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9659Y1 -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 - Google Patents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659Y1
KR200239659Y1 KR2020010002516U KR20010002516U KR200239659Y1 KR 200239659 Y1 KR200239659 Y1 KR 200239659Y1 KR 2020010002516 U KR2020010002516 U KR 2020010002516U KR 20010002516 U KR20010002516 U KR 20010002516U KR 200239659 Y1 KR200239659 Y1 KR 200239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line
terminal box
connection por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일
Original Assignee
양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정일 filed Critical 양정일
Priority to KR2020010002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659Y1/ko

Link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선로에 신호를 중계하기 위하여 가공선로, 가공케이블, 입상 및 벽단자 단자함 등으로 이용되는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접속구를 금속 재질로 구성하여 케이블선을 접속구에 삽입하면 접속구의 탄성 구조에 의해 삽입된 케이블선의 피복이 자동으로 베어져서 케이블선의 심선이 직접 접속구에 접선되어 통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배선 작업을 간편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Connector of terminal box telephone line}
본 고안은 전화선로에 신호를 중계하기 위하여 가공선로, 가공케이블, 입상 및 벽단자 단자함 등으로 이용되는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접속구를 금속 재질로 구성하여 케이블선을 접속구에 삽입하면 접속구의 탄성 구조에 의해 삽입된 케이블선의 피복이 자동으로 베어져지면서, 케이블선의 심선이 직접 접속구에 접선되어 통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배선작업을 간편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화선로용 단자함은 복수개의 접속구를 소정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된 접속구군의 일측부에 한쌍의 입·출력 접속핀을 가지는 복수개의 단자편을 배열하여서 형성한 입·출력 접속핀군을 구비하여, 입력측 접속핀군의 접속핀에는 입력측 케이블선의 심선을 연결하고, 아울러 출력측 접속핀군의 접속핀에는 출력측 케이블선의 심선을 연결함과, 접속구군의 접속구에는 고무선의 심선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25P용 단자함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지지수단(30)은 합성수지(31) 등으로 된 절연판(31)과 절연지지물(32)로 구성되고 입·출력 접속핀군(B)의 각 단자편(20)은 절연판(31)에 삽입, 결합된 상태로 절연지지물(32)에 고정되고, 이와 같이 된 절연판(31)의 양외측에 복수개의 접속구(10)가 구비된 접속구 조립체(10')가 재치되어 절연지지물(32)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각 단자편(20)은 각 접속구(10)에 케이블선(3)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단자편(20)은 한쌍의 입·출력 접속핀(B)을 구비한 '??'자 형으로 되어 있으며, 양측 연결부(22)에 케이블선(3)의 일단부가 감겨 고정되고, 양측 연결부(22) 내측에는 절연판(31)의 하면에 접촉되는 접촉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구 조립체(10')는 절연지지판(11)에 접속구(10)를 결합한 구성이며, 접속구(10)는 절연지지판(11)에 도전핀(12)을 고정함과 아울러 도전핀(12)의 상측부에 조임와셔(13)(14)를 삽입하고 도전핀(12) 상단 나사부에 조임너트(15)를 채결한 구성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와 같이 고정된 절연체에 다수개의 접속구만을 고정하여 그 접속구에 입력측 케이블선, 출력측 케이블선 및 고무선을 연결할 경우, 고장율이 높은 결함이 있고, 케이블선과 고무선을 접속구에 일일이 조임너트로 조여 연결함므로 연결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케이블선의 피복을 제거한 후, 케이블선의 심선을 접속구에 연결하기 때문에 보호용 덮개가 없을 경우에는 케이블선의 심선이 노출되어 해안지역에서는 심하게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케이블선의 심선이 접속구의 조임너트와 접속나사에 의해 조여지면서 단선되는 등의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접속구를 금속 재질로 구성하여 케이블선을 접속구에 삽입하면 삽입된 케이블선의 굵기에 따라 자동으로 케이블선의 피복이 베어지면서, 케이블선의 심선이 직접 접속구에 접선되어 통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속구에 케이블선을 삽입 시, 케이블선이 적당히 맞물리도록 접속구에 탄성을 가해주며, 접속구와 케이블선의 통전 유무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선과 접속구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25P용 