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2128Y1 -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 - Google Patents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128Y1
KR200242128Y1 KR2020010012754U KR20010012754U KR200242128Y1 KR 200242128 Y1 KR200242128 Y1 KR 200242128Y1 KR 2020010012754 U KR2020010012754 U KR 2020010012754U KR 20010012754 U KR20010012754 U KR 20010012754U KR 200242128 Y1 KR200242128 Y1 KR 200242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document
paper
file
pun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표
Original Assignee
엄기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표 filed Critical 엄기표
Priority to KR2020010012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1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12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돌출형 표시부를 갖는 다수 장의 라벨지로 구성된 서류관리용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류로부터 돌출되는 표시부에 서류의 간단한 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비돌출부에 서류의 상세정보 등을 간단하게 기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책철이 사용된 화일에 서류와 함께 철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라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라벨지(40)는, 화일(50)에 철해져 있는 서류(20)에 겹쳐지면 적어도 3방향의 끝단이 서류(20)의 대응하는 3방향의 끝단과 일치하고, 동시에 라벨지의 펀치구멍셋팅구간(44)이 서류의 펀치구멍셋팅구간(23)과 일치하며, 전면에 서류의 상세한 정보를 기재할 수 있는 메모공간(45)이 확보되어 있고,
표시부(41)는, 서류의 간단한 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펀치구멍(42, 43)이 형성되는 방향을 제외한 방향의 끝단에 다른 표시부와 절반이상 겹치지 않도록 순서대로 배열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적어도 라벨지의 펀치구멍셋팅구간(44) 이외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A label for file}
본 고안은 서류관리용 라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류로부터 돌출되는 표시부에 서류의 간단한 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비돌출부에 서류의 상세정보 등을 간단하게 기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책철이 사용된 화일에 서류와 함께 철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라벨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표시하거나 여러 종류의 기록물을 찾기 쉽도록 보관하기 위하여 라벨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라벨 중 서류관리용 라벨은 크게 스티커식 라벨과 표시부돌출형 라벨로 구분된다.
스티커식 라벨은 작은 라벨지의 앞면에 관련정보를 5자 내지 10자 정도로 기재하고 라벨지의 뒷면을 문서나 화일에 붙이도록 한 형태이다. 이와 같은 스티커식 라벨은 라벨지가 부착된 면이 외부로 돌출되어야만 라벨지에 기재된 내용을 볼 수 있다는 단점과 기재할 수 있는 내용이 매우 적다는 단점이 있다.
표시부돌출형 라벨은 사전이나 전화번호부와 같이 기록물의 일측에 미리 정의되어 있는 글자가 쓰여진 표시부를 형성하고 이 표시부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형태이다. 이와 같은 표시부돌출형 라벨은 서류의 내용이 정형화되어 있는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어 사전이나 전화번호부와 같은 곳에만 적용되고 있다. 또, 표시부가 쉽게 헤지지 않고 찢어지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사전과 같은 경우에는 표시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전화번호부와 같은 경우에는 표시부가 돌출되어 있는 반면 돌출부가 단단하도록 코팅되어 있거나 라벨지 자체가 단단한 두꺼운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부가 형성된 라벨지가 두꺼운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른 페이지를 보기 위하여 페이지를 넘길 때 라벨지가 잘 접히지 않아 잘 넘겨지지 않으므로 여러 장의 기록물과 라벨지를 고정하는 방법은 코일형 철사를 사용한 고정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각종 서류를 보관하기 위하여 책철이나 스프링철과 같이 펀치구멍이 천공된 서류를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는 용구(이하 '책철'이라 함)가 구비되어 있는 화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책철이 사용된 화일에 철해지는 기록물은 대부분 한 번에 확보되지 