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120Y1 - Subsidiary Room Mirror Device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Subsidiary Room Mirror Device for Automob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4120Y1 KR200244120Y1 KR2019980021284U KR19980021284U KR200244120Y1 KR 200244120 Y1 KR200244120 Y1 KR 200244120Y1 KR 2019980021284 U KR2019980021284 U KR 2019980021284U KR 19980021284 U KR19980021284 U KR 19980021284U KR 200244120 Y1 KR200244120 Y1 KR 20024412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fixing plate
- frame
- room mirror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자동차용 보조 룸미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보조 룸미러 장치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일단부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파지부재 및 상기 제1 파지부재에 대응하는 제2 파지부재가 그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파지부재에 의해 자동차의 룸미러 전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 차양막들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차양막의 절첩시 상기 차양막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및 차량 후방의 상황이 파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거울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차양막의 절첩시 차양막과 프레임 사이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상기 거울이 부착되는 프레임의 길이는 상기 차양막들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의 시각이 넓어지므로 자동차 후방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An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for a vehicle is disclosed. The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holding members and a second hold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lding member, respectively,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ose one end extends backward. A fixing plate fixed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oom mirror of the vehicle by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s; A frame formed to be long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sunscreens and movab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unscreens when the sunscreen is folded; And a mirror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rame so that the situation behind the vehicle can be grasped. Since the frame is movably mounted to the fixing plate, interference between the sunscreen and the frame may be avoided when the sunscreen is folded. The length of the frame to which the mirror is attached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unscreens, and thus, the driver's vision is widened, so that the situation behind the vehicle can be accurately understood.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석 후방의 상황이 폭 넓게 파악될 수 있도록 룸미러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동차용 보조 룸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for a vehicle slidably coupled to the room mirror so that the situation behind the driver's seat can be widely understood.
도1에는 일반적인 자동차(300)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자동차(300)의 운전석(350) 전방에는 대시보드(360)가 제공된다. 상기 대시보드(360)에는 자동차(300)의 주행상태 및 주행 조건을 표시해주는 계기판(362) 및 자동차(300)의 주행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핸들(3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계기판(362)의 하부에는 컴팩트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을 청취하기 위한 카오디오 장치(364)가 설치된다.1 shows an internal structure of a typical automobile 300. As shown in FIG. 1, a dashboard 360 is provided in front of a driver's seat 350 of a typical vehicle 300. The dashboard 360 is provided with an instrument panel 362 that displays driving conditions and driving conditions of the vehicle 300 and a steering wheel 340 for adjus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300. Under the instrument panel 362, a car audio device 364 for listening to a compact disc or a magnetic tape is installed.
또한, 자동차(300)의 상판 전방부에는 운전석(350) 후방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룸미러(330)가 설치되며, 상기 룸미러(330)를 중심으로 좌우에는 자동차(300)의 내부로 조사되는 햇살을 차단하기 위한 한 쌍의 차양막(310, 32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room mirror 330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upper plate of the car 300 so as to recognize a situation behind the driver's seat 350, and to the inside of the car 300 on the left and right around the room mirror 330. A pair of awnings 310 and 320 are provided to block the sunshine to be irradiated, respectively.
이러한 구조를 갖는 자동차(300)에 있어서, 상기 룸미러(330)는 상기 차양막(310, 32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룸미러(330)의 길이는 상기 차양막(310, 320)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야만 하는데, 이는 상기 룸미러(330)의 길이를 축소시키는 결과를 야기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운전자가 후방의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초래되었으며, 이로 인한 사고 발생의 위험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In the vehicle 300 having such a structure, the room mirror 330 should be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sunscreen (310, 320). Therefore, the length of the room mirror 330 should be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unscreens 310 and 320, which has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the length of the room mirror 330. For this reason, a lot of difficulties have arisen for the driver to correctly recognize the situation behind, which has a problem that the risk of accidents are increased.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후방의 상황을 보다 폭넓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예컨대, 아시아 자동차 공업에서 출원한 대한민국 실용 공개 공보 제92-014998호에는 자동차의 후방의 상황이 폭넓게 인식되도록 볼록렌즈가 착설되어 있는 룸미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various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allow a wider view of the situation behind the driver. Fo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2-014998, filed by the Asian automobile industry, discloses a room mirror device in which a convex lens is mounted so that the situation behind the car is widely recognized.