단자함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의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A-A선과 B-B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접속구에 케이블선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25P용 단자함을 단자함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보인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확대 단면도를 보인 것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구에 케이블선을 삽입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인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삽입부 120 : 절단부
121 : 굵은 케이블선 절단부 122 : 가는 케이블선 절단부
130 : 탄성부 140 : 테스터부
150 : 메인 연결부
이러한 목적은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를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하나의 단자로 구성함에 있어서, 케이블선을 삽입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된 케이블선의 피복이 베어져서 케이블선의 심선이 접속구에 직접 접선되어 통전되는 절단부와, 상기 접속구와 단자함의 메인선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메인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접속구의 절단부를 다단으로 구성하여 삽입되는 케이블선의 굵기에 맞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단으로 구성된 절단부에 삽입된 케이블선의 굵기에 맞게 피복이 베어지도록 탄성을 조절해주는 탄성부와, 상기 접속구와 케이블선의 통전 유무를 확인하는 테스트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한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부를 기준으로 상호대칭구조로 접속구 두개를 구성하여 케이블선과 케이블선을 연결하여 중간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A-A선과 B-B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접속구에 케이블선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선을 삽입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된 케이블선의 피복이 베어져서 케이블선의 심선이 접속구(100)에 직접 접선되어 통전되는 절단부(120)와, 상기 절단부에 케이블선이 들어가도록 벌려주는 탄성부(130)와, 상기 케이블선이 통전 유무를 확인하는 테스트부(140)와, 상기 케이블선이 단자함의 메인선과 연결되게 하는 메인연결부(150)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120)는 도 2의 A-A선 부분의 단면인 굵은 케이블선 절단부(121)와 도 2의 B-B선 부분의 단면인 가는 케이블선 절단부(122)로 나누어져 있으며, 절단부(120) 내에 케이블선(미도시함)을 삽입할 때, 탄성부(130)의 벌어졌다가 원상태로 돌아오는 탄성력에 의해 케이블선이 삽입되도록 절단부(120)의 양측 금속이 케이블선의 크기에 맞게 벌려진다.
또한, 상기 절단부(120) 개방부위(a)의 내측은 외측보다 더 좁으며 날카롭게 형성하여 케이블선 삽입 시, 피복이 베이도록 하여 상기 케이블선의 심선이 직접 접속구에 접선되어 통전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는 케이블선의 피복만이 가는 케이블선 절단부(122)에 의해 베어져서 가는 케이블선(3)의 심선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접속구(100)에 직접 접선됨에 의해 전류가 통전되어 메인연결부(150)로 흘러 메인선(미도시함)과도 통전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25P용 단자함을 단자함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확대 단면도를 보인 것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구에 케이블선을 삽입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전화선로용 단자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함덮개(1)가 씌워지는 장방향 단자함 본체(2)의 저면 양외측부에 다수개의 접속구(100)를 배열 고정하여 접속구군(A)이 형성된 전화선로용 단자함에 있어서, 한쌍의 입·출력 접속핀(21)이 구비되고 상기 접속구군(A)의 각 접속구(100)와 케이블선으로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단자편(20)을 상기 단자함 본체(2)의 중간부에 절연지지수단(30)으로 고정하여 입·출력 접속핀군(B)을 양측으로 형성하고, 또한 단자함 본체(2)의 저면 중간부에 입·출력 접속핀군(B)을 보호하는 보호덮개(40)를복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함의 A-A선 부분을 잘라서 확대해 보면, 상기 절연지지수단(30)은 합성수지 등으로 된 절연판(31)과 절연지지물(32)로 구성되고 입·출력 접속핀군(B)의 각 단자편(20)은 절연판(31)에 삽입·결합된 상태로 절연지지물(32)에 고정되고, 이와 같이 구성된 절연판(31)의 양외측에 복수개의 접속구(100)가 구비되어 절연지지물(32)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각 단자편(20)은 각 접속구(100)에 케이블선(3)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는 케이블선(3)은 삽입부(110)에 삽입되어 가는 케이블선 절단부(120)에서 피복이 탈피된다.