못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확보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 철해지는 서류의 내용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기록물이 철해지는 특성과 사용자마다 펀치구멍을 천공하는 위치가 다르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페이지를 넘길 때 책철의 앞부분이 말아 올려진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특성때문에 종래에는, 책철이 사용된 화일에 표시부가 형성된 라벨지를 사용하지 못하고 스티커식 라벨지를 반으로 접어서 서류의 측면에 부착시키는 것이 전부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티커식 라벨지를 반으로 접어 부착시킴으로써 표시부를 형성하는 방식은 번거로울 뿐 아니라 라벨지를 부착시키는데 숙련도가 필요하고, 부착된 라벨이 조잡해져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으며, 기재할 수 있는 내용이 매우 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한 번 부착된 라벨지를 떼어낼 때는 서류가 훼손되는 문제점도 있고, 화일에 새로운 서류를 철할때 마다 라벨지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새로운 서류에 라벨을 부착하지 않고 그냥 철하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철이 사용된 화일에 언제든지 간단하고 편리하게 구비시킬 수 있고, 언제든지 서류를 훼손시키지 않고 제거할 수도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을 제공함으로써 화일에 철해져 있는 기록물 중에서 원하는 기록물을 편리하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새로운 서류를 철할 때마다 라벨지를 찾아다닐 필요없도록 책철이 사용된 화일에 미리 철해놓을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라벨부착을 유도하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책철이 사용된 화일에 서류가 철해져 있는 상태의 개략도
B: 책철이 사용된 화일에 본 고안의 라벨지가 철해져 있는 상태의 개략도
도 2는 천공된 펀치구멍의 위치가 잘못되어 라벨지가 돌출되지 못하거나 너무 많이 돌출된 상태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라벨지 개략도
도 4는 책철로부터 분리된 여러 장의 서류 및 라벨지의 펀치구멍을 일치시키는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책철이 사용된 화일로부터 분리된 여러 장의 서류를 한 번에 철하기 위하여 서류의 펀치구멍을 일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서류의 3방향 끝단을 일치시키는 상태의 개략도
B: 책철이 사용된 화일로부터 분리된 여러 장의 서류와 라벨지를 한 번에 철하기 위하여 서류의 펀치구멍을 일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서류 및 라벨지의 3방향 끝단을 일치시키는 상태의 개략도
도 5는 서류에 펀치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펀치에 서류를 삽입한 상태의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라벨지에 펀치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펀치에 라벨지를 삽입한 상태의 개략도
도 7은 책철이 사용된 화일에 철해져 있는 서류와 라벨지의 일부를 말아올려 넘긴 상태의 개략도
도 8은 책철이 사용된 화일에 철해질 수 있도록 펀치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서류의 개략도
도 9는 본 고안의 라벨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펀치구멍이 라벨지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라벨지의 펀치구멍셋팅구간이 펀치구멍이 형성된 방향의 우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상태의 개략도
B: 서류와 라벨지가 완전히 겹쳐진 상태로서, 펀치구멍이 라벨지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라벨지의 펀치구멍셋팅구간이 펀치구멍이 형성된 방향의 좌, 우측 모두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의 개략도
C: 펀치구멍이 라벨지의 좌측단부에 형성되고 라벨지의 펀치구멍셋팅구간이 펀치구멍이 형성된 방향의 우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상태의 개략도
D: 서류와 라벨지가 완전히 겹쳐진 상태로서, 펀치구멍이 라벨지의 좌측단부에 형성되고 라벨지의 펀치구멍셋팅구간이 펀치구멍이 형성된 방향의 좌, 우측 모두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책철 20. 서류
21, 22, 42, 43. 펀치구멍 23. 서류의 펀치구멍셋팅구간
30. 펀치 31. 측면설정면
32. 상부설정면 33. 측면설정자
40. 라벨지 41. 표시부
44. 라벨지의 펀치구멍셋팅구간 45. 메모공간
46. 접힌선 50. 화일
책철(10)이 사용된 화일(50)에 서류(20)를 철하기 위해서는 펀치(30)를 사용하여 상기 서류(20)에 펀치구멍(21, 22)을 천공하는데 그 펀치구멍(21, 22)의 천공위치가 사용자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진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외부돌출형 표시부(41)가 형성된 라벨지(40)에 천공되는 펀치구멍(42, 43)의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하여 알게되었다.
