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3648Y1 -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 Google Patents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648Y1
KR200243648Y1 KR2020010014014U KR20010014014U KR200243648Y1 KR 200243648 Y1 KR200243648 Y1 KR 200243648Y1 KR 2020010014014 U KR2020010014014 U KR 2020010014014U KR 20010014014 U KR20010014014 U KR 20010014014U KR 200243648 Y1 KR200243648 Y1 KR 200243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fre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식
구희준
Original Assignee
이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종 filed Critical 이기종
Priority to KR2020010014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648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핸즈프리 본체와; 상기 핸즈프리 본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시계 타입의 핸즈프리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손목시계 타입의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시계인 핸즈프리 단말기로 휴대폰과 무선 송수신을 통해 통화 및 메시지 확인 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HANDSFREE DEVICE FOR WRIST WATCH TYPE MOBILE PHONE}
본 고안은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목 시계를 통해 통화 및 메시지 확인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가 가능한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 즉, 휴대폰(mobile phone)은 어느곳, 어느 때에라도 정보의 전달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발된 정보통신 뉴미디어의 일종이다.
현재까지 단말기(hand-set)의 송신주파수(transmitting frequency)를 기준으로 할 때 824-849MHz 주파수대역의 셀룰라(cellular) 휴대전화와 1750-1780MHz대의 PCS가 있다.
또한 2000년대 초에 출시될 IMT-2000은 2000MHz 주파수 근처인 1920-1980MHz의 주파수 사용이 확정된 상태이다. 미국 등과 같은 선진국의 경우는 셀룰라 휴대폰의 주파수는 우리의 것과 동일하지만 PCS의 경우는 우리보다 약 100MHz 높은 1850-1910MHz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더구나 휴대폰 시장의 60% 이상을 담당하고 있는 유럽의 경우는 GSM 방식으로 단말기 송신주파수가 880-915MHz를 적용하고 있다. 또 가정용의 무선전화기(codeless telephone)로는 914MHz(CT1), 885MHz(CT1+)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의 급증된 사용과 더불어 나타나는 현상이 휴대폰에 대한 인체의 유해성 시비이다. 휴대폰을 사용할 때 휴대폰 내부의 고주파 회로에 의해서 증폭된 신호가 안테나를 통하여 전자파로 바뀌게 되므로 이는 안테나에 바로 인접한 인체 두뇌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자파에 따른 두뇌 및 부근 생체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가끔씩 보고는 되고 있지만 정확한 과학적 증명이 어려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정상조직의 이상화와 암조직의 발생이 전자파와 매우 유관하다는 사실이 이미 많은 국내외 과학자들로부터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표에도 불구하고 휴대폰 생산업체에서는 적절한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 이는 눈에 보이지 않은 전자파에 대한 무감각과 뜨거움이나 가려움 등의 1차적인 감각 작용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거부감이 없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핸즈프리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핸즈프리장치는 차량 등에 설치하고, 핸즈프리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보행 중에 핸드폰을 직접 조작하여 통화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핸즈프리장치는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통화시에 사용자가 휴대폰을 조작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보행 중에는 휴대폰을 항상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있거나 손에 들고 있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을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에 휴대폰의 디자인이나 크기 등에 민감하게 유행을 따를 수밖에 없어 경제적으로 큰 낭비를 초래하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과 무선 송수신을 통해 통화 및 메시지 확인 등이 가능한 손목 시계 타입의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핸즈프리 본체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핸즈프리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 때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를 이용하여 전화를 받거나 문자 및 음성 메시지를 받을 때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 통신 단말기 10 : 핸즈프리장치
100 : 핸즈프리 본체 110 : 전원 공급부
120 : 커넥터 130 : 본체용 메모리
140 : 본체용 중앙처리장치 150 : 본체용 RF 모듈부
200 : 핸즈프리 단말기 201 : 시계 본체
202 ; 시계줄 210 : 배터리
220 : 단말기용 RF 모듈부 230 : 음성 처리부
231 : 스피커 232 : 마이크
240 : 키 입력부 250 : 그래픽 LCD
260 : 타이머 270 : 단말기용 메모리
280 : 단말기용 중앙처리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핸즈프리 본체와, 상기 핸즈프리 본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시계 타입의 핸즈프리 단말기를 포함하는 핸즈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본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시스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메모리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 사이의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제 1RF 모듈부와,
상기 핸즈프리 본체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가 왔음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프로토콜에 따라 이를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로 알리며,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1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는,
