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3136Y1 - 계자온도제어가가능한직류전동기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계자온도제어가가능한직류전동기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136Y1
KR200243136Y1 KR2019960038869U KR19960038869U KR200243136Y1 KR 200243136 Y1 KR200243136 Y1 KR 200243136Y1 KR 2019960038869 U KR2019960038869 U KR 2019960038869U KR 19960038869 U KR19960038869 U KR 19960038869U KR 200243136 Y1 KR200243136 Y1 KR 200243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urrent
field
signal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8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017U (ko
Inventor
윤희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60038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136Y1/ko
Publication of KR199800260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0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13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온환경에서 단시간운전, 장시간 대기하는 직류전동기에 구비되는 계자코일의 온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계자온도(Field Tempreture) 제어가 가능한 직류 전동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자권선 및 계자권선과 정류자로 이루어지는 직류전동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전기자리퍼런스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기자권선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을 조절하여 직류전동기의 구동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전기자제어부와, 전기자권선에 전압이 인가되면 계자리퍼런스신호에 따른 통상의 계자전류를 계자코일에 인가하고 전기자권선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때에는 통상의 전류보다 낮은 전류를 직류전동기 내부온도에 반비례하게 계자코일에 인가하는 계자제어부를 구비함에 의한다.

Description

계자온도제어가 가능한 직류 전동기 제어장치
본 고안은 직류전동기(DC MOTOR)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환경에서 단시간운전, 장시간 대기로 동작하는 직류전동기에 구비된 계자코일의 온도가 주변온도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계자온도(Field Tempreture) 제어가 가능한 직류 전동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전동기는 자속을 만드는 계자(FIELD)코일과, 토크(회전력)를 발생시키는 전기자(AMARTURE)코일 및 전기자코일로 흐르는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자로 이루어지는데, 그 동작은 계자코일에 전류를 흘려 일정한 자속이 만들어진 상태에서 전기자코일에 전류를 흐르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그 전류에 일정 방향의 힘이 발생하게 되어 토크가 발생된다. 그리고, 직류전동기는 교류전동기와는 달리 정류자면이 있기 때문에 구동시 정류자면의 온도를 60°~70°로 유지시켜 카본 브러쉬와의 접촉을 원할하게 해야 하기 때문에 정시상태에서도 계자코일에 전류를 계속 통전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직류전동기 제어장치를 도시한 회로도로써, 계자리퍼런스신호(Fref)가 계자전류제어기(16)를 통해 전류제어되어 펄스발생기(17)로 입력되고, 이 펄스발생기(17)는 전류제어된 펄스신호를 발생하여 계자코일(19b)와 전원인가단사이에 구비되는 다이리스터(18)의 게이트에 인가한다. 이에 다이리스터(18)는 상기 펄스발생기(17)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제어된 펄스신호에 따라서 도통/차단동작하여 계자코일(19b)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고, 이에 계자코일(19b)주변에 일정한 자계가 형성된다. 상기 상태에서 전기자리퍼런스신호(Nref)는 태코제너레이터(14)로부터 출력되는 피드백신호에 가감되어 속도제어기(11) 및 전류제어기(12)로 입력되며, 상기 속도제어기(11)는 직류전동기(19)의 속도를 가감시키는 방향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는 전류제어기(12)에 의하여 전류제어된 후, 펄스발생기(13)로 입력된다. 상기 펄스발생기(13)는 상기 발생된 펄스신호를 직류전동기(19)의 전기자권선(19a)과 변압기의 출력단사이에 구비된 다이리스터(15)의 게이트에 인가하며, 상기 펄스신호에 따라 다이리스터(15)가 도통/차단동작하여 소정 전압이 전기자권선(19a)에 인가되어, 상기 인가된 전압에 비례한 토크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자권선(19a)에 의하여 발생된 토크의 회전속도는 태코제너레이터(14)에 의하여 검출되어 전기자리퍼런스신호(Nref) 입력단으로 피드백되어, 전기자권선(19a)의 속도를 제어하는 전기자리퍼런스신호(Nref)와 가감된다.