즉, 외부돌출형 표시부(41)를 갖는 라벨지(40)를 책철(10)이 사용된 화일(50)에 철하기 위해서는 펀치구멍(42, 43)을 천공하여야 하는데 이 펀치구멍(42, 43)의 위치가 잘못되면 도 2와 같이 화일(50)에 철해졌을 때 서류(20)로부터 돌출되도록 되어 있는 표시부(41)가 서류(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못하거나 너무 많이 돌출되는 것이다. 또, 다수 장의 라벨지(40)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라벨지(40)에 형성된 표시부(41)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펀치구멍(42, 43)의 위치에 따라서 표시부(41)가 서로 겹치거나 벌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책철(10)이 사용된 화일(50)에 철해지는 서류는 복사를 위한 이유 등으로 화일(5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잦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분리된 여러 장의 서류를 다시 철할 때는 도 4의 A와 같이 여러 장의 서류(20)를 상, 하, 좌, 우로 정렬하여 서류(20)의 끝단을 일치시켜 천공된 펀치구멍(21, 22)를 정확히 일치시킴으로써 한 번에 철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나 각각의 서류에 천공된 펀치구멍(21, 22)이 라벨지(40)에 천공된 펀치구멍(42, 43)과 일치하는 동시에 서류의 끝단과 라벨지의 대응하는 끝단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서류(20)와 라벨지(40)를 상, 하, 좌, 우로 정렬하여 서류와 라벨지의 끝단을 일치시켜도 천공된 펀치구멍(21과 42, 22와 43)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서류를 한 번에 철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도 4의 B와 같이 각각의 펀치구멍(21과 42, 22와 43)이 서로 일치하면서 대응하는 끝단도 일치하여야 뒤섞여 있는 서류(20)와 라벨지(40)의 끝단을 일치시켰을 때 펀치구멍(21과 42, 22와 43)도 일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표시부돌출형 라벨지(40)에 형성되는 펀치구멍(42, 43)의 위치를 화일(50)에 철해져 있는 서류(20)의 펀치구멍(21, 22)과 정확히 일치시키고 동시에 상기 서류(20)의 끝단과 라벨지(50)의 대응하는 끝단도 일치시켜 서류의 끝단을 일치시켰을 때 천공된 펀치구멍(21과 42, 22와 43)이 정확히 일치되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라벨지(4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라벨지(40)에는 서류(20)의 위에 겹쳐졌을 때 서류(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표시부(41)가 형성되어 있는 라벨에 있어서,
라벨지(40)가 화일(50)에 철해져 있는 서류(20)의 위에 겹치도록 하였을 때 적어도 라벨지(40)의 3방향 끝단이 상기 화일(50)에 철해져 있는 서류(20)의 대응하는 3방향 끝단과 일치되도록 하고, 도 5와 같이 서류(20)에 펀치구멍(21, 22)을 천공하기 위해서 서류(20)를 펀치(30)에 밀어넣었을 때 서류(20)가 펀치(30)의 측면설정면(31)에 닿는 동시에 펀치(30)의 상부설정면(32)에도 닿는 서류(20)의 끝단 소정의 길이(이하 '서류의 펀치구멍셋팅구간'이라 함)가 도 6과 같이 상기 라벨지(40)에 펀치구멍(42, 43)을 천공하기 위하여 라벨지(40)를 펀치(30)를 밀어넣었을 때 라벨지(40)가 펀치(30)의 측면설정면(31)에 닿는 동시에 펀치(30)의 상부설정면(32)에도 닿는 라벨지(20)의 끝단 소정의 길이(이하 '라벨지의 펀치구멍셋팅구간'이라 함)와 일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서류에 펀치구멍(21, 22)을 천공할 때에 서류의 펀치구멍셋팅구간(23)이 펀치(30)의 측면설정면(31)과 상부설정면(32)에 닿도록 한 상태에서 펀치구멍(21, 22)을 천공하고, 라벨지(40)에 펀치구멍(42, 43)을 천공할 때에 라벨지의 펀치구멍셋팅구간(44)이 펀치의 측면설정면(31)과 상부설정면(32)에 닿도록 한 상태에서 펀치구멍(42, 43)을 천공하면, 라벨지(40)의 3방향 끝단과 서류(20)의 대응하는 끝단이 일치하는 동시에 서류(20)의 펀치구멍(21, 22)과 라벨지(40)의 펀치구멍(42, 43)이 각각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펀치구멍(42, 43)이 천공된 라벨지(40)를 책철(10)이 사용된 화일(50)에 철하게 되면 라벨지(40)의 3방향 끝단이 이미 철해져 있는 서류의 대응하는 3방향 끝단과 일치하게 된다.