시계 본체와,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RF 모듈부와,
상기 RF 모듈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무선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무선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음성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음성 처리부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와,
사용자가 조작에 따라 다이얼 기능을 수행하거나 그 이외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트 키와 통화 키 및 각종 메뉴 키를 구비하는 키 입력부와,
제어 신호에 따라 시스템 상황을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현재 시간과 통화 시간 등을 체크하는 타이머와,
시스템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며, 무선 데이터중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 2메모리와,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사용자의 조작 신호 및 음성을 상기 RF 모듈부를 통해 상기 핸즈프리 본체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핸즈프리 본체를 통해 수신되는 RF 데이터를 음성 및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여 배터리 잔량과, 통화 수신 감도와, 문자 메시지 도착 여부 및 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2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의 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하며, 상기 시계 본체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계 본체의 외측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의 스피커 및 마이크는 상기 시계 본체의 시계줄에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그래픽 LCD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의 키 입력부는 디지트 키와 통화 키 및 각종 메뉴 키가 상기 시계 본체의 상면 테두리에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의 제 2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하여 저전압이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외부로 방출하여 저전압을 알린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핸즈프리 본체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핸즈프리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10)는 핸즈프리 본체(100)와, 핸즈프리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핸즈프리 본체(100)는 커넥터(110)와, 전원 공급부(120)와, 본체용 메모리(130)와,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30)와, 본체용 RF 모듈부(150)로 구성된다.
커넥터(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의 본체의 하측에 설치된 커넥터 핀(도시 생략)과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전원 공급부(120)는 커넥터(110)를 통해 공급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1)의 전원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서 전원 공급부(110)는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여 독자적인 전원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나, 크기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의 배터리의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용 메모리(130)는 시스템에 필요한 데이터(프로토콜 데이터 등)를 저장하고, 핸즈프리 단말기(200)로부터 무선 데이터가 전송되면 이를 저장한다. 본체용 RF 모듈부(150)는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40)의 제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와 핸즈프리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40)는 핸즈프리 본체(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1)에 전화,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가 왔음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이를 핸즈프리 단말기(200)로 알린다. 또한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40)는 핸즈프리 단말기(200)로부터 무선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무선 데이터 수신이 되면 본체용 메모리(130)에 이를 저장시킨 후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와 프로토콜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
핸즈프리 단말기(200)는 시계 본체(201)와, 배터리(210)와, 단말기용 RF 모듈부(220)와, 음성 처리부(230)와, 스피커(231)와, 마이크(232)와, 키 입력부(240)와, 그래픽 LCD(250)와, 타이머(260)와, 단말기용 메모리(270)와, 단말기용 중앙처리장치(280)로 구성된다.
시계 본체(201)는 시계줄(202)을 포함하며, 배터리(210)는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서 배터리(210)는 재충전이 가능하며, 시계 본체(201)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시계 본체(201)의 외측에 설치된다.
단말기용 RF 모듈부(220)는 핸즈프리 본체(100)의 본체용 RF 모듈부(140)와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음성 처리부(230)는 단말기용 RF 모듈부(22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시키거나 마이크(23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스피커(231)는 음성 처리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증폭하여 출력하고,마이크(232)는 음성 처리부(230)로 음성을 증폭하여 입력한다. 여기에서 스피커(231) 및 마이크(232)는 시계 본체(201)의 시계줄(202)에 외측에 형성된다.
키 입력부(240)는 사용자가 조작에 따라 다이얼 기능을 수행하거나 그 이외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트 키와 통화 키 및 각종 메뉴 키를 구비하고, 디지트 키와, 통화 키 및 각종 메뉴 키가 시계 본체(201)의 상면 테두리에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그래픽 LCD(250)는 단말기용 중앙처리장치(2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시스템 상황(시간, 수신 감도, 배터리 잔량, 문자 메시지와 이의 도착 여부, 다이얼링 번호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타이머(260)는 단말기용 중앙처리장치(280)의 제어에 따라 현재 시간과 통화 시간 등을 체크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단말기용 메모리(270)는 시스템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며, 문자 메시지가 저장된다.