그리고, 열간압연공정에서 이송된 소재를 냉각대로 이송시켜주는 컨베어모터(ENTRY CONVEYOR MOTOR)와 냉각대를 구동시키는 모터(WALKING BEAM MOTOR)등과 같은 직류 전동기는 약 1100℃의 고온 소재를 이송시키기 때문에 모터 주변의 온도가 최고 120℃까지 올라가는 환경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온소재의 이송간격에 따라서 단시간(약, 20초)운전후 장시간(약, 120초)정지동작하는데, 이런 고온환경이고, 전기자코일에 의한 회전이 없는 상태에서 계자권선에는 계속 일정한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계자의 권선온도가 상승하여 그 권선절연물이 녹으면서 권선이 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4a도에 보인 그래프에서와 같이, 전기자전류가 단시간 인가되는데, 계자전류는 항시 일정전류로 인가됨으로써, 주변온도에 따라 권선온도는 계속 상승하며, 전기자의 운전구간에서 약간 하강하다가 다시 전기자전류가 0이 되면 계속 상승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종래의 직류전동기 제어장치는 계자코일의 온도와는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전류를 계자코일에 인가시킴으로써, 고온환경에서 단시간운전 장시간정지로 구동하는 직류모터에서는 권선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권선이 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직류전동기가 정지 상태일 때에는 내부의 온도에 반비례하여 계자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고, 직류전동기의 운전시에는 통상의 계자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여 계자코일에 의한 온도가 항상 적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계자온도제어가 가능한 직류 전동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직류전동기 제어장치를 도시한 개략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직류전동기 제어장치를 도시한 개략구성도이다.
제3도는 계자온도제어부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상세회로도이다.
제4a도는 종래의 제어장치에 의한 직류전동기의 동작상태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제4b도는 본 고안의 제어장치에 의한 직류전동기의 동작상태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기자제어부 200 : 직류전동기(DC MOTOR)
300 : 계자제어부 110 : 1:1증폭기
120 : 제로홀드스위치 130 : 과속도검출기(OSD:OVER SPEED DETECTOR)
210 : 전기자코일 220 : 계자코일
310 : 비교기 320 : A접점스위치
330 : B접점스위치 340 : 트랜듀서
350 : 측온저항체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고안은 전기자권선 및 계자권선과 정류자로 이루어지는 직류전동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전기자리퍼런스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기자권선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직류전동기의 구동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전기자제어부와, 전기자권선에 전압이 인가되면 계자리퍼런스신호에 따른 통상의 전류를 계자코일에 인가하고, 전기자권선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통상의 전류보다 낮은 전류를 직류전동기 내부온도에 반비례하게 계자코일에 인가하는 계자제어부를 구비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직류전동기 제어장치를 도시한 개략구성도로써, 크게 토크를 발생시키는 전기자(210)와 자속을 일으키는 계자코일(220)로 이루어지는 직류전동기(200)와, 상기 직류전동기(200)의 전기자(210)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여 직류전동기(200)의 구동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전기자제어부(100)와, 상기 직류전동기(200)의 계자코일(220)로 인가되는 전류를 전기자(210)의 구동여부와 직류전동기(200)의 내부온도에 따라서 제어하여 적정 계자온도를 유지시키는 계자제어부(300)를 구비하며, 상기 전기자제어부(100)는 전기자리퍼런스신호(Nref)입력단에 연결되는 1:1증폭기(110)와, 상기 1:1증폭기(110)와 접지사이에 구비되어 온/오프스위칭동작하는 제로홀드스위치(12)와, 상기 1:1증폭기(110)의 출력신호와 태코제너레이터(14)로부터 출력되는 피드백신호를 가감한 신호에 따라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전기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속도제어기(11)와, 상기 