이는 곧 화일(50)에 철해져 있는 일정량의 서류(20)와 라벨지(40)를 분리한 후 이 라벨지(40)와 서류(20)를 다시 화일(50)에 철하고자 할 때, 분리된 많은 양의 서류(20)와 라벨지(40)를 한 번에 철하기 위하여 각각의 펀치구멍(21과 42, 22와 43)을 일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 4의 B와 같이 서류(20)와 라벨지(40)의 상기 3방향 끝단 중 2방향을 잡고 1방향을 바닥에 쳐서 상기 3방향을 맞추면 서류(20)의 펀치구멍(21, 22)과 라벨지(40)의 펀치구멍(42, 43)이 정확히 일치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책철(10)이 사용된 화일(50)에 철해지는 서류(20)의 모양이 어떠한 형태이든 외부돌출형 표시부(41)가 형성된 라벨(40)을 상기 서류(20)와 함께 화일(50)에 철할 수 있고, 화일(50)로부터 분리된 서류를 다시 철하고자 할때 서류(20)의 펀치구멍(21, 22)과 라벨지(40)의 펀치구멍(42, 43)을 간단히 일치시킬 수 있어 편리하고 빠르게 다시 철할 수 있다. 즉, 철해지는 서류가 유치원등에서 사용하는 원형모양의 서류이거나 하트모양의 서류이거나 동물모양의 서류(도시하지 않음)이어도 상기와 같이 라벨지(40)를 서류(20)의 위에 철해서 사용할 수 있고, 화일로부터 분류된 서류(20)의 펀치구멍(21, 22)과 라벨지(40)의 펀치구멍(42, 43)을 간단히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라벨지(40)에는 전면이나 배면에 서류의 상세한 정보를 기재할 수 있는 메모공간(45)을 확보할 수 있다. 메모공간(45)이 확보되면, 상기 표시부(41)에 기재하지 못한 상세한 내용이나 서류의 특이사항들을 기록해 놓을 수 있어 서류를 찾을 때 보다 쉽게 찾을 수 있고, 추후에 상기와 같은 특이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들어 어떠한 서류에 대한 작성자를 기재해 놓으면 그 서류를 작성한 사람이 누구인지를 추후에도 확인할 수 있다.
또, 어떠한 서류에 대하여 어떠한 내용으로 협의가 이루어졌는데 구두에 의한 협의이어서 그 협의 내용은 서류에 기재되어 있지 않다면 시간이 흐른 뒤에는 그러한 협의가 있었다는 사실조차 잃어버리기 쉽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메모공간(45)에 그러한 협의사항 등에 대하여 기재해 놓으면 시간이 흐른 뒤에도 메모공간(45)을 확인하여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메모공간(45)을 라벨지(40)의 배면에 기재하면 라벨지(40)를 넘겨서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메모공간(45)은 라벨지(40)의 전면에 기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라벨지(40)에 형성된 표시부(41)는 사용자가 직접 서류의 간단한 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류의 내용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라벨지(4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41)는 적어도 라벨지의 펀치구멍셋팅구간(44) 이외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야 화일(50)에 철해져 있는 서류(20)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1)가 각각의 라벨지에 형성된 다른 표시부와 절반이상 겹치지 않도록 순서대로 배열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라벨지(40) 배열순서를 나타내는 문자를 기재할 수 있다.
책철이 사용된 화일의 경우에는 라벨지(40)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에만 라벨지(40)를 철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철해져 있는 라벨지(40)의 다음 순서를 나타내는 라벨지(40)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즉, 라벨지(40)가 화일(50)에 철해져 있으면 다음에 철해질 라벨지(40)는 그 표시부(41)가 이미 철해져 있는 표시부와 겹치지 않고 벌어지지도 않아야 하기 때문에 다음에 철해질 라벨지(40)의 표시부를 표시하는 문자를 기재하는 것이다.
라벨지(40)의 배열순서를 나타내는 문자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 번에 철해야 하는 라벨지(40)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즉, 새로 철해질 라벨지(40)의 표시부(41)가 이미 철해져 있는 라벨지의 표시부 다음 위치에 올 수 있도록 하여 표시부와 표시부의 사이가 벌어지거나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은 구성은 표시부(41)에 위치한 문자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데이터화 할 수 있는 식별수단이 되므로 매우 유용하다.
상기에서 표시부가 절반이상 겹치지 않도록 하는 이유는 표시부에 기재된 내용이 최소한 절반이상은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펀치(30)의 측면설정면(31)은 펀치(30)의 좌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는 펀치(30)의 사용자가 측면설정자(33)를 좌측에 꼽아서 사용하기도 하고, 우측에 꼽아서 사용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라벨지의 펀치구멍셋팅구간(44)은 펀치구멍(42, 43)이 형성되는 방향의 좌, 우 양쪽 모두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펀치(30)의 측면설정면(31)이 펀치(30)의 좌, 우 어느 방향으로 설정되더라도 라벨지(40)의 3방향 끝단이 화일에 철해져 있는 서류의 대응하는 위치와 일치시킬 수 있는 동시에 펀치구멍(42, 43)도 일치시킬 수 있다. 이는 곧 라벨지(40)를 사용자에 따라서 맞추어 제작할 필요가 없게되는 것이다.