단말기용 중앙처리장치(280)는 각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사용자의 조작 신호 및 음성을 단말기용 RF 모듈부(220)를 통해 핸즈프리 본체(100)로 전송하고, 핸즈프리 본체(10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및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통화 또는 문자 및 음성 메시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단말기용 중앙처리장치(280)는 그래픽 LCD(250)를 제어하여 배터리 잔량과, 통화 수신 감도와, 문자 메시지 도착 여부 및 시간을 디스플레이하고, 배터리(210)의 전압을 체크하여 저전압이면 스피커(231)를 통해 경고음을 외부로 방출하거나 또는 그래픽 LCD(250)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켜 저전압을 알린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동작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를 걸 때〉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 때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핸즈프리 단말기(200)의 키 입력부(240)를 통해 다이얼링을 하면(S1), 단말기용 중앙처리장치(280)는 단말기용 RF 모듈부(220)를 제어하여 이에 해당되는 무선 데이터를 핸즈프리 본체(100)로 송출한다(S2).
그러면 핸즈프리 본체(100)의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40)는 본체용 RF 모듈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데이터를 본체용 메모리(130)에 저장한 후(S3), 이를 분석하여 올바른 데이터이면 통화 요청에 해당되는 데이터인지를 판별한다(S4, S5).
그리하여 데이터가 통화 요청에 해당되면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로 해당 데이터를 커넥터(110)를 통해 전송한 후(S6), 이동 통신 단말기(1)가 통화를 수행하면 본체용 RF 모듈부(150)를 제어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와 핸즈프리 단말기(2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S7). 여기에서 만약 본체용 RF 모듈부(150)를 통해 입력된 무선 데이터가 올바른 데이터가 아니면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40)는 핸즈프리 단말기(200)로 무선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구하고(S12),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40)와 단말기용 중앙처리장치(280)는 해당 데이터가 통화 요청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아니면 해당 루틴을 처리하게 된다(S13).
또한 단말기용 중앙처리장치(280)는 통화가 가능하여 통화가 연결되면(S8, S9), 그래픽 LCD(250)에 통화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고(S10), 통화가 종료되면 모든 동작을 종료한다(S11).
〈전화를 받거나 문자 및 음성 메시지를 받을 때〉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를 이용하여 전화를 받거나 문자 및 음성 메시지를 받을 때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핸즈프리 본체(100)의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와 주기적으로 프로토콜을 교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의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S20). 이러한 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데이터가 수신되면(S21),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40)는 통화 요청에 해당되는 데이터인지를 판별한다(S22). 수신된 무선 데이터가 통화 요청에 해당되면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40)는 본체용 RF 모듈부(15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데이터를 핸즈프리 단말기(200)로 송출하고(S23), 무선 데이터의 송출을 체크한다(S24). 무선 데이터의 송출이 체크되면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와 핸즈프리 단말기(200) 사이에서 무선 데이터를 전송하여 통화를 연결하고(S25, S26), 통화가 종료되는지를 확인하여 통화가 종료되면 모든 동작을 종료한다(S27). 그리고, 단계 25(S25)에서 송출 체크가 완료되지 않으면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에 재송출을 요구한다(S28).
한편, 단계 22(S22)에서 수신된 무선 데이터가 통화 요청에 해당되지 않고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이면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40)는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에 해당되는 무선 데이터를 핸즈프리 단말기(200)로 송출하고(S29), 무선 데이터의 송출을 체크하여 체크 완료되면 모든 동작을 종료한다(S30, S31). 그러면 핸즈프리 단말기(200)의 단말기용 중앙처리장치(280)는 그래픽 LCD(250)에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디스플레이시킨다. 그리고, 단계 31(S)에서 송출 체크가 완료되지 않으면 본체용 중앙처리장치(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에 재송출을 요구한다(S31).