속도제어기(11)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전류제어동작하는 전류제어기(12)와, 상기 전류제어기(1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펄스발생기(13)와, 상기 펄스발생기(13)로부터 인가된 펄스신호에 따라서 도통/차단동작하여 전기자권선(210)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다이리스터(15)와, 상기 전기자권선(210)으로의 전원인가에 따른 직류전동기(200)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1:1증폭기(110)의 출력측으로 피드백하는 태코제너레이터(14)와, 상기 태코제너레이터(14)에 의하여 검출된 직류전동기(200)의 회전속도가 설정속도를 넘으면 상기 제로홀드스위치(120)를 도통동작시키는 과속도검출기(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자제어부(300)는 상기 전기자리퍼런스신호(Nref)가 입력되는지를 비교검출하는 비교기(310)와, 계자리퍼런스신호(Fref) 입력측에 구비되어 상기 비교기(310)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위칭동작하는 A접점스위치(320)와, 트랜듀서(340)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310)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위칭동작하는 B접점스위치(330)와, 상기 A접점스위치(320) 또는 B접점스위치(330)로부터 출력되는 계자제어신호를 전류제어하는 전류제어기(16)와, 상기 전류제어기(16)를 통해 출력되는 계자제어신호에 따른 펄스신호를 발생시켜 다이리스터(18)의 게이트에 인가하는 펄스발생기(17)와, 계자코일(220)과 전원인가단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펄스발생기(17)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도통/차단동작하여 계자코일(220)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다이리스터(17)와, 상기 직류전동기(200)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측온저항체(350)와, 상기 측온저항체(350)에 의하여 검출된 온도에 반비례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트랜듀서(340)를 구비한다.
제3도는 상기 제2도에 보인 계자제어부(300)의 상세 회로도로써, 반전입력단(-)이 저항(R1)을 통해 전기자리퍼런스신호(Nref)입력단과 연결되고 비반전입력단은 저항(R2)를 통해 접지되며 또한 출력단에 저항(R3)을 통해 피드백되는 연산증폭기(311)로 이루어지는 비교기(310)와, 상기 비교기(310)의 출력측에 게이트가 연결되며 계자리퍼런스신호(Fref) 입력측에 직렬 연결되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321)인 A접점스위치(320)와, 상기 비교기(310)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인버터(332)와 상기 인버터(332)의 출력단과 그 게이트가 연결되며 트랜듀서(340)의 출력측에 직렬연결되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330)와, 상기 두 전계효과트랜지스터(321),(331)이 그 입력단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전류제어기(16)와, 상기 전류제어기(1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펄스신호를 발생시켜 다이리스터(17)의 게이트로 인가하는 펄스발생기(17)와, 상기 펄스발생기(17)로부터의 펄스신호에 따라 도통/차단동작하여 계자코일(220)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다이리스터(18)와, 상기 직류전동기(200)의 내부온도에 비례하여 저항이 가변되는 측온저항체(350)와, 일입력단(+)에 저항(R4)를 통해 콜렉터가 연결되고, 또한 저항(R6)을 통해 베이스가 연결되며, 그 이미터는 저항(R7)을 통해 접지됨과 동시에 타입력단(-)에 연결되며 그 베이스와 이미터사이에 상기 측온저항체(350)가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가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33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트랜듀서(340)로 이루어진다.
제4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장치에 의한 직류전동기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먼저, 제2도를 보면서, 본 고안에 의한 직류전동기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측온저항체(350)은 직류전동기(200)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것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주변온도에 비례하여 저항값이 가변되는 소자, 예를들어 더어미스터를 사용한다. 즉, 상기 측온저항체(350)는 주변온도가 올라갈수록 저항값이 증가하고, 주변온도가 내려가면 저항값도 하강된다.
