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3046Y1 - 의복벨트용 고리쇠 - Google Patents

의복벨트용 고리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046Y1
KR200243046Y1 KR2020010015254U KR20010015254U KR200243046Y1 KR 200243046 Y1 KR200243046 Y1 KR 200243046Y1 KR 2020010015254 U KR2020010015254 U KR 2020010015254U KR 20010015254 U KR20010015254 U KR 20010015254U KR 200243046 Y1 KR200243046 Y1 KR 2002430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ain body
belt
recesses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열
Original Assignee
김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열 filed Critical 김계열
Priority to KR2020010015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0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0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04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낭이나 의복벨트용 고리쇠에 관한 것으로 루우프를 이루는 2가닥의 벨트를 보다 편리하게 조여주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한쪽으로 부터 타원형 구멍(3), 틈새(5) 및 타원형 구멍(6)을 가진 격벽(7)과 공간부(4)가 차례로 형성된 본체(1)와, 상기 틈새(5)쪽으로 삽입되는 타원형 구멍(10)이 한쪽에 형성된 손잡이(2)를 본체(1)로 부터 연장되고 양측에 각각 요입부(9)(9')가 형성된 힌지(8)로 연결하고, 힌지(8)의 요입부(9)(9')와 대응하는 요입부(15)(15')가 중간에 형성된 탄성부재(16)로 본체(1)와 손잡이(2)를 탄력있게 지지한 의복벨트용 고리쇠임.

Description

의복벨트용 고리쇠{omitted}
보 고안은 배낭이나 의복벨트용 고리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벨트용 고리쇠는 벨트 관통구멍을 가진 관체형 본체속에 벨트 관통구멍을 가진 피스턴을 코일 스프링으로 탄지시킨 것이었다.
즉, 관통하는 벨트를 본체속에서 상기 벨트와 직각방향으로 탄설된 피스턴으로 잡아 주도록 된 것이어서 본체와 피스턴을 각각 만들어 주어야만 했었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많이 들었었을 뿐 아니라 조립하는데 손이 많이 가게 되어서 생산성이 낮았었고, 사용도중 고리쇠가 벨트로 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까닭에 사용하기가 불편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는 본 출원 고안자의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 2000-0190634 호에 제시된 의복벨트용 고리쇠를 들 수 있다.
상기 의복 벨트용 고리쇠는 고정부분인 본체와, 가동부분인 손잡이가 힌지로 연결된 한 몸체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판스프링을 본체와 손잡이 사이에 끼워 넣는 것만으로도 조립공정을 마칠 수 있는 것이므로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벨트의 길이 방향에서 벨트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어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루프를 이루는 2가닥의 벨트용으로는 적합하지 못했었다.
본 고안은 루프를 이루는 2가닥의 벨트용으로 적합한 의복벨트용 고리쇠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를 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고리쇠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고리쇠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도 1에서 보인 스프링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본 고안은 도 1과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체(1)와, 이 본체(1)와 한몸체로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2)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체(1)의 앞쪽에는 타원형 구멍(3)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의 개방된 뒷쪽 공간부(4)와 상기 타원형 구멍(3)사이에는 소정의 틈새(5)를 사이에 두고 타원형 구멍(6)을 가진 격벽(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4)와 손잡이(2)는 두께가 얇은 힌지(8)로 연결되어 있고, 힌지(8)의 양측에는 반원형 요입부(9)(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2)의 한쪽 끝에는 상기 본체(1)의 타원형 구멍(3)(6)과 연통하는 타원형 구멍(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타원형 구멍(10)과 손잡이(2)의 양측벽(11)(11')사이에는 상기 본체(1)의 격벽(7)이 수용되는 요입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타원형 구멍(10)의 아래쪽에는 도 2에 잘 표현된 바와 같이 스토퍼(13)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공간부(4)와 손잡이(2)의 막혀진 벽(14)부분에는 상기 힌지(8)의 요입부(9)(9')와 대응하는 요입부(15)(15')가 형성된 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6)의 양쪽이 밀착 되어 있어서 탄성부재(16)의 탄성에 의해서 본체(1)의 타원형 구멍(3)과 격벽(7)의 타원형 구멍(6)사이에서 손잡이(2)의 타원형 구멍(10)이 편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탄성부재(16)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 양측에 반원형 절곡부(17)(17')를 가진 클립형 탄성부재(18)로 만들어 줄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9는 의복이나 배당의 벨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과 도 2에 잘 표현된 바와 같이 손잡이(2)를 눌러서 본체(1)의 타원형 구성(3), 손잡이(2)의 타원형 구멍(10)그리고 격벽(7)의 타원형 구멍(9)이 일치되도록 하여서 벨트(19)를 삽입하되 탄성부재(16)의 양측 요입부(15)(15')와 힌지(8)의 양측요입부(9)(9')에 벨트(19)를 통과 시켜서 즉, 벨트(19)의 루우프(20)부분이 본체(1)의 타원형 구멍(3)밖에 위치하도록 끼워서 사용하는 것인바, 손잡이(2)를 누르고 있던 손가락을 떼면 손잡이(2)가 판스프링형 탄성부재(16)나 클립형 탄성부재(18)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서 손잡이(2)의 타원형 구멍(10)쪽이 들어 올려지게 되면서 2가닥의 벨트(19)를 잡아 고정시켜준다.
의복벨트용 고리쇠의 이동은 손잡이(2)를 누른 상태에서 벨트(19)의 길이방향으로 조절된다.
본 고안은 2가닥의 벨트(19)를 보다 편리하게 느슨하게 풀어주거나 견고하게조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한쪽으로 부터 타원형 구멍(3), 틈새(5)및 타원형 구멍(6)을 가진 격벽(7)과 공간부(4)가 차례로 형성된 본체(1)와, 상기 틈새(5)쪽으로 삽입되는 타원형 구멍(10)이 한쪽에 형성된 손잡이(2)가 본체(1)로 부터 연장되고 양측에 각각 요입부(9)(9')를 가진 힌지(8)로 연결되어 있고, 힌지(8)의 요입부(9)(9')와 대응하는 요입부(15)(15')가 중간에 형성된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6)로 본체(1)와 손잡이(2)가 탄력있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벨트용 고리쇠.
  2. 제 1항에 있어서, 탄성부재(16)가 중간부 양측에 반원형 절곡부(17)(17')를 가진 클립형 탄성부재(18)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벨트용 고리쇠.
KR2020010015254U 2001-05-23 2001-05-23 의복벨트용 고리쇠 Expired - Fee Related KR2002430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254U KR200243046Y1 (ko) 2001-05-23 2001-05-23 의복벨트용 고리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254U KR200243046Y1 (ko) 2001-05-23 2001-05-23 의복벨트용 고리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046Y1 true KR200243046Y1 (ko) 2001-10-15