〈그 이외의 동작을 수행할 때〉
핸즈프리 단말기(200)의 단말기용 중앙처리장치(280)는 핸즈프리 단말기(200)가 핸즈프리로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체크하여 핸즈프리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면 타이머(260)에서 시간을 읽어들여 현재의 시간을 계산하여 그래픽 LCD(250)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때 단말기용 중앙처리장치(280)는 시간과 함께 전파의 수신 감도와, 음성 및 문자 메시지 도착 여부 및 배터리(210)의 잔량 등을 함께 디스플레이시킨다.
또한 단말기용 중앙처리장치(280)는 배터리(210)의 전압을 측정하여 전압이 기준 이하로 떨어져있는지를 체크하고, 기준 이하인 경우 배터리(210)의 전압 충전을 알리는 경고음 또는 경고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또 단말기용 중앙처리장치(280)는 키 입력부(240)를 통해 입력되는 기능에 따라 해당 루틴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핸즈프리장치의 단말기를 시계 타입으로 제공함으로써 휴대 및 조작이 용이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시 발생하는 전자파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에 의하면, 휴대폰과 무선 송수신을 통해 통화 및 메시지 확인 등이 가능한 손목 시계 타입의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핸즈프리 본체와, 상기 핸즈프리 본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시계 타입의 핸즈프리 단말기를 포함하는 핸즈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본체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시스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메모리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 사이의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제 1RF 모듈부와,
    상기 핸즈프리 본체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가 왔음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프로토콜에 따라 이를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로 알리며,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 1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는,
    시계 본체와,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RF 모듈부와,
    상기 RF 모듈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무선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무선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음성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음성 처리부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와,
    사용자가 조작에 따라 다이얼 기능을 수행하거나 그 이외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트 키와 통화 키 및 각종 메뉴 키를 구비하는 키 입력부와,
    제어 신호에 따라 시스템 상황을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현재 시간과 통화 시간 등을 체크하는 타이머와,
    시스템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며, 무선 데이터중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 2메모리와,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사용자의 조작 신호 및 음성을 상기 RF 모듈부를 통해 상기 핸즈프리 본체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핸즈프리 본체를 통해 수신되는 RF 데이터를 음성 및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여 배터리 잔량과, 통화 수신 감도와, 문자 메시지 도착 여부 및 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2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타입의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의 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하며, 상기 시계 본체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계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의 스피커 및 마이크는,
    상기 시계 본체의 시계줄에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그래픽 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의 키 입력부는,
    디지트 키와 통화 키 및 각종 메뉴 키가 상기 시계 본체의 상면 테두리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단말기의 제 2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하여 저전압이면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외부로 방출하여 저전압을 알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KR2020010014014U 2001-05-14 2001-05-14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KR200243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014U KR200243648Y1 (ko) 2001-05-14 2001-05-14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014U KR200243648Y1 (ko) 2001-05-14 2001-05-14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416A Division KR20010107158A (ko) 2000-05-25 2000-05-25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648Y1 true KR200243648Y1 (ko) 2001-10-15

Family

ID=7306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014U KR200243648Y1 (ko) 2001-05-14 2001-05-14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6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84361A (ja) ワイヤレス型送受話器セット
JP5494327B2 (ja) 無線通信装置
JP2714229B2 (ja) 腕時計型携帯用無線電話機
KR20010107158A (ko)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GB2365692A (en) Wireless speaker for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7251498B2 (en) Radio headset system
KR200243648Y1 (ko) 손목시계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
US20170245118A1 (en) Mobile phone case with wireless intercom
JPH09224075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JP2005167618A (ja) 時刻補正機能付き無線携帯端末機
JP2003333136A (ja) 携帯電話機
KR19990040480A (ko) 손목 시계형 개인 휴대 무선 통신장치
JPH07143051A (ja) 無線機能内蔵型セルラー電話機
US20010049294A1 (en) Wrist-worn radiotelephone arrangement
CN218446400U (zh) 一种能够短距离通讯的手表
JP2983326B2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3296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송/수신제어장치
JPH0440046A (ja) ペンシル型携帯用無線電話機
KR20019313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신호 수신장치
JP2000286939A (ja) 腕時計型携帯用無線電話機
KR20010108607A (ko) 손목 폰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000055477A (ko) 손목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
US75328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miting communication range of fixed wireless terminal
KR200202417Y1 (ko) 터치패드형 무선 전화기
KR101061573B1 (ko) 휴대폰 손목시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14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5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20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