상기 룸미러 장치는 평면 거울부로 이루어진 룸미러의 하측 및 측면 일정부위를 볼록렌즈부로 구성하므로 써, 자동차의 후방의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룸미러 장치는 평면 거울부에 볼록렌즈부를 형성시키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볼록렌즈부에 비친 모습이 실제 모습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운전자가 상기 거울부에 비춰진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The room mirror device is configured by the convex lens portion of the lower side and the side portion of the room mirror made of a flat mirror, so that the state of the rear of the vehicle can be recognized in more detail. However, the room mirror device is not only difficult to form the convex lens portion in the planar mirror portion, but also the appearance reflected on the convex lens portion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appearance, so that the driver can accurately grasp the situation reflected on the mirror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석 후방의 상태를 폭 넓게 볼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고의 위험을 줄이고 안전 운행을 유도할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 룸미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de view of the state behind the driver's seat, to reduce the risk of accidents and to provide a vehicle auxiliary room mirror device for safe driving To provide.
도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showing the interior of a typical vehicle.
도2는 자동차의 룸미러에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룸미러 장치가 부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room mirror of a vehicle.
도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룸미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룸미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자동차 110 : 차양막100: car 110: sunshade
120 : 차양막 130 : 룸미러120: sunshade 130: room mirror
140 : 조향 핸들 150 : 운전석140: steering wheel 150: driver's seat
200 : 보조 룸미러 장치 210 : 거울200: auxiliary room mirror device 210: mirror
230 : 프레임 250 : 고정 플레이트230: frame 250: fixed pl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일단부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파지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파지부재에 대응되는 그 저면 소정 위치에는 일단부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파지부재가 고정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파지부재에 의해 자동차의 룸미러 전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 차양막들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차양막의 절첩시 상기 차양막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및 차량 후방의 상황이 파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거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룸미러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holding members, which are movable in an upper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ose one end extends rearward, A pair of second holding members, one end of which is extended rearward, is fixedly provided at the bottom predetermine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lding member, and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s ar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room mirror of the vehicle. A fixed plate fixedly coupled; A frame formed to be long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sunscreens and movab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unscreens when the sunscreen is folded; And a mirror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rame so that the situation behind the vehicle can be grasped.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서로 평행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는 상기 한 쌍의 레일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채널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채널의 양단부 근방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의 활주이동을 정지시키는 한 쌍의 스토퍼가 각각 제공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와 상기 채널의 양단부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의 활주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다.At least one pair of rail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pair of channels are slidably coupled to the pair of rails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In addition, a pair of stoppers are provided near both ends of the pair of channels to stop the slide movement of the frame in contact with the rail of the fixing plate, and between the stoppers and both ends of the channel, the slide of the frame is provided. A pair of guides is formed to guide the movemen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와 동일한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하였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elements as before.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룸미러 장치(200)가 자동차(100)의 룸미러(330)에 장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 룸미러 장치(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 룸미러 장치(400)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oom mirror 330 of the vehicle 100, Figure 3 is a second room mirr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4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에 도시된 자동차(100)는 룸미러(330)에 장착된 보조 룸미러 장치(200)가 구비된 것을 제외하면 도1에 도시된 자동차(30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기 룸미러(330)에 장착되는 보조 룸미러 장치(2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The vehicle 100 shown in FIG. 2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vehicle 300 shown in FIG. 1 except that the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200 mounted to the room mirror 330 is provided. Therefore, only the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200 mounted on the room mirror 330 will be described herein.
도3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 룸미러 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룸미러 장치(200)는 상기 룸미러(330)의 전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고정 플레이트(250), 상기 고정 플레이트(250)의 전면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230) 및 차량 후방의 상황이 파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30)의 전면에 부착되는 거울(210)을 구비한다.3 shows an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auxiliary room mirror device 200 is fixed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oom mirror 330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50. It is provided with a mirror 210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rame 230 so that the frame 230 and the situation behind the vehicle can be grasped.
상기 고정 플레이트(250)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파지부재(270)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파지부재(270)의 일단부는 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250)의 저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파지부재(27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파지부재(260)가 고정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250)는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파지부재(270, 260)에 의해 자동차(100)의 룸미러(330) 전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5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holding members 270 which are movable upward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e end of the pair of first holding members 270 extends rea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a pair of second gripping members 260 that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first gripping members 270 are fixedly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50. The fixing plate 250 is fixed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oom mirror 330 of the vehicle 100 by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holding members 270 and 260.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재(270, 260)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250)가 상기 룸미러(3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후크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파지부재(270)의 타단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250)의 내부로 연장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250)의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스프링(272)에 각각 연결된다.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members 270 and 260 has a hook shape so that the fixing plate 250 is not separated from the room mirror 330. In addition,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first holding members 270 extend into the fixing plate 250 and are connected to a pair of springs 272 disposed in the fixing plate 250, respectively. .