Family

ID=7310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25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3046Y1 (ko) 2001-05-23 2001-05-23 의복벨트용 고리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0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256B1 (ko) 버클
US4549827A (en) Writing implement with two retractable cartridges
KR102369154B1 (ko) 귀찌형 귀걸이
US6145171A (en) Clasp for accessories
KR200243046Y1 (ko) 의복벨트용 고리쇠
US6059410A (en) Eyeglasses elastic temple
KR200251896Y1 (ko) 의복벨트용 고리쇠
KR200254602Y1 (ko) 의복 벨트용 고리쇠
DE60105064D1 (de) Haarschmuck mit federnde spange
KR200190634Y1 (ko) 의복 벨트용 고리쇠
US20080098574A1 (en) Cord Lock
KR200208048Y1 (ko) 열쇠고리
KR100350856B1 (ko) 끈 단말 커버
KR200231510Y1 (ko) 의류벨트용 버클
JP3787523B2 (ja) ベルトバックル
KR200278925Y1 (ko) 벨트용 버클
CN222639896U (zh) 一种按压式圆珠型锁扣
US20110030719A1 (en) Hair clip
US2201144A (en) Clip for spectacle cases
KR200205271Y1 (ko) 악세사리 체결구
KR200331238Y1 (ko) 머리핀의 덮개장식부 결합구조
JP3971362B2 (ja) ウエストサイズ調整用ホック装置
JP3040869U (ja) 携帯機器類等の吊り下げ用ストラップ
KR200328405Y1 (ko) 악세사리용 연결장치
KR200357322Y1 (ko) 귀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52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5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2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