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3951Y1 - 안경다리탄성장치의탄성지지구 - Google Patents

안경다리탄성장치의탄성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951Y1
KR200243951Y1 KR2019980022783U KR19980022783U KR200243951Y1 KR 200243951 Y1 KR200243951 Y1 KR 200243951Y1 KR 2019980022783 U KR2019980022783 U KR 2019980022783U KR 19980022783 U KR19980022783 U KR 19980022783U KR 200243951 Y1 KR200243951 Y1 KR 200243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astic support
hole
support
fusel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140U (ko
Inventor
김종찬
Original Assignee
김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찬 filed Critical 김종찬
Priority to KR2019980022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95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1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95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안경다리 탄성장치의 탄성지지구에 관한 분야.
(2)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 탄성장치는 탄성지지구를 동체내에 끼운뒤 동체 외부에서 펀치로 쳐서 고정시키거나 또는 나사구멍을 뚫어 나사를 체결하였으로 조립성이 크게 떨어지고 외관도 단정하지 못하였음.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의 동체(2)에 형성된 구멍(3) 내부에 테이퍼요부(3')를 형성하고, 이곳에 결합되는 탄성지지구는 3~6개의 탄성편(7')을 형성하되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구멍(3)에 끼울 때 오므러들면서 끼워지다가 테이퍼진요부(3')에 이르러서는 원복 고정되게 하여 조립성이 뛰어나고, 외관이 단정하게 하는데 요지가 있음.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안경다리 탄성장치내에 설치 사용됨.

Description

안경다리 탄성장치의 탄성지지구
본 고안은 안경다리 탄성장치의 탄성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압축스프링과 함께 연결설치된 연결편의 로드를 매우 안정적으로 지탱하면서, 조립이 손쉽고, 조립후 탄성장치 동체의 외관도 매우 깔끔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의 탄성장치는 안경다리 선단 내측면에 용접 고정되어 안경테와 조립되고, 더불어 안경다리의 절첩을 원활하게 해주면서 안경다리를 벌리면 외측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무리 없이 벌어질 수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그 구조를 살펴보면, 동체내에 길이방향으로 구멍을 깊게 뚫고, 여기에 " T "자형로드에 압축스프링과 외주면에 요홈을 가진 ""형 탄성지지링을 끼운뒤 " T "자형로드후미를 연결편에 조립고정하여 삽입시키고 동체 외부에서 탄성지지링의 요홈위치에 맞추어 펀치로 눌러 고정시키거나 또는 나사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를 박아 고정시켰던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탄성장치는 다음과 같은 폐단이 따른다.
즉 연결편에 압축스프링과 탄성지지링을 끼운 " T "자형로드를 연결 조립한 상태에서 펀칭을 하거나 나사를 박아 탄성지지링을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시 시간이 과다 소요되면서 조립성이 크게 떨어지고, 더불어 펀치홈이나 나사머리가 동체표면에 나타남으로써 외관이 단정하지 못하며, 조립에 따른 과다공정으로 인하여 제조원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등의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또한 위 구성외에도 선단외부면이 3-4개로 갈라진 ""형 콜릿방식 탄성지지구나, 선단을 여러갈래로 갈라지게 형성한 ""형 구성도 있으나 이들은 압축스프링에 의해 탄성장치내부에 설치될 때 안정적으로 압축스프링을 지지하지 못하여 조립불량발생률이 25% ~ 40%에 이르고 또 사용하는 과정에서도 오래가지 않아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 그 이유는 위의 두가지 방식 모두 판재를 프레스 작업후 말아서 형성한 것이기에 스프링의 지지면적이 매우 좁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탄성자치내에 삽입되어 연결편의 로드와 결합된 압축스프링을 지지하여 주도록 된 탄성지지구를 얇은 스테인레스판을 이용하여 형성하되 3-5개 정도의 탄성편을 가지도록 프레스로 ""형으로 형성하여 각각의 탄성편을 절곡시켜 ""형으로 형성시키고, 탄성장치의 동체에 형성된 구멍내부에는 상기 탄성장치가 걸려 지지되도록 걸림요홈을 형성하여 연결편과 연결되는 로드에 압축스프링과 함께 탄성지지구를 삽입시킬 때 탄성지지구에 형성된 탄성편이 오므러들면서 삽입되다가 걸림요홈 내에 도달하면 탄성편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걸림요홈에 걸려 있게 함으로써 압축스프링이 지지되는 면적이 매우 넓게하여 불량발생률을 극소화시키고 더불어 조립이 손쉽고, 외관이 단정한 탄성장치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전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경다리용 탄성장치 (2) : 동체
(3) : 구멍 (4) : 연결편
(5) : "T" 자형 로드 (6) : 압축스프링
(7) : 탄성지지구 (7') : 원형구멍
(7") : 탄성편 (8) : 스페이서
동체(2)에 깊은 구멍(3)을 형성하고, 연결편(4)과 " T "자형 로드(5)는 결합 고정시키기 전에 로드(5)에 압축스프링(6)과 탄성지지구를 끼운 뒤 결합 고정시킨 다음, 동체(2) 외부에서 펀칭 또는 나사를 체결하여 구성한 통상의 탄성장치에 있어서, 동체(2)에 형성된 구멍(3) 내측에 테이퍼진요부(3')를 형성하고, 탄성지지구(7)는 얇은 스테인레스판을 이용하여 형성하되, 원형구멍(7')을 중심으로 3-6개정도(2개 또는 6개 이상도 됨)의 탄성편(7")을 ""형으로 형성한후, 탄성편(7")을 75°가량 절곡시켜 탄성지지구(7)가 ""형으로 되게 형성하여, 연결편(4)과 " T "자형 로드(5) 조립시 압축스프링(6)과 탄성지지구(7) 그리고, 원통형의 스페이서(8)를 끼운 상태에서 조립한 후 동체(2)에 밀어 끼우며, 탄성지지구(7)에 형성된 탄성편(7")이 동체(2)의 구멍(3) 내측에 형성된 테이퍼진 요부(3')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안경다리용 탄성장치(1)과 구성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탄성장치(1)를 조립할 때는, 먼저 연결편(4)과 " T "자형로드(5)에 압축스프링(6)과 탄성지지구(7), 그리고 원통형의 스페이서(8)를 끼운 뒤, 연결편(4)과 " T "자형로드(5)를 조립하고, 이 상태에서 동체(2)의 구멍(3)에 밀어 끼우면, 탄성지지구(7)가 구멍(3)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오므러들면서 삽입되다가 테이퍼요부(3') 위치에 도달하면 탄성력에 의해 원복되면서, 테이퍼진요부(3')에 탄성편(7") 끝단부가 걸려 빠지지 않게 되어 조립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위 과정에서 탄성지지구(7)는 " T "자형로드(5)가 끼워지는 원형구멍(7') 주위의 면적이 넓은 구성이기에 압축스프링(6)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따라 압축스프링(6)을 지지하는데 다른 불량발생을 극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외관도 매우 깔끔해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원통형의 스페이서(8)는 공차조절과 더불어 조립에 따른 불량률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동체(2)에 " T " 자형조립체를 끼워 조립할 때 탄성지지구(7)가 밀리게 되는 경우를 예방하는 것이다. 또한 탄성지지구(7)에 형성된 다수의 탄성편(7") 중 2개 또는 3개(탄성편이 4개 이상일 경우나 6개 이상일 경우)를 로드(5) 위치로 더욱 절곡시켜 연결편(4) 선단면과 맞닿게 하면 스페이서(8)는 불필요해지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체(2)에 형성된 구멍(3) 내측에 테이퍼진 요부(3')를 형성하고 탄성지지구(7)는 3-6개정도의 탄성편(7")을 형성하되 ""형으로 절곡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조립(불량발생이 극소화 되고) 나사나 펀치홈이 불필요하여 조립성이 뛰어나며, 외관이 깔끔하면서 원가절감효과 또한 큰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안경다리의 원활한 절첩을 위하여 동체에 구성된 구멍에 스프링이 끼워진 "T"자형의 로드를 연결편과 체결후 끼워넣되 이 로드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 저지수단에 있어서, 동체(2)의 구멍(3)의 일측 내주면에 테이퍼진요부(3')와; 이 요부에 "T"자형의 로드가 끼워지는 원형구멍(7')을 가지고, 이 원형구멍(7')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75°가량절곡된 탄성편(7'')이 구성된 스텐레스 재질의 탄성지지구(7)와; 조립시 탄성지지구(7)를 원활하게 밀어넣기 위한 수단인 원통형의 스페이서(8)를 구성하여 절첩을 용이하게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안경다리 탄성장치의 탄성지지구.
KR2019980022783U 1998-11-23 1998-11-23 안경다리탄성장치의탄성지지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243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783U KR200243951Y1 (ko) 1998-11-23 1998-11-23 안경다리탄성장치의탄성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783U KR200243951Y1 (ko) 1998-11-23 1998-11-23 안경다리탄성장치의탄성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140U KR19990008140U (ko) 1999-02-25
KR200243951Y1 true KR200243951Y1 (ko) 2001-12-01

