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5671Y1 - 소화기의전자식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소화기의전자식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671Y1
KR200245671Y1 KR2019980003696U KR19980003696U KR200245671Y1 KR 200245671 Y1 KR200245671 Y1 KR 200245671Y1 KR 2019980003696 U KR2019980003696 U KR 2019980003696U KR 19980003696 U KR19980003696 U KR 19980003696U KR 200245671 Y1 KR200245671 Y1 KR 200245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fire
motor
head
switch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713U (ko
Inventor
심재길
Original Assignee
심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길 filed Critical 심재길
Priority to KR2019980003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671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7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6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점 등의 주방에 설치되어 화재 감지시에 주제어시스템으로부터의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모터 작동으로 소화기의 밸브를 개방하여 소화액을 화재지점으로 집중분사시켜 초기 진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식 소화시스템에 있어서,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는 작동핀과 레버가 모두 노출되어 주방의 그을음, 습기, 먼지 등에 의해서 장시간 경과시에 레버나 작동핀이 작동불량상태가 되기 쉽고, 레버와 작동핀의 작동불량 발생시에는 화재 초기의 자동진화 동작에 신뢰성을 상실하게 되며, 소화기 헤드부에 별도의 부재로서 개폐장치를 붙들어매는 형태인데다 레버 노출 작동형이기 때문에 조립상의 불편함은 물론, 부피가 커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너트부와 소화기 헤드에 일체로 형성된 볼트부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개폐장치가 소화기 헤드위에 일체화되고, 모터의 동력에 의해서 승강 작동하는 나사기어에 의해서 작동핀이 가압되어 소화기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그을음이나 먼지, 습기 등에 의한 작동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높은 동작 신뢰성을 확보하며, 경박단소화된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
본 고안은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점 등의 주방에 설치되어 화재 감지시에 주제어시스템으로부터의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모터 작동으로 소화기의 밸브를 개방하여 소화액을 화재지점으로 집중분사시켜 초기 진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식 소화시스템에 있어서 소화기의 헤드부에 설치된 소화액 분출 작동핀(밸브개방)을 모터 동력으로 개방시키는 개폐장치를 밀폐 내장형으로 구성하고 또 소화기 헤드에 형성한 볼트부와의 일체형 나사결합 방식으로 개폐장치를 소화기 헤드마운트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는 주제어시스템으로부터 전기신호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기어들과ㅡ 상기 기어들의 최종단에 설치하고 또 소화기 헤드부의 작동핀에 선단이 접촉하는 레버등의 부재를 상자형 케이스에 넣어서 이 상자형의 개폐장치 케이스를 소화기 헤드부에 별도 고정부재를 이용해서 붙들어매는 형태이다.
이러한 종래의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는 화재 감지시에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와 기어 작동으로 레버가 동작하게 되며, 이 레버는 개폐장치 케이스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레버회전시에 그 선단이 역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작동핀 선단을 눌러서 소화기를 개방함으로써 소화액이 분출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작동핀과 레버가 모두 노출되어 주방의 그을음, 습기, 먼지 등에 의해서 장시간 경과시에 레버나 작동핀이 작동불량상태가 되기 쉽고, 레버와 작동핀의 작동불량 발생시에는 화재 초기의 자동진화 동작에 신뢰성을 상실하게 되며, 소화기 헤드부에 별도의 부재로서 개폐장치를 붙들어매는 형태인데다 레버 노출 작동형이기 때문에 조립상의 불펴함은 물론, 부피가 커제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를 밀폐형으로 구성하고, 또 이 개폐장치와 소화기 헤드부의 나사결합 구조에 의해서 개폐장치를 간편하게 소화기 헤드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는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너트부와 소화기 헤드에 일체로 형성된 볼트부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개폐장치가 소화기 헤드위에 일체화된, 모터의 동력에 의해서 승강 작동하는 나사기어에 의해서 작동핀이 가압되어 소화기가 개페되도록 함으로써, 그을음이나 먼지, 습기 등에 의한 작동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높은 동작 신리성을 확보하며, 경박단소화된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소화기의 전자식 분사 구동장치의 평면에서 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소화기의 전자식 분사 구동장치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소화기의 전자식 분사 구동장치에서 모터로부터의 동력 전달 계통을 보인 도면
본 고안의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는, 화재감지 주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모터와, 소화기 헤드부의 작동핀의 개폐를 수행하기 위하여 작동핀을 가압하는 승강액츄에이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승강액츄에이터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 기어수단과, 상기 모터와 승강액츄에이터 및 기어수단이 밀폐형으로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소화기 헤드에 결합하기 위하여 케이스 저면에 일체로되는 너트수단 및 헤드에 일체로되는 볼트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이다.