상기 제1 파지부재(270)를 상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제1 파지부재(270)가 상기 스프링(272)을 신장시키면서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당겨진 제1 파지부재(270)를 놓으면 상기 스프링(27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파지부재(270)가 원위치에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250)는 상기 룸미러(330)의 폭이 다소 클 경우에도 상기 룸미러(33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When the first gripping member 270 is pulled upward, the first gripping member 270 moves upward while the spring 272 is extended, and when the first gripping member 270 is released, the spring ( By the restoring force of 272, the first holding member 27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refore, the fixing plate 25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om mirror 330 even when the width of the room mirror 330 is somewhat large.
한편, 상기 고정 플레이트(250)의 전면에는 서로 평행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레일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플레이트(250)의 전면에는 쌍으로 형성된 제1, 제2 및 제3 레일(252, 254, 256)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레일(252)은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및 제3 레일(254, 256)은 각각 그 우측 및 좌측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제공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레일(252, 254, 256)들은 서로 횡방향으로 정렬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pair of rail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5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rails 252, 254, 256 formed in pairs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50. The first rail 252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second and third rails 254 and 256 are provided on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of the first rail 25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respectively. The first, second and third rails 252, 254 and 256 should be disposed in positions laterally aligned with each other.
상기 프레임(230) 차양막(310, 320)들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차양막(310, 320)의 절첩시 상기 차양막(310, 32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320)의 전면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320 is formed to be long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frame 230 and the shade films 310 and 320, and does not cause interference with the shade films 310 and 320 when the shade films 310 and 320 are folded. Is slideably coupled to.
상기 프레임(230)의 후면에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레일(252, 254, 256)에 각각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제2 및 제3 채널(232, 234, 2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30)의 후면 양단부 근방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230)의 제2 및 제3 레일(254, 256)과 각각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230)의 활주이동을 정지시키는 두 쌍의 스토퍼(240, 245)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First, second, and third channels 232, 234, and 236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rails 252, 254, and 256, respectively, ar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ame 230. It is. In addition, two pairs of stoppers are disposed near both rear ends of the frame 230 to contact the second and third rails 254 and 256 of the fixing plate 230 to stop the slide movement of the frame 230. 240 and 245 are provided respectively.
상기 한 쌍의 스토퍼(240)와 상기 제2 채널(234)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230)의 활주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2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른 한 쌍의 스토퍼(245)와 상기 제3 채널(236) 사이에도 상기 프레임(230)의 활주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237)가 형성되어 있다.A pair of first guides 235 ar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toppers 240 and the second channel 234 to guide the slide movement of the frame 230, and the other pair of stoppers A pair of second guides 237 for guiding the slide movement of the frame 230 is also formed between the 245 and the third channel 236.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 룸미러 장치(2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The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먼저, 상기 고정 플레이트(25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파지 부재(270, 260)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 룸미러 장치(200)를 상기 룸미러(330)의 전면에 부착시킨다. 상기 보조 룸미러 장치(200)는 상기 차양막(310, 320) 사이의 거리보다 큰 길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상기 보조 룸미러 장치(200)에 의해 차량의 후방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auxiliary room mirror device 200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oom mirror 330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members 270 and 260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50. Since the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200 has a length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unscreens 310 and 320, the driver can more accurately grasp the rear situation of the vehicle by the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200. .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양막(310)을 내리고자 할 때에는 상기 룸미러 장치(200)의 프레임(230)을 운전자의 우측으로 밀어낸다. 상기 프레임(230)의 채널들(232, 234, 236)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250)의 레일들(252, 254, 256)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230)의 좌우 방향으로의 활주 이동은 상기 프레임(230)을 좌우 방향으로 가볍게 밀어주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수행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230)의 좌우 활주 이동은 상기 스토퍼(240, 245)에 상기 제2 레일(254) 또는 제3 레일(256)의 단부가 걸릴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driver wants to lower the sunscreen 310, the driver pushes the frame 230 of the room mirror apparatus 200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driver. Since the channels 232, 234, and 236 of the frame 230 are slidably coupled to the rails 252, 254, and 256 of the fixing plate 250, the channels 230, 234, and 236 of the frame 230 are slid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rame 230.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rame 230 is easily performed by lightly pushing the frame 2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lide movement of the frame 230 may continue until the end of the second rail 254 or the third rail (256) to the stopper (240, 245).
상기 프레임(230)이 우측으로 이동되면 운전자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상기 차양막(310)을 내려 햇살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차양막(310)이 내려지면, 운전자는 상기 프레임(230)을 이동시켜 원위치에 복귀시킨 후 운전을 계속하면 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조수석 전면에 제공되는 차양막(320)을 내릴 경우에도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즉, 차양막(320)을 내리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230)이 차양막(320)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230)을 좌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차양막(320)을 내리면 된다.When the frame 230 is moved to the right, the driver may lower the sunscreen 310 to prevent the sun without any difficulty. When the sunscreen 310 is lowered, the driver may move the frame 230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continue driving. Of course, this process is similarly performed when the sunscreen 320 provided on the front passenger seat is lowered. That is, when the shade layer 320 is to be lowered, the frame 230 may be moved to the left side so that the frame 23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hade layer 320, and then the shade layer 320 may be lowered.