또, 라벨지(40)가 두꺼운 종이인 경우에는 다른 페이지를 보기 위하여 서류를 넘길 때(도 7참조) 서류(20)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기 두꺼운 라벨지(40)가 잘 접히지 않기 때문에 서류가 잘 넘겨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반하여 라벨지(40)가 얇은 종이인 경우에는 서류(20)와 함께 라벨지(40)도 잘 접히기 때문에 서류(20)가 잘 넘겨지기는 하지만 라벨지(40)가 쉽게 찢어지거나 헤지기 때문에 너무 얇은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라벨지(40)에는 소성변형되어 탄성력을 잃은 직선 상의 접힌선(46)을 추가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접힌선(46)의 위치는 서류를 넘길 때 접혀야 되는 부분 즉, 책철(10)이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아래방향이 될 것이다.
상기 라벨지(40)에 직선상의 접힌선(46)을 형성시키기 위한 소성변형 방법으로는 라벨지(40)의 소정 위치를 접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라벨지(40)를 소성변형시키는 방법은 번거로운 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라벨지(40)를 적당한 두께로 하고 적합한 종류의 종이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접힌선(46)이 필요없이도 잘 넘겨지고 쉽게 헤지지도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라벨지(40)를 종이로 하고, 그 무게가 1㎡당 130g 내지 230g정도일 때의 두께(종이는 그 두께를 표시할 때 1㎡당의 무게로 표시하고 있다. 이는 종이의 두께를 측정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이며, 제작방법에 따라서 그 두께에 차이가 있으나 무게가 동일한 경우에, 동일한 종류의 종이가 갖는 탄성력 등의 성질은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로 하고, 종이의 종류는 잘 헤지지 않고 잘 구부러지는 아트지나 스노화이트지 등으로 한다.
상기 아트지는 주변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데 광고용 전단지, 책표지, 명함종이 중 표면에 광택이 있는 것이 대부분 아트지이다. 스노화이트지는 상기 아트지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서 표면에 광택이 없을 뿐 그 성질은 아트지와 같다.
상기 종이는 1㎡당의 무게가 130g 내지 230g에 해당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에 180g 내지 210g 정도인 것이 가장 적합하다.
라벨지(40)를 종이로 할 경우에 라벨지(40)가 잘 헤지지 않도록 코팅을 할 수도 있으나 코팅을 하게되면 글이 잘 써지지 않고 잉크가 스며들지 못하여 잘 번지게 되므로 코팅이 되어 있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아트지나 스노화이트지는 코팅이 되어 있지 않으면서도 표면이 매끄러워 잘 헤지지 않고 잘 접혀 서류가 잘 넘겨지는 특성이 있다.
책철(10)이 사용된 화일(50)에 철해지는 서류(20)나 상기의 라벨지(40)는 도7과 같이 말아 오려지게 된다. 따라서 라벨지(40)의 표시부(41)가 상기와 같이 말아 올려지는 끝단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표시부(41)도 말아 올려져야 되는데 표시부는 그 폭이 좁기 때문에 잘 말리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라벨지의 형성부가 찢어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표시부(41)는 펀치구멍(42, 43)이 천공되는 방향의 끝단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적어도 6cm정도 떨어진 부분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류를 넘기기 위하여 말아 올려지는 부분에는 표시부(41)를 위치시키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라벨지(40)가 종이이고, 종이의 무게가 1㎡에 130g 내지 230g에 해당할 때의 두께인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41)가, 서류를 넘길 때 말아올려지는 부분에 형성되어있다고 하더라도 라벨지가 비교적 잘 휘어진다. 따라서 라벨지(40)가 상기 무게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라벨지(40)의 표시부(41)가 서류를 넘길 때 말아올려지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라벨지는 책철이 사용된 화일에 서류와 함께 철하여 사용할 수 있고, 라벨지의 전면이나 배면에 형성된 메모공간에 서류의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할 수 있으며, 서류를 화일에서 분류한 후 다시 철하고자 할 때 펀치구멍을 간단한 방법으로 일치시켜 빠르고 간편하게 철할 수 있다.
