에 휴대하고 있던 가스충진용기로 가스를 주입한 후 가스주입구(20)를 밀봉하면, 표시구(1)가 자동적으로 공중에 부양된다. 이때 표시구(1)와 지지구 사이를 연결하는 줄이나 실 등의 연결수단은 대략 2m정도(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한다)로 하면 표시구(1)는 자동차로부터 대략 2m 상부에 형성되어 후방차량이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가스주입구(20)를 통해 가스를 외부로 빼내어 다시 보관하면 된다.
이와 같이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가 충전된 튜브 형태의 안전 표시구(1)를 트렁크 또는 자동차 지붕위에서 공중으로 띄워서 후방의 자동차 운전자가 먼 거리에서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보관시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여 공간효율성이 우수하고, 사용방법이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안전 표시구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30)에 형성된 유동방지부(40')가 날개부(30)의 외주연을 따라 공기가 충진될 수 있는 튜브형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동방지부(40')는 튜브 본체(10)와 하나 이상의 통로(41)로 연결되어 튜브 본체(10)에 가스충진시 관을 통해 함께 충진되어 날개부(3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안전 표시구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날개부(30)에 가스충전용기가 수납되는 용기 수납부(70)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용기 수납부(70)에 가스충전용기를 수납할 경우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전 표시구(1)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빠르게 설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때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날개부(30) 하단에 용기 수납부(70)를 형성하는 것 이외에도 다른 위치(일예로 고정부)에 별도로 용기 수납부(7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트렁크나 자동차 지붕위에 발판을 부착하고 튜브를 연결한 다음 약 2m 높이로 공중에 띄워서 사용할 수 있는 교통 안전표지구를 제공함으로서 차량의 사고나 고장시 후방에서 고속으로 접근하는 운전자들이 먼거리에서도 한 눈에 쉽게 볼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교통 안전 표시구를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도면의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및 균등한 타실시에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가 충진되어 표시구(1)가 공중에 부양될 수 있도록 형성된 튜브 본체(10)와; 상기 튜브 본체(10)의 일측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가스주입구(20)와; 상기 튜브 본체(10) 외주연으로 위험을 나타내기 위해 형성된 적색의 날개부(30)와; 상기 적색의 날개부(30) 하단 양쪽으로 표시구(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50); 및 상기 고정홈(50)과 연결되어 표시구(1)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표시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30)에 날개가 바람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방지부(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표시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30) 하단으로 가스충전용기가 수납되는 용기 수납부(7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안전 표시구.
KR2020010013526U 2001-05-09 2001-05-09 교통 안전 표시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245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526U KR200245919Y1 (ko) 2001-05-09 2001-05-09 교통 안전 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526U KR200245919Y1 (ko) 2001-05-09 2001-05-09 교통 안전 표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919Y1 true KR200245919Y1 (ko) 2001-10-15

Family

ID=7310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526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5919Y1 (ko) 2001-05-09 2001-05-09 교통 안전 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91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248B1 (ko) * 2005-06-29 2007-02-26 조범종 식별성이 우수한 자동차 안전표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안전표지 구조물 세트
KR101565333B1 (ko) 2014-04-07 2015-11-03 이서영 차량용 안전 삼각대장치
KR200480213Y1 (ko) 2015-06-30 2016-04-25 이정현 삼각대
KR101894723B1 (ko) * 2018-04-11 2018-09-04 김동묵 인플랫터블 타입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CN114898681A (zh) * 2022-04-25 2022-08-12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轨道交通施工用警示标志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248B1 (ko) * 2005-06-29 2007-02-26 조범종 식별성이 우수한 자동차 안전표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안전표지 구조물 세트
KR101565333B1 (ko) 2014-04-07 2015-11-03 이서영 차량용 안전 삼각대장치
KR200480213Y1 (ko) 2015-06-30 2016-04-25 이정현 삼각대
WO2017003200A1 (ko) * 2015-06-30 2017-01-05 이정현 삼각대
KR101894723B1 (ko) * 2018-04-11 2018-09-04 김동묵 인플랫터블 타입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CN114898681A (zh) * 2022-04-25 2022-08-12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轨道交通施工用警示标志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78381A (zh) 市政道路安全结构
KR200245919Y1 (ko) 교통 안전 표시구
CN210341605U (zh) 一种公路桥梁防撞装置
CN208277939U (zh) 一种适用于轿车或suv应急的应急反光装置
KR20170004847A (ko) 차량용 안전배너
KR20140031727A (ko) 차량 후방추돌 방지장치
KR20120025779A (ko) 원터치 안전 삼각대
KR20200103370A (ko)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차량 비상용 표시장치
KR200167063Y1 (ko) 안전표시풍선
KR100687248B1 (ko) 식별성이 우수한 자동차 안전표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안전표지 구조물 세트
KR200277799Y1 (ko) 교통 안전 표시구
CN110777697B (zh) 一种隔离墩
CN204139094U (zh) 一种可自动控制警示灯的防撞桶
KR200280954Y1 (ko) 교통 안전 표시구
CN214089571U (zh) 一种用于高速公路的太阳能应急发光柱帽
RU210550U1 (ru) Знак аварийной остановки
KR0134603Y1 (ko) 도로교통 안전 표시구
CN219280571U (zh) 一种高速公路护栏网立柱
CN214363037U (zh) 一种高速公路交通安全保障器
KR20190051616A (ko) 오뚝이형 비상표시장치
CN105648936A (zh) 一种便携式交通警示装置
CN209443397U (zh) 一种新的移动警戒护栏
CN218405134U (zh) 道路施工路段车辆诱导设备
CN212570300U (zh) 车顶高位三角警示牌
CN221718414U (zh) 一种行车安全预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50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8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2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21009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