그리고, 트랜듀서(340)는 상기 측온저항체(350)에 의하여 검출된 주변온도를 계자제어신호로 변환한다. 다시말해서, 직류전동기(200)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면 계자제어범위내에서 정상시에 인가되는 계자리퍼런스신호(Fref)보다 낮은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트랜듀서(340)로부터 출력되는 계자제어신호는 B접점스위치(330)로 입력된다. 상기 B접점스위치(330)는 상시 도통상태로써, 이에 트랜듀서(340)로부터 출력되는 주변온도에 반비례한 계자제어신호가 전류제어기(16)로 입력된다.
그리고, 원래의 고정적인 값인 계자리퍼런스신호(Fref)는 상시 차단상태인 A접점스위치(320)로 인가된다.
상기 A접점스위치(320)과 B접점스위치(330)는 비교기(310)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스위치동작한다. 상기 비교기(310)는 전기자리퍼런스신호(Nref)를 기준신호("0")와 비교하여 기준신호보다 클때는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하고, 기준신호보다 작을 때는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A접점스위치(320)와 B접점스위치(330)는 상기 비교기(310)로부터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면 스위칭동작하여 상시상태와는 반대로 A접점스위치(320)는 도통상태가 되고, B접점스위치(330)는 개방상태가 된다. 따라서 A접점스위치(320)를 통해 계자리퍼런스신호(Fref)가 전류제어기(16)로 인가된다.
따라서, 전류제어기(16)는 직류전동기(200)가 정지상태일때는 B접점스위치(330)로부터 인가되는 주변온도에 반비례하는 계자제어신호를 전류제어하여, 펄스발생기(17)로 인가하고 펄스발생기(17)는 계자제어신호에 따른 펄스신호를 다이이스터(18)의 게이트로 인가한다. 이에 다이리스터(18)가 동작하여 계자코일(220)에 통상 공급되는 전류(계자리퍼런스신호(Fref)에 따른 전류)보다 적은 전류가 인가되고, 전기자(210)가 동작상태일 때, 즉, 전기자리퍼런스신호(Nref)가 인가될 때에는 A접점스위치(320)로부터 인가되는 계자리퍼런스신호(Fref)에 따라 다이리스터(18)로 전류제어된 펄스신호를 인가하고, 이에 다이리스터(18)는 종래와 같이 동작하여 통상 공급되는 전류를 계자코일(220)에 인가한다. 즉, 계자코일(220)에 전기자(210)가 동작상태일때보다 많은 전류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자리퍼런스신호(Nref)는 1:1증폭기(110)를 통해 출력되어 전기자(210)로부터 검출한 속도에 따른 피드백신호에 가감되어 속도제어기(11) 및 전류제어기(12)에 인가된다. 상기 속도제어기(11)는 전기자리퍼런스신호(Nref)와 태코제너레이터(14)로부터의 피드백신호를 가감연산하여 된 신호에 비례하여 속도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류제어기(12)는 속도제어기(1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전류제어하여 펄스발생기(13)로 인가한다. 이에 펄스발생기(13)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펄스신호는 다이리스터(15)의 게이트단으로 인가되어 다이리스터(15)를 도통/차다동작시키고, 이에 전기자(210)에 일정 전압이 인가되어 회전력(토크)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직류전동기(200)의 회전속도는 태코제너레이터(14)에 의하여 검출되어 1:1증폭기(110)의 출력단으로 피드백되고, 또한 상기 태코제너레이터(14)에 의하여 검출된 속도는 과속도검출기(130)로 인가된다. 이 과속도검출기(130)은 태코제너레이터(14)가 검출한 직류전동기(200)의 속도가 기준치를 넘으면 제로홀드스위치(120)를 도통동작시키고, 이에 전기자제어부(100)의 전기자리퍼런스신호(Nref)는 제로로 홀드되어 전기자권선(210)은 태코제너레이터(14)로부터 인가되는 마이너스의 피드백신호에 의하여 동작된다. 이로써, 직류전동기(200)의 회전속도는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장치에서의 동작을 제3도에 보인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서, 먼저 비교기(310)는 전기자리퍼런스신호(Nref) 입력단에 연결된 연산증폭기(311)로 이루어져, 전기자리퍼런스신호(Nref)가 "0"값인 경우, 상기 연산증폭기(311)의 출력은 로우레벨(↓)이 되고, 전기자리퍼런스신호(Nref)가 "0"값 이상인 경우, 그 출력은 하이레벨(↑)이 된다.