도1 내지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폐장치 케이스(1,2)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케이스 형태를 유지하는데, 커버(1)와 베이스(2)가 결합된 형태이고, 커버(1)와 베이스(2) 내부의 공간에 모터와 기어들이 장착된다.
모터(3)는 커버(1)의 내면과의 사이에 탄성 고정재로서 스폰지(4)를 개입시켜서 모터(3)가 작동할때 그 진동을 스폰지(4)가 흡수하여 완충시키도록 하였다.
또, 모터(3)에 도시 생략된 통상의 화재감지 주제어시스템으로부터 (화재감지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리드선(5)이 연결되고 이 리드선(5)은 리드선 구멍(6)을 통해서 외부와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 리드선(5)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3)는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케이스(1,2)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3)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위한 기어수단들로서 위엄기어(7), 헬리칼기어(8), 클러치기어(9)들이 차례로 결합되고 또 회정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모터(3)의 회전구동시에 모터축의 위엄기어(7)가 회전구동되고 이것에 맞물려있는 헬리칼 기어(8)가 회전하여 클러치기어(9)를 회전고둥시키게 된다.
또한, 최종단의 클러치기어(9)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작동하는 상강액츄어이터로서 케이스(1,2)의 중심축(10)상에 너트기어(11) 및 이 너트기어(11)와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작동하는 나사기어(12)가 설치되어 있다.
나사기어(12)의 선단은 소화기 헤드(13)의 작동핀(14)과 대향하면서 근접되어 있다.
그러므로, 나사기어(12)이 승강 회전작동에 의해서 작동핀(14)이 눌려진다.
한편, 케이스(1,2)의 베이스(2) 저면으로는 그 중앙에서 상기 중심축(10)의 연장선상에서 축형태로 돌출된 너트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너트부(16)와 결합될 볼트부(15)가 소화기 헤드(13)상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부호 17은 소화기 호스에 연결되는 분출구멍이고 이 분출구멍의 통로를 상기 작동핀(14)이 개폐하여 소화기 본체(18)내의 소화액이 분출되는 구조는 공지된 바와 같다.
상기한 바와같이 소화기 본체(18)상부의 헤드마운트에 상기 구성요서들은 내장한 케이스(1,2)가 볼트부(15)와 너트부(16)를 이용해서 나사결합되고, 이와같이 헤드 마운트에 결합된 케이스(1,2)는 볼트부(15)와 너트부(16)에 의해서 작동핀(14)이 내장되는 형태로 되고 또 작동핀 구도요소들이 모두 케이스(1,2)안에 내장된 형태로 되므로 밀폐형 케이싱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음식점 등의 주방에 설치하여도 그을음이나 먼지, 습기로부터 보호된다.
화재 감지시에는 도시 생략된 통상의 주제어 시스템으로부터 리드선(5)을 통해서 모터(3)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3)가 회전 구동된다.
모터(3)의 회전구동력은 모터축의 워엄기어(7)와 헬리칼기어(8), 클러치기어(9)를 통해서 너트기어(11)에 전달되고, 너트기어(11)가 회전함에 따라 나사기어(12)가 중심축(10)상에서 하강하게 된다.
