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206Y1 - Lock apparatus for coping with conflagration - Google Patents
Lock apparatus for coping with conflag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9206Y1 KR200239206Y1 KR2020010010469U KR20010010469U KR200239206Y1 KR 200239206 Y1 KR200239206 Y1 KR 200239206Y1 KR 2020010010469 U KR2020010010469 U KR 2020010010469U KR 20010010469 U KR20010010469 U KR 20010010469U KR 200239206 Y1 KR200239206 Y1 KR 2002392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input
- fire
- code
- frequenc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문에 설치되어 마그네트 스위치 또는 열쇠에 의하여 잠궈지거나 열려지도록 된 자물쇠 장치로서, 계전기 및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한다. 계전기는 그 여자 코일에 전류가 흐름에 의하여 턴-온되어 마그네트 스위치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스위칭 제어부는 건물 안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계전기의 여자 코일에 전류를 흘려준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lock device installed in a door of a building to be locked or opened by a magnet switch or a key, and includes a relay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The relay is turned on by the flow of current through its excitation coil to apply a drive voltage to the magnet switch. The switching control unit sends a current to the excitation coil of the relay when a fire signal is input from the fire detector installed in the building.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물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물의 문에 설치되는 자물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k device provided in the doors of various buildings.
어느 한 건물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건물 안의 사람들은 신속히 건물 밖으로 대피하여야 한다. 그런데, 문이 자물쇠에 의하여 잠겨진 경우, 건물 안의 사람들이 자물쇠를 여는 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 안의 사람들이 문을 열지 못하고, 질식사 및 문 주위에서의 혼란으로 인하여 커다란 인명 피해가 야기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각종 자물쇠 장치들은 화재와 무관하게 구성되어 있다.In the event of a fire in one building, the people inside the building should be evacuated quickly. However, if the door is locked by a lock, it can be quite difficult and time-consuming for people in the building to open the lock. As a result, people in the building may not open the door, and as a result of suffocation and confusion around the door, large casualties may occur. Nevertheless, various conventional lock devices are constructed regardless of fire.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자동으로 열려짐으로써 건물 안의 사람들이 신속히 건물 밖으로 대피할 수 있게 하는 자물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k that allows the people in a building to evacuate out of the building quickly by opening automatically when a fire occur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물쇠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자물쇠 장치의 열쇠의 본체가 손잡이 안으로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of a key of the lock device of FIG. 1 is inserted into a handle. FIG.
도 3은 도 1의 자물쇠 장치의 열쇠의 손잡이 안에 구비된 원격 제어기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remote controller provided in the handle of the key of the lock device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DL...자물쇠, DM...마그네트 스위치,DL ... lock, DM ... magnet switch,
REL1...계전기, MC...여자 코일,REL1 ... relay, MC ... exciter coil,
CS...스위칭부, SC...스위칭 제어부,CS ... switching part, SC ... switching control part,
K1...열쇠, B1...인출 버튼,K1 ... key, B1 ... withdraw button,
B2...발신 버튼, SR...수신부,B2 ... outgoing button, SR ... receiving unit,
FS...화재 감지기, 31...부호 선택부,FS ... fire detector, 31 ...
32...부호화부, 33...무선주파수 발진부,32 encoder, 33 radio frequency oscillator,
34...출력부, RC...원격 제어기,34 ... output, RC ... remote controller,
11...입력부, 12...제1 증폭부,11 input unit, 12 first amplifier unit,
13...중간주파수 발진부, 14...제2 증폭부,13 intermediate frequency oscillator, 14 second amplifier,
15...복호화부, 161...제1 제어부,15 ... decryption unit, 161 ... first control unit,
162...제2 제어부.162 ... second control unit.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건물의 문에 설치되어 마그네트 스위치또는 열쇠에 의하여 잠궈지거나 열려지도록 된 자물쇠 장치로서, 계전기 및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계전기는 그 여자 코일에 전류가 흐름에 의하여 턴-온되어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건물 안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계전기의 여자 코일에 전류를 흘려준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ock device installed in the door of the building to be locked or opened by a magnet switch or a key, and includes a relay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The relay is turned on by a current flowing in the excitation coil to apply a driving voltage to the magnet switch. The switching controller sends a current to the excitation coil of the relay when a fire signal is input from a fire detector installed in the building.
본 고안의 상기 자물쇠 장치에 의하면, 상기 건물 안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에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자물쇠가 자동으로 열려짐으로써 건물 안의 사람들이 신속히 건물 밖으로 대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signal is input from a fire detector installed in the building, a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magnet switch. This allows the lock to open automatically in the event of a fire, allowing people in the building to evacuate quickly.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쇠에 소정의 제1 및 제2 부호 데이터중에서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무선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제어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 발진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화재 신호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칭 제어부에 입력시키는 수신부가 더 포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부호 데이터에 상응하는 무선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열쇠를 상기 건물의 관리인이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부호 데이터에 상응하는 무선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열쇠를 소방 관서에 보관시킬 수 있다. 즉, 화재가 발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물쇠가 자동으로 끌러지지 않는 경우, 소방 관서에 보관된 비상 열쇠를 사용하여 소방 대원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자물쇠를 끌를 수 있다.Preferably, the key is provided with a remote controller for outputting a radio oscill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either of the predetermined first and second coded data.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oscill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a receiving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fire signal to the switching control unit is further included. Accordingly, the manager of the building can use the key for outputting the radio oscill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de data, and keep the key for outputting the radio oscill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de data at the fire department. have. That is, if a lock is not automatically dragged despite a fire, the firefighters can use the emergency keys stored in the fire department to quickly and safely pull the lock.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물쇠 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각 부에 공급될 전원 전압을 제공하는 회로를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 a circuit for providing a power supply voltage to be supplied to each unit will be described first.
변압기(TF)의 어느 한 입력 단자쌍(ACIN11-ACIN12 또는 ACIN21-ACIN22)에는 교류 전원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변압기(TF)의 출력 단자쌍에는 12 볼트(V)의 교류 전압이 유기되고, 유기된 교류 전압은 브리지 정류회로(BR)에 입력되어 직류 전압으로 변한다. 제1 전압 안정화 회로(VS1)는, 브리지 정류회로(BR)로부터의 직류 전압으로써 안정화, 증폭 및 충전 등을 수행하여 안정된 12 볼트(V)의 전압을 그 출력 단자(SV1)로 출력한다. 여기서, 화재 발생시에는 정전 사태가 발생될 확률이 높으므로, 제1 전압 안정화 회로(VS1)의 내부에 12 볼트(V)의 축전지가 구비된다.An AC power supply voltage is applied to either input terminal pair ACIN11-ACIN12 or ACIN21-ACIN22 of the transformer TF. Accordingly, an alternating voltