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1702Y1 -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702Y1
KR200241702Y1 KR2020010014186U KR20010014186U KR200241702Y1 KR 200241702 Y1 KR200241702 Y1 KR 200241702Y1 KR 2020010014186 U KR2020010014186 U KR 2020010014186U KR 20010014186 U KR20010014186 U KR 20010014186U KR 200241702 Y1 KR200241702 Y1 KR 200241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frequency converter
output
power amplifi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4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7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70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전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주파수 변환부에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레벨이 가변되어 고전력의 신호를 송출 시 높은 전압과 낮은 전류를 사용하여 신호를 생성 할 수있는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기지국으로 송출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입력 받아 그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주파수 변환부와, 상기 주파수 변환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증폭시키는 파워 증폭기와, 상기 파워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안테나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듀플렉스와, 전원부의 전원전압을 입력 받아 소정 전원을 생성하여 저항을 통하여 상기 주파수 변환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파워 증폭기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와, 상기 파워 증폭기에서 듀플렉스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전력감지부와, 상기 전력감지부의 출력신호을 입력 받아 이득을 조절하는 자동이득조절부와, 상기 자동이득조절부의 출력신호를 입력 받아 저항값이 가변되고, 상기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을 상기 저항과 분배하기 위해 다른 한쪽이 접지된 가변저항으로 구성 된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VOLTAGE VARIABLE DEVICE TO ADJUST POWER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의 전력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주파수 변환부에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레벨이 가변되어 고전력의 신호를 송출 시 높은 전압과 낮은 전류를 사용하여 신호를 생성 할 수있는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에 관한것이다.
도 1은 종래 휴대폰의 전원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 송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7)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17)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주파수 변환부(15)와, 상기 주파수 변환부(15)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증폭시키는 파워 증폭기(13)와, 상기 파워 증폭기(13)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안테나(ANT)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듀플렉스(11)와, 상기 주파수 변환부(1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16)와, 상기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16)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파워 증폭기(13)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와, 상기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16)와 상기 파워 증폭기(13)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2)로 구성 된다.
상기 파워 증폭기(13)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4)에서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증폭 정도가 가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휴대폰의 전원공급 장치에 있어서, 휴대폰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하여 데이터 처리부(17)의 출력 신호를 주파수 변환부(15)에서 주파수가 높은 신호로 변환 시킨다. 주파수 변환부(15)의 출력 신호는 파워 증폭기(13)에서 증폭되어 듀플렉스(11)를 통하여 안테나(ANT)에서 기지국으로 송출 된다.
또한,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1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부(12)의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주파수 변환부(15)로 일정 전압레벨을 가지는 전원을 공급 한다. 상기 파워 증폭기(13)는 전원부(12)로 부터 전원을 인가 받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4)로 부터 전압 레벨이 일정한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 받아 증폭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주파수 변환부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일정하고, 파워 증폭기에 입력 되는 인에이블 신호의 전압레벨이 일정한 휴대폰의 전원공급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주파수 변환부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일정하고, 파워 증폭기에 입력 되는 인에이블 신호의 전압레벨이 일정하기 때문에 통화시 저전압 상태에서 고전력을 송출할 경우에 불안정한 전력을 송출함으로서 통화품질을 저하시키고, 또한, 고전력을 송출할 경우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밧데리의 소모가 크고 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본 고안은, 파워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그 신호의 세기에 따라 주파수 변환부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가변시키고, 파워 증폭기에 입력 되는 인에이블 신호의 전압레벨을 가변시킬수 있는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폰의 전원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21 : 듀플렉스 12, 22 : 전원부
13, 23 : 파워 증폭기 14, 24 : 마이크로 프로세서
15, 25 : 주파수 변환부 16, 26 :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
17, 27 : 데이터 처리부 28 : 전력 감지부
29 : 자동이득 조절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지국으로 송출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입력 받아 그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주파수 변환부와, 상기 주파수 변환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증폭시키는 파워 증폭기와, 상기 파워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안테나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듀플렉스와, 전원부의 전원전압을 입력 받아 소정 전원을 생성하여 저항을 통하여 상기 주파수 변환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파워 증폭기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와, 상기 파워 증폭기에서 듀플렉스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전력감지부와, 상기 전력감지부의 출력신호을 입력 받아 이득을 조절하는 자동이득조절부와, 상기 자동이득조절부의 출력신호를 입력 받아 저항값이 가변되고, 상기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을 상기 저항과 분배하기 위해 다른 한쪽이 접지된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 송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27)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27)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주파수 변환부(25)와, 상기 주파수 변환부(25)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증폭시키는 파워 증폭기(23)와, 상기 파워 증폭기(23)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안테나(ANT)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듀플렉스(21)와, 전원부(22)의 전원전압을 입력 받아 마이크로 프로세서(24)의 제어신호에 의해 소정 전압을 생성하는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26)와, 상기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26)의 출력 전압을 입력 받아 상기 주파수 변환부(25)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파워 증폭기(23)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저항(R1)과, 상기 파워 증폭기(23)에서 듀플렉스(21)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전력감지부(28)와, 상기 전력감지부(28)의 출력신호을 입력 받아 이득을 조절하는 자동이득조절부(29)와, 상기 자동이득조절부(29)의 출력신호를 입력 받아 저항값이 가변되고, 상기 저항의 출력전압을 분배하기 위해 다른 한쪽이 접지된 가변저항(R2)으로 구성 된다.