그리고, A접점스위치(320)를 이루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321)의 게이트로 상기 비교기(31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고, 전계효과트랜지스터(321)는 비교기(310)로부터 하이레벨신호가 인가될 때 도통동작하여 계자리퍼런스신호(Fref)를 전류제어기(16)로 인가한다. 반대로 B접점스위치(320)로 인가되는 비교기(310)의 출력신호는 인버터(332)를 통해 전계효과트랜지스터(331)의 게이트로 인가되며, 그러므로, 전계효과트랜지스터(331)는 비교기(310)로부터 로우레벨신호가 인가될 때 도통동작하여 트랜듀서(340)로부터 발생된 계자제어신호를 전류제어기(16)로 인가한다.
상기 트랜듀서(340)는 측온저항체(350)의 온도에 따른 저항변화에 따라 그 출력전압을 가변시키는 것으로써, 즉, 상기 측온저항체(350)의 저항변화에 따라 트랜지스터(Q1)의 입력전압이 가변되고, 트랜지스터(Q1)은 가변되는 입력전압을 일정증폭하여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331)를 통해 전류제어기(16)로 인가한다.
제4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직류전동기제어장치에 의한 계자전류제어시의 권선온도를 보이는 그래프로써, 전기자전류가 0인 동안은 계자전류를 "0"에 가까운 약계자전류로 인가하고, 전기자전류가 0이상일때에 정상계자전류를 인가한다. 이에의하여 권선온도는 상기 약계자전류에 의하여 하강되다가, 일정온도(전기자전류인가시의 정상적인 권선온도)에 이르면, 이후는 상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직류전동기가 정지상태일 때, 직류전동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계자전류를 낮춤으로써, 권선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직류전동기가 고온환경에 구비되더라도 권선온도를 항상 일정상태로 유지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권선소손을 방지하고, 직류전동기의 동작전류를 절감시킬 수 있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전기자권선 및 계자권선과 정류자로 이루어지는 직류전동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전기자리퍼런스신호 입력단에 구비되는 1:1증폭기와, 상기 1:1증폭기와 접지사이에 구비되어 도통상태일때 상기 1:1증폭기의 출력을 제로값으로 홀드하는 제로홀드스위치와, 상기 1:1증폭기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직류전동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기와, 상기 속도제어기에 연결되어 상기 직류전동기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제어기와, 상기 전류제어기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른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펄스발생기와, 상기 펄스발생기로부터의 펄스신호에 따라 도통/차단동작하며 전기자권선에 연결되는 전원인가라인에 직렬 연결되는 다이리스터와, 직류전동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태코제너레이터와, 상기 태코제너레이터에 의하여 검출된 직류전동기의 회전속도가 규정치이상이면 상기 제로홀드스위치를 도통시키는 과속도검출기로 이루어져, 전기자리퍼런스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기자권선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를 조절하여 직류전동기의 구동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전기자제어부; 및 직류전동기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측온저항체와, 상기 측온저항체에 의하여 검출된 직류전동기 내부온도 따라 계자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계자제어신호로 변환하는 트랜듀서와, 상기 전기자리퍼런스신호가 제로값 이상인지를 비교검출하는 비교기와, 계자리퍼런스신호입력단에 직렬연결되어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하이레벨신호에 따라 도통동작하는 A접점스위치와, 상기 트랜듀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하이레벨신호에 따라 스위칭동작하여 차단상태가 되는 B접점스위치와, 상기 A 접점스위치 및 B접점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전류제어하는 전류제어기와, 상기 전류제어기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른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펄스발생기와, 상기 계자코일과 전원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펄스발생기로부터의 펄스신호에 따라 도통/차단동작하여 계자코일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다이리스터로 이루어져, 전기자권선에 전압이 인가되면 계자리퍼런스신호에 따른 통상의 전류를 계자코일에 인가하고, 전기자권선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통상의 전류보다 낮은 전류를 직류전동기 내부온도에 반비례하게 계자코일에 인가하는 계자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자온도제어가 가능한 직류 전동기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온저항체는 온도에 비례하여 저항이 가변되는 소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계자온도제어가 가능한 직류 전동기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듀서는 소정전류가 인가되는 입력단에 그 베이스와 콜렉터가 각각 저항을 통해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의 이미터는 저항을 통해 