이때, 상기 가는 케이블선(3)의 심선이 접속구(100)와 연결되었는지 테스트부(140)에 테스터기(미도시함)를 사용하여 전류의 통전 유무를 확인한다.
또한,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인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선을 삽입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된 케이블선의 피복이 베어져서 케이블선의 심선이 접속구(100)에 직접 접선되어 통전되는 절단부(120)와, 상기 절단부에 케이블선이 들어가도록 벌려주는 탄성부(130)와, 상기 케이블선이 통전 유무를 확인하는 테스트부(140)와, 상기 케이블선이 단자함의 메인선과 연결되게 하는 메인연결부(150)로 이루어진 제 1 접속구(100)와 제 2 접속구(100')를 접속구의 테스트부(140) 양측면에 구성하여 케이블선을 연결하기 위한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접속구(100)에 제 1 케이블선(3)을 삽입하여 서로 통전 시키고, 제 2 접속구에도 제 2 케이블선(3')를 삽입하여 서로 통전되게 함에 의해, 상기 제 1 케이블선(3)과 제 2 케이블선(3')이 통전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선작업을 간편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연결하기 위해 케이블선을 과다하게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를 이용하게 되면, 상기 접속구를 금속 재질로 구성하여 케이블선을 접속구에 삽입하면 접속구의 탄성 구조에 의해 삽입된 케이블선의 피복이 자동으로 베어지면서, 케이블선의 심선이 직접 접속구에 접선되어 통전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 결과 배선작업을 간편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5)

  1.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하나의 단자로 구성하는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에 있어서;
    케이블선을 삽입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된 케이블선의 피복이 베어져서 케이블선의 심선이 접속구에 직접 접선되어 통전되는 절단부와;
    상기 접속구와 단자함의 메인선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메인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삽입되는 케이블선의 굵기에 맞게 다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서 케이블선의 피복만 베어지도록 절단부에 탄성을 가해주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와 케이블선의 통전 유무를 확인하는 테스트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부를 기준으로 상호대칭구조로 접속구 두개를 구성하여 케이블선과 케이블선을 연결하여 중간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
KR2020010002516U 2001-02-02 2001-02-02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 KR200239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516U KR200239659Y1 (ko) 2001-02-02 2001-02-02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516U KR200239659Y1 (ko) 2001-02-02 2001-02-02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659Y1 true KR200239659Y1 (ko) 2001-10-26

Family

ID=7309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516U KR200239659Y1 (ko) 2001-02-02 2001-02-02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6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362B1 (ko) 세이프티 코넥터
US4842551A (en) Modular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 utility box
HUP0800698A2 (en) Cross connect terminal block
US7285014B2 (en) Cord connector having a water-resistant seal
CZ292851B6 (cs) Koaxiální spojka
US687504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wisted pair strain relief
KR200239659Y1 (ko) 전화선로용 단자함의 접속구
US7534151B1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GB2103434A (en) Electrical connector
US5624267A (en) Cross-connect bus
US4813071A (en) Laminar type telephone connector block
KR0128381B1 (ko) 케이블 접속장치
GB1584638A (en) Multiway connector and screening partition
KR102686729B1 (ko) 구부림 시험 및 사용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단선 방지장치
JPH07169526A (ja) コネクタ
KR200237241Y1 (ko) 전기 계량기용 도선의 터미널
JPH0743955Y2 (ja) 集中結線コネクタ
JP2005057866A (ja) 屋内配線システム
KR19980055061A (ko) 케이블 연결장치
JP3121414B2 (ja) 電線接続装置
KR0137934Y1 (ko) 패키지 검사용 소켓
KR940005274Y1 (ko) 전기 플러그
US5033979A (en) Connecting device for coaxial conductors
JPH0537433Y2 (ko)
KR200345190Y1 (ko)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보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202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0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2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21019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7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6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