상기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26)는 종래의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16)보다 높은 전압이 출력 된다.
또한, 상기 파워 증폭기(23)는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주파수 변환부(25)에서 입력되는 신호을 증폭시키는 정도가 가변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 한다.
휴대폰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하여 데이터 처리부(27)의 출력 신호를 주파수 변환부(25)에서 주파수가 높은 신호로 변환 시킨다. 주파수 변환부(25)의 출력 신호는 파워 증폭기(23)에서 증폭되어 듀플렉스(21)를 통하여 안테나(ANT)에서 기지국으로 송출 된다.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2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4)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원부(22)의 전원을 인가 받아 종래의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16)보다 높은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26)는 저항(R1)을 통하여 주파수 변환부(25)에 전원을 공급하고, 파워 증폭기(23)에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전력감지부(28)는 파워 증폭기(23)에서 듀플렉스(21)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전력감지부(28)는 상기 파워 증폭기(23)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가 크면 자동이득 조절부(29)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가변저항(R2)의 저항값을 증가 시킨다.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26)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저항(R1)과 가변저항(R2)에서 분담되기 때문에 가변저항(R2)의 저항값이 증가하게되면 파워 증폭기(23)에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의 전압레벨이 증가하게 되고, 주파수 변환부(25)에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레벨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 변환부(25)는 종래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 받기 때문에 종래보다 작은 전류값으로도 고전력의 신호를 출력 할 수있게 된다. 또한, 파워 증폭기(23)는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의 전압 레벨이 높아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아진 전압레벨 만큼 주파수 변환부(25)에서 입력된 신호가 증폭되는 정도가 증가하여 고전력의 신호를 보다 용이하게 증폭시키게 된다.
만약, 파워 증폭기(23)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가 작아지게 되면 전력감지부(28)는 자동이득 조절부(29)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가변저항(R2)의 저항값을 감소 시킨다.
가변저항(R2)의 저항값이 감소하게 되면 파워증폭기(23)에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의 전압레벨이 감소하게 되고, 주파수 변환부(25)에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레벨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 변환부(25)에는 파워증폭기(23)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가 클때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을 사용하여 데이터 처리부(27)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시키게 된다. 또한, 파워 증폭기(23)는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의 전압레벨이 감소된 만큼 증폭정도가 감소되어 증폭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전력의 신호를 안정되게 송출 할 수있기 때문에 안정된 통화품질을 유지 할 수있고, 고전력의 신호를 송출시 종래보다 높은 전압과 작은 전류를 사용하여 고전력의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휴대폰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소 시킬수 있으며 종래의 휴대폰 보다 휴대폰의 통화대기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기지국으로 송출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를 입력 받아 그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주파수 변환부와, 상기 주파수 변환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증폭시키는 파워 증폭기와, 상기 파워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안테나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듀플렉스와, 전원부의 전원전압을 입력 받아 소정 전원을 생성하여 저항을 통하여 상기 주파수 변환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파워 증폭기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와, 상기 파워 증폭기에서 듀플렉스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전력감지부와, 상기 전력감지부의 출력신호을 입력 받아 이득을 조절하는 자동이득조절부와, 상기 자동이득조절부의 출력신호를 입력 받아 저항값이 가변되고, 상기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을 상기 저항과 분배하기 위해 다른 한쪽이 접지된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파워 증폭기는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의 전압 레벨에 따라 주파수 변환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정도가 가변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전력 감지부는 파워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가 크면 자동이득 조절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증가 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
KR2020010014186U 2001-05-15 2001-05-15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41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186U KR200241702Y1 (ko) 2001-05-15 2001-05-15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186U KR200241702Y1 (ko) 2001-05-15 2001-05-15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702Y1 true KR200241702Y1 (ko) 2001-10-15

Family

ID=7306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186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1702Y1 (ko) 2001-05-15 2001-05-15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7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7526B1 (en) Battery life extending technique for mobile wireless applications using bias level control
KR19990050145A (ko)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장치
KR101691077B1 (ko) 다중 레벨의 전원전압을 이용한 포락선 추적 전력증폭 장치
US6304139B1 (en) Transmitter adjusting output power
US6486738B2 (en)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in power amplifier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4856332B2 (ja) 移動端末の送信信号を増幅制御して、移動端末の連続動作能力を高め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50044180A (ko) 휴대폰의 파워앰프모듈 전원회로
KR200241702Y1 (ko) 휴대폰의 전력 조절용 전압 가변기
JP2004140835A (ja) 携帯端末機の出力電力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4723278A (en) Voice circuit of telephone
JP2006254468A (ja) 駆動電圧制御装置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及びその駆動電圧制御方法
US6421546B1 (en) Signal transmission circuit of a wireless telephone handset
KR10042113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신 신호 전력 레벨 제어 장치 및 그방법
KR20030094777A (ko) 전력증폭모듈의 전원공급장치
KR20020094628A (ko) 가변 동작점 전력 증폭기
US2009030574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Related Apparatus
KR100595669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송신 알에프신호 제어방법
KR200200395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71963B1 (ko) 자동레벨제어장치
JP3326150B2 (ja) 無線通信装置
EP1257054A3 (fr) Dispositif de régulation du contrôle de la puissance d'un émetteur
KR20060099343A (ko) 전력 증폭기의 구동 전압 제어 장치
KR100309375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송수신단 증폭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81242B1 (ko) 전력 증폭 회로
KR20070052126A (ko) 전력증폭기의 입력전압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51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5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6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