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3651Y1 - 방수형 비상호출 스위치 - Google Patents

방수형 비상호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651Y1
KR200243651Y1 KR2020010014044U KR20010014044U KR200243651Y1 KR 200243651 Y1 KR200243651 Y1 KR 200243651Y1 KR 2020010014044 U KR2020010014044 U KR 2020010014044U KR 20010014044 U KR20010014044 U KR 20010014044U KR 200243651 Y1 KR200243651 Y1 KR 200243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emergency
main body
emergency call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이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원 filed Critical 이기원
Priority to KR2020010014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6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65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수형 비상호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10) 중앙에 스위치(25)를 돌설한 PCB기판(20)을 삽입하여 설치하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에는 램프(32)가 내장되어 누름작동에 따라 탄발적으로 출몰하며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누름작동체(30)와, 지지커버(40)를 방수되게 조립하여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비상신호를 가족, 제3자나 별도의 응급의료기관에 자동으로 통보(예를 들면 전화등에 의함)할수 있는 수신장치(미도시)에 보내도록 하는 비상호출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주택내 곳곳에 설치하여 환자나 노약자가 비상사고 발생시 이를 손쉽게 작동시켜 가족, 제3자나 응급의료기관에 통보하도록 하므로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특히 상기 스위치를 에폭시로 몰딩 성형하거나 고무패킹에 의해 방수처리하므로서, 주방이나 화장실과 같이 물기가 있는 곳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수형 비상호출 스위치{A EMERGENCY CALLING SWITCH}
본 고안은 방수형 비상호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주거공간내 적어도 한곳이상 설치하여 환자나 노약자 등이 움직일 수 없는 비상사고시 이를 작동시켜 가족이나 제3자에게 알리므로 도움을 요청하여 인명을 보호하는 방수형 비상호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나 노약자 등이 주거공간내에 홀로 남게 되는 경우에 여러가지 큰 사고의 발생우려가 있게 된다.
특히, 최근에 이르러 핵가족화되고 있어, 노인 들이 홀로 사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고 우려는 더욱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환자나 노약자 등이 주거공간내에서 사고로 몸을 움직일 수 없는 비상사태를 당하는 경우에, 외부나 가족에게 이를 신속하게 알릴수 없기 때문에 사고 피해가 더 심각해지게 된다.
물론, 상기한 상황에서 환자나 노약자가 몸을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으면, 전화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사고위치에서 전화가 있는 위치까지 이동해야하고, 사고로 경황이 없는 상황에서 전화를 거는 등의 복잡함이 있어, 환자나 노약자가 이를 신속히 대처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환자나 노약자 등의 사고는 화장실이나, 주방 등의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 심하게 미끄러지거나 하는 등의 여러가지가 상황이 있게 되므로주거공간내 여러 위치의 사고 위험을 미리 완벽하게 예방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곤란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환자나 노약자의 사고 문제는 그 보호자나 자녀 등에게 환자나 노약자를 안심하고 주택내에 거주하도록 하지 못하게 인식되므로, 상기 보호자나 자녀등이 자유롭게 주택밖의 생활을 못하게 되므로 인해 이중의 정신적, 물질적 피해를 갖게 되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게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주거공간내에 곳곳에 설치가능하여 환자나 노약자가 비상사고 발생시 손쉽게 가족이나 제3자에게 알려 도움을 요청하므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장소, 특히 주방이나 화장실 등과 같이 물기가 있어 사고 우려가 높은 곳에서도 방수기능때문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 중앙에 스위치를 돌설한 PCB기판을 삽입하여 전방에 고무커버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본체의 전방에는 램프가 내장되어 누름작동에 따라 탄발적으로 출몰하며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누름작동체와, 지지커버를 방수되게 조립하여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비상신호를 가족, 제3자나 별도의 응급의료기관에 자동으로 통보(예를 들면 전화등에 의함)할수 있는 수신장치(미도시)에 보내도록 하는 비상호출 스위치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7: 에폭시 8: 고무패킹
10: 본체 12: 조립공
20: PCB기판 25: 스위치
26: 고무커버 30: 누름작동체
32: 램프 35: 탄발스프링
40: 지지커버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2)에 고정설치되는 본체(10) 중앙에 형성된 조립공(12)으로 스위치(25)가 돌출된 PCB기판(20)을 삽입하여 전방에는 고무커버(26)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에는 램프(32)가 내장되고, 누름작동에 따라 탄발스프링(33)에 의해 탄발적으로 출몰하며 상기 스위치(25)를 작동시키는 누름작동체(30)와, 그 외측의 지지커버(40)가 조립되어 이루어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비상신호를 가족, 제3자나 별도의 응급의료기관에 자동으로 통보(예를 들면 전화등에 의함)할수 있는 수신장치(미도시)에 보내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무커버(26)의 전방 외주연과 PCB기판(20)의 후방에는 에폭시(6)(7)로 몰딩 성형하여 마감하고, 상기 본체(10) 및 지지커버(40)의 결합부위로는 고무패킹(8)을 감싸도록 조립하여 방수를 이루게 된다.
상기 램프(32)는 평시에는 멸등된 상태에서 스위치(25)를 누름작동시 점등되도록 하거나, 평시에는 점등된 상태에서 스위치(25)를 누름작동시 멸등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야간과 같이 어두울 때에는 상기 램프가 점등되어 있어, 환자나 노약자가 손쉽게 위치를 파악하도록 하고, 이 램프가 눌러 멸등됨에 따라 작동되었음을 확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설명부호로서, 42는 지지커버(40)의 중앙에 형성되어 누름작동체(30)의 버튼(35)이 돌출되도록 하는 작동공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비상호출 스위치는 주거환경내 곳곳에, 특히 환자나 노약자가 안전 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장소, 예를 들면 화장실, 주방 등에 적어도 한 곳이상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환자나 노약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경우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버튼(35)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버튼의 누름작동으로 누름작동체(30)가 고무커버(26)와 함께 스위치(25)를 눌러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25)가 작동되면, 상기 누름작동체(30)상의 램프(32)가 점등된 상태에서 멸등되거나, 멸등된 상태에서 점등되면서 작동됐지는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25)가 누름작동되면서, 일정 신호를 송출하므로서, 주거지역내에 있는 미도시된 수신장치가 수신하여 가족, 제3자나 응급의료기관 등에 전화연결 등으로 통보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환자나 노약자는 비상사고 발생즉시 가족, 제3자나 응급의료기관에 통보하여 도움을 요청하게 되므로서, 큰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스위치는 기능적으로 작동하는 PCB기판(20)의 전후방에서 고무커버(26)를 감싼상태로 에폭시(6)(7)를 몰딩성형하여 방수를 이루고, 또한 상기 본체(10)와 지지커버(40)는 그 결합부위로 고무패킹(8)에 의해 방수를 이루고 있어, 습기나 물기가 있는 주방이나 화장실 등에서도 그 기능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장치의 신뢰성을 높이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위치는 주택내 곳곳에 설치하여 환자나 노약자가 비상사고 발생시 이를 손쉽게 작동시켜 가족, 제3자나 응급의료기관에 통보하도록 하므로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스위치를 에폭시로 몰딩 성형하거나 고무패킹에 의해 방수처리하므로서, 주방이나 화장실과 같이 물기가 있는 곳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환자나 노약자 등이 비상사고시 호출을 행하는 것에 있어서,
    벽면(2)에 고정설치되는 본체(10) 중앙에 형성된 조립공(12)으로 스위치(25)가 돌출된 PCB기판(20)을 삽입하여 전방에는 고무커버(26)를 감싸는 상태로 설치하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에는 램프(32)가 내장되고, 누름작동에 따라 탄발스프링(33)에 의해 탄발적으로 출몰하며 상기 스위치(25)를 작동시키는 누름작동체(30)와, 그 외측의 지지커버(40)가 조립되어 이루어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비상신호를 가족, 제3자나 별도의 응급의료기관에 자동으로 통보할수 있는 수신장치에 보내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비상호출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커버(26)의 전방 외주연과 PCB기판(20)의 후방에는 에폭시(6)(7)로 몰딩 성형하여 마감하고, 상기 본체(10) 및 지지커버(40)의 결합부위로는 고무패킹(8)을 감싸도록 조립하여 방수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비상호출 스위치.
KR2020010014044U 2001-05-14 2001-05-14 방수형 비상호출 스위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43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044U KR200243651Y1 (ko) 2001-05-14 2001-05-14 방수형 비상호출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044U KR200243651Y1 (ko) 2001-05-14 2001-05-14 방수형 비상호출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651Y1 true KR200243651Y1 (ko) 2001-10-15