또, 책철이 사용된 화일에 사용하지 않은 여러 장의 라벨지를 미리 철해놓으면, 책철이 사용된 화일에 새로운 서류를 철할 때 라벨지를 찾아다닐 필요없이 이미 철해져 있는 여러 장의 라벨지 중 사용될 라벨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라벨을 부착하는 것을 잃어버리지 않고 습관화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7)

  1. 복수 개의 라벨지(4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라벨지(40)에는 서류의 위에 겹쳐졌을 때 서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표시부(41)가 형성되어 있는 라벨에 있어서,
    상기 라벨지(40)는, 화일(50)에 철해져 있는 서류(20)에 겹쳐지면 적어도 3방향의 끝단이 서류(20)의 대응하는 3방향의 끝단과 일치하고, 동시에 라벨지의 펀치구멍셋팅구간(44)이 서류의 펀치구멍셋팅구간(23)과 일치하며, 전면에 서류의 상세한 정보를 기재할 수 있는 메모공간(45)이 확보되어 있고,
    상기 표시부(41)는, 서류의 간단한 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펀치구멍(42, 43)이 형성되는 방향을 제외한 방향의 끝단에 다른 표시부와 절반이상 겹치지 않도록 순서대로 배열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적어도 라벨지의 펀치구멍셋팅구간(44) 이외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
  2. 제 1항에 있어서,
    라벨지의 펀치구멍셋팅구간(44)은 펀치구멍이 형성되는 방향의 좌, 우 양쪽 모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
  3. 제 1항에 있어서,
    표시부(41)에는, 상기 각각의 라벨지(40) 배열순서를 나타내는 문자가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벨지(40)에는, 서류(20)를 넘길 때 서류(20)가 쉽게 넘어가도록 소성변형되어 탄성력을 잃은 직선 상의 접힌선(46)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벨지(40)는 종이이고, 그 두께는 무게가 1㎡에 130g 내지 230g에 해당할 때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벨지(40)는 종이이고, 그 두께는 무게가 1㎡에 180g 내지 210g에 해당할 때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벨지(40)는 아트지와 스노화이트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
KR2020010012754U 2001-05-02 2001-05-02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 Expired - Fee Related KR200242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754U KR200242128Y1 (ko) 2001-05-02 2001-05-02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754U KR200242128Y1 (ko) 2001-05-02 2001-05-02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128Y1 true KR200242128Y1 (ko) 2001-10-12

Family

ID=7306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75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2128Y1 (ko) 2001-05-02 2001-05-02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1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01705A1 (en) * 2017-09-20 2021-07-01 Robert Bosch Gmbh Sealing Device for Sealing at least one Storage and/or Packaging Device for Durable Goods, particularly Machine Tools, and/or for Seal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01705A1 (en) * 2017-09-20 2021-07-01 Robert Bosch Gmbh Sealing Device for Sealing at least one Storage and/or Packaging Device for Durable Goods, particularly Machine Tools, and/or for Seal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37977B (en) Indexing system package and display system
US4436053A (en) Clip-on bookmark
US20030178837A1 (en) Repositionably adherent note sheets which permit the passage of light, and assemblies thereof
US9489871B2 (en) Built-in indicator flags
US4435906A (en) Perforating jig
US20060076771A1 (en) Printable dividers with folding tabs
KR200242128Y1 (ko) 책철이 사용된 화일용 라벨
US20080277917A1 (en) Bookmark
US6442878B1 (en) Card storage an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070086839A1 (en) Securing tool with swing clip and indicia area
US20070085331A1 (en) Document storing aid
US6454307B1 (en) Reading device with a movable binding which alternately allows access to one or two sets of pages
JP2003072262A (ja) 付箋帳
JP3038661U (ja) 商品種別マークを有する小冊子
KR200197939Y1 (ko) 자동 메모기능을 제공하는 책
JP6632044B1 (ja) 暗記カード
JP4101151B2 (ja) ダブルクリップ用インデックスおよびこれを背板に装着してなるダブルクリップ
KR200495098Y1 (ko) 문서 보관용 바인더
JP3055111U (ja) しおり
KR200326658Y1 (ko) 투명 포켓이 구비된 탁상용 캘린더
JP2002225480A (ja) 綴り用箋
KR200379761Y1 (ko) 파일용 소량인쇄물 고정구
RU115297U1 (ru) Канцелярское листовое изделие с замковым соединением
KR200303895Y1 (ko) 절취형 표시부가 형성된 파일
US20070031182A1 (en) Adhesive brace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5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5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