Family

ID=6950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78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3951Y1 (ko) 1998-11-23 1998-11-23 안경다리탄성장치의탄성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9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140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0087B1 (en) Elastic miniaturized hinge for flex temple
EP1646906B1 (en) Recessed hinge to make the temples of spectacles elastic
KR200243951Y1 (ko) 안경다리탄성장치의탄성지지구
EP1114352B9 (en) Hinge wing with elastic device for temples of eyeglasses
EP1524547B1 (en) Elastic hinge particularly for monobloc temples
CN210948330U (zh) 快装式淋浴房门安装结构
KR20090028603A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CN209690649U (zh) 可伸缩镜腿的眼镜
CN209746290U (zh) 一种弹性连接结构的眼镜架
CN208543393U (zh) 一种弹簧卡销固定机构
KR100296856B1 (ko) 안경다리
KR200494490Y1 (ko) 안경 프레임
KR20170069504A (ko)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100498669B1 (ko) 안경용탄성힌지
CN223035450U (zh) 用于不锈钢柜安装的隐形连接结构
CN109434456A (zh) 一种新型阀芯组件及其装配工艺
CN220141728U (zh) 一种吻合器圆弧形钉仓组件
CN222050654U (zh) 一种眼镜用弹性铰链
CN217007882U (zh) 眼镜
CN222420691U (zh) 一种弹片式眼镜框架
CN211155994U (zh) 一种吻合器的连接结构
CN222939343U (zh) 一种眼镜脚用的连接件
CN216387622U (zh) 弹性铰链及眼镜
EP0886165A1 (en) Elastic hinge for spectacles
CN222734352U (zh) 一种具有弹片的铰链结构和可附加配件的铰链结构组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11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123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9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8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