나사기어(12)가 하강하면 그 선단에 근접되어 있는 작동핀(14)을 가압하여 소화액 부출통로를 개방시켜 주므로 소화기 본체(18)내에 충진된 소화액이 구멍(17)을 통해서 호스로부터 배출되어 화재의 초기 진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는 밀폐형이기 때문에 그을음이나 먼지, 습기 등의 영향을 배제하여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작동에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소화기 헤드마운트에 나사결합식으로 케이스가 간편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의 편리함은 물론, 종래의 외부 노출형 레버나 케으스를 헤드 마운트에 붙들어 매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개폐장치의 케이싱 자체가 헤드마운트상에 직접 결합되는데다 승강 액츄에이터 작동에 의해서 작동편이 직접 가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경박단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

  1. 소화기 헤드부에 장착되고, 화재감지 주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모터의 동력으로 소화기 헤드의 작동핀을 개방시켜 소화기 내부의 소화액을 자동적으로 분출시켜 주는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에 있어서,
    밀폐형의 케이스(1,2) 내부에 화재감지 주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동작하는 모터(3)를 장착하고, 상기 밀폐형 케이스 중앙에 형성된 축(10) 내부에 수직으로 직선 승강운동하는 나사기어(12)를 결합하고, 상기 나사기어(12)의 외주에 너트기어(11)를 결합하고, 상기 모터(3)로부터 상기 나사기어(12)까지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들(7,8,.9)을 케이스 내에 축지결합하고, 상기 케이스(1,2) 저면으로 상기 축(10)의 연장선상에서 축형태로 돌출된 너트부(16)와 소화기 헤으(13)상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볼트부(15)를 체결하여 소화의 헤드에 장착되는 전자식 개폐장치를 이루고; 화재 감지시 모터(3)의 동력이 기어(7,8,9,11)를 통해 전달되어 나사기어(12)가 하강함에 따라 작동핀(14)을 가압하여 소화약품 분출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전자식 개폐장치.
KR2019980003696U 1998-03-13 1998-03-13 소화기의전자식개폐장치 KR200245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96U KR200245671Y1 (ko) 1998-03-13 1998-03-13 소화기의전자식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96U KR200245671Y1 (ko) 1998-03-13 1998-03-13 소화기의전자식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713U KR19990021713U (ko) 1999-06-25
KR200245671Y1 true KR200245671Y1 (ko) 2001-12-28

Family

ID=6259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696U KR200245671Y1 (ko) 1998-03-13 1998-03-13 소화기의전자식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67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049B1 (ko) * 2002-06-14 2004-10-14 이기원 자동식 소화기의 분사구 작동장치
KR100516543B1 (ko) * 2002-10-25 2005-09-22 (주)스타코넷 소화기
KR100716473B1 (ko) * 2005-12-08 2007-05-10 주식회사 파워텍 자동식 소화기
WO2018097438A1 (ko) * 2016-11-28 2018-05-31 한국전력공사 밸브구동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소방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049B1 (ko) * 2002-06-14 2004-10-14 이기원 자동식 소화기의 분사구 작동장치
KR100516543B1 (ko) * 2002-10-25 2005-09-22 (주)스타코넷 소화기
KR100716473B1 (ko) * 2005-12-08 2007-05-10 주식회사 파워텍 자동식 소화기
WO2018097438A1 (ko) * 2016-11-28 2018-05-31 한국전력공사 밸브구동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소방시스템
KR20180060289A (ko) * 2016-11-28 2018-06-07 한국전력공사 밸브구동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소방시스템
KR101978132B1 (ko) * 2016-11-28 2019-05-15 한국전력공사 밸브구동장치와 이를 사용하는 소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713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1741B2 (en) Flap drive system
CA2085169A1 (en) Sensor-operated battery powered flush valve
KR200245671Y1 (ko) 소화기의전자식개폐장치
US11226052B2 (en) Electric valve
JP2001153261A (ja) 薬液用エアオペレイトバルブ
US5690206A (en) Appliance interlocking mechanism
CN107296510B (zh) 上盖组件和烹饪器具
JP4078012B2 (ja) 自動排水装置
KR200245670Y1 (ko) 소화기의전자식개폐장치
KR200187081Y1 (ko)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
KR200233235Y1 (ko) 가스레인지용 자동 소화기의 체크밸브 작동장치
CN212745216U (zh) 一种能够自动关断的燃气开关阀
KR200335469Y1 (ko) 수변전 설비용 자동 소화 장치
KR200256307Y1 (ko) 소화기용 모터 액츄에이터
JP2003321863A (ja) ロータンク排水弁およびロータンク排水弁用補助操作装置
KR200294080Y1 (ko) 양변기 자동배수장치
JPS5911710Y2 (ja) 電動式おろし器
JP3858711B2 (ja) レバーハンドル機構
CN206166638U (zh) 一种豆浆机
CN216256792U (zh) 排浆阀以及食品加工机
KR100660518B1 (ko) 절수기용 밸브장치
CN2480650Y (zh) 阀门执行器
CN222648988U (zh) 一种具有自动断电功能的污水提升器
JP3034803B2 (ja) ダンパ駆動方法およびその駆動装置
CN215524817U (zh) 保护壳、料斗驱动装置以及组合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3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1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313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1126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11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8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8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7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