접지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이미터사이에 상기 측온저항체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자온도제어가 가능한 직류 전동기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접점스위치는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에 그 게이트가 연결되며 계자리퍼런스신호입력단에 직렬연결되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이고, 상기 B접점스위치는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낫게이트와, 상기 낫게이트의 출력단에 그 게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트랜듀서의 출력측에 직렬연결되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자온도제어가 가능한 직류 전동기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반전입력단으로 전기자리퍼런스신호가 입력되고 비반전입력단은 접지되는 연산증폭기와 다수의 저항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자온도제어가 가능한 직류 전동기 제어장치.
KR2019960038869U 1996-11-07 1996-11-07 계자온도제어가가능한직류전동기제어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243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869U KR200243136Y1 (ko) 1996-11-07 1996-11-07 계자온도제어가가능한직류전동기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869U KR200243136Y1 (ko) 1996-11-07 1996-11-07 계자온도제어가가능한직류전동기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017U KR19980026017U (ko) 1998-08-05
KR200243136Y1 true KR200243136Y1 (ko) 2001-11-30

Family

ID=5398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8869U Expired - Lifetime KR200243136Y1 (ko) 1996-11-07 1996-11-07 계자온도제어가가능한직류전동기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1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017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71830A (en) Single phase motor starting control apparatus
US4607205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nnecting inverter to rotating motors
US3868554A (en) Current limit system for DC motor control
CA1182518A (en) Motor power factor controller with a reduced voltage starter
US4879639A (en) Power converter for driving an AC motor at a variable speed
JP2589518B2 (ja) 直流調整装置
KR970004349A (ko) 반도체 전원 스위치용 구동 회로
US4259620A (en) Low cost, variable speed, constant torque induction motor drive
US5731674A (en) Motor with variable edge steepness
US4233549A (en) Speed and torque control for fractional horsepower motors
JPH0740799B2 (ja) 交流モータの回転数およびトルク調整装置
US4152632A (en) D.C. motor speed control apparatus having both armature current rate control and zero current deadtime optimized
US4349912A (en) Electrode positioning control
US3525924A (en) Generator voltage regulator utilizing time ratio control
US3764822A (en) Arrangement for driving the drum of a washing machine
KR200243136Y1 (ko) 계자온도제어가가능한직류전동기제어장치
US3684940A (en) Power amplifier having source of different power capabilities for energizing a servo motor
US4956599A (en) Power control apparatus
US4302711A (en) DC Servomotor circuit having drive current controlled as a function of motor speed
US3427506A (en) Voltage responsive pulse width limiting means for pulse modulation system
US3250975A (en) Electric motor speed and braking control systems
JP4021985B2 (ja) 直列に接続されたターン・オフ型の電力用半導体デバイスに対する短絡回路現象の検出および処理のための方法とデバイス
US3517291A (en) Electric motor speed control
CA1102871A (en) Power control circuit
US4121142A (en) Full-wave bidirectional DC motor drive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10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07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121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8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