Family

ID=7306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04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3651Y1 (ko) 2001-05-14 2001-05-14 방수형 비상호출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6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66B1 (ko) 2009-07-24 2010-01-06 이화랑 방수 에스엠피에스 내장형 조립식 멀티소켓 장치
KR200449432Y1 (ko) 2008-03-05 2010-07-09 유철상 중장비 차량용 스위치의 기밀장치
CN109520100A (zh) * 2018-12-21 2019-03-26 格力电器(合肥)有限公司 应急开关装置、空调内机及空调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32Y1 (ko) 2008-03-05 2010-07-09 유철상 중장비 차량용 스위치의 기밀장치
KR100935366B1 (ko) 2009-07-24 2010-01-06 이화랑 방수 에스엠피에스 내장형 조립식 멀티소켓 장치
CN109520100A (zh) * 2018-12-21 2019-03-26 格力电器(合肥)有限公司 应急开关装置、空调内机及空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1125B2 (en) Telephone adapted for emergency dialing by touch
US4228426A (en) Hospital bed monitor
CA2545776C (en) Improved sensor plate for electronic flushometer
US4510350A (en) Personal alarm apparatus including wrist supported transmitter and receiver/telephone interface circuit
US6366538B1 (en) Interference structure for emergency response system wristwatch
US20040095254A1 (en) Door bell answering system
CA2274428A1 (en) Toilet seat occupancy monitoring apparatus
US11080985B2 (en) Alarm triggering device and circuitry therefor
WO2015189700A1 (en) System and device for management of medication delivery devices
KR200243651Y1 (ko) 방수형 비상호출 스위치
WO2002034010A3 (en) Hearing device with integrated battery compartment and switch
US7408476B1 (en) Emergency shut-off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GB2189634A (en) Fire protection device
US7209730B2 (en) Telephone adapted for emergency dialing by touch
US5307047A (en) Emergency ring
RU177030U1 (ru) Кнопка с передатчиком сигнала беспроводная антивандальная для людей с инвалидностью
US7990277B2 (en) Call cord alert with bracket
KR200252007Y1 (ko) 비상호출용 스위치장치
JPH0447505B2 (ko)
KR200321568Y1 (ko) 비상버튼을 설치한 휴대전화
JP3252036U (ja) 呼出しユニット
JP6828799B2 (ja) コールスイッチ
KR200155282Y1 (ko) 소방용 경보장치
KR200162869Y1 (ko) 화재경보기
KR200270465Y1 (ko) 노인 안부확인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51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5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0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8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7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