한편, 도4에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 룸미러 장치(4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과 베어링을 사용하여 고정 플레이트와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shows an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4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xed plate and the frame are rotatably coupled using the shaft and the bearing.
즉, 프레임(430)의 후면 중심부에는 샤프트(4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450)의 전면 중심부에는 상기 샤프트(4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420)이 제공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450)의 전면 중심부에는 상기 베어링(420)이 압입되는 개구부(474)가 형성된다.That is, the shaft 432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center of the frame 430, and a bearing 420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front center of the fixing plate 450. An opening 474 through which the bearing 420 is press-fitted is formed in the front center of the fixing plate 450.
상기 베어링(420)의 외경은 상기 개구부(474)에 고정적으로 삽입되며, 내경은 소정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만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432)는 상기 베어링(420)의 내경에 압입됨으로써 소정의 힘이 가해질 경우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4에 도시되어 있는 거울(410), 파지 부재들(460, 470) 및 스프링(472)들은 상기 제1 실시예에 개시된 요소들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outer diameter of the bearing 420 is fixedly inserted into the opening 474, and the inner diameter rotates left and right only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he shaft 432 may be rotatable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by being press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bearing 420. Since the mirror 410, the holding members 460, 470 and the spring 472 shown in FIG. 4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lements disclosed in the first embodimen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양막(310, 320)을 내리고자 할 경우에 상기 프레임(430)을 회전시켜 프레임(430)과 상기 차양막(310, 32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이어서, 상기 차양막(310, 320)이 내려진 후에는 상기 프레임(43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운전을 계속 하면 된다.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nscreens 310 and 320 are to be lowered, the frame 430 is rotated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frame 430 and the sunscreens 310 and 320. Subsequently, after the sunscreens 310 and 320 are lowered, the frame 430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o continue oper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룸미러 장치는 상기 거울이 부착되는 프레임의 길이를 상기 차양막들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자동차 후방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room mirr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the length of the frame to which the mirror is attached to be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unscreens, thereby allowing the driver to accurately grasp the situation behind the vehicle. That has the advantage.
이상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서술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및 개량도 본 고안에 속한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such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lso belong to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1284U KR200244120Y1 (en) | 1998-11-03 | 1998-11-03 | Subsidiary Room Mirror Device for Automob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1284U KR200244120Y1 (en) | 1998-11-03 | 1998-11-03 | Subsidiary Room Mirror Device for Automobi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7881U KR19990007881U (en) | 1999-02-25 |
KR200244120Y1 true KR200244120Y1 (en) | 2001-12-01 |
Family
ID=6950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2128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4120Y1 (en) | 1998-11-03 | 1998-11-03 | Subsidiary Room Mirror Device for Automob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4120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0517B1 (en) * | 2005-05-02 | 2006-07-13 | 정웅락 | Car Room Mirror |
-
1998
- 1998-11-03 KR KR2019980021284U patent/KR20024412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7881U (en) | 1999-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40068839A1 (en) | Vehicle sunshade guide mechanism | |
CA1291190C (en) | Visor | |
JPH10278591A (en) | Sunroof equipment | |
US5431461A (en) | Sliding window lock for automotive vehicles | |
US5080420A (en) | Visor | |
US5071186A (en) | Visor | |
US4925232A (en) | Visor | |
KR200244120Y1 (en) | Subsidiary Room Mirror Device for Automobile | |
CN107825944B (en) | Anti-dazzling device capable of avoiding influence of high beam light for vehicle | |
GB2088299A (en) | Sun Visor for Motor Vehicles | |
US665952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liding and rotating a vehicle sun visor | |
JP2000052763A (en) | Motor-driven sun shade device | |
US11292321B2 (en) | Sliding sun visor having slim structure | |
JP3731958B2 (en) | Automotive seat | |
JPH03239629A (en) | Sun visor | |
KR0157792B1 (en) | Room mirror up / down adjustment device for vehicle | |
KR0137877Y1 (en) | Car mobile sun visor | |
KR20050008168A (en) | Sun-Visor of Automobile | |
KR100472231B1 (en) | Room mirror structure for vehicle | |
KR19990041609U (en) | Car sun visor | |
KR0139100Y1 (en) | Sunvisor | |
KR0128153B1 (en) | Area variable sun visor | |
KR0117339Y1 (en) | Seat back shifter of car | |
JPH0237618Y2 (en) | ||
KR970006831Y1 (en) | Sun prot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110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1998110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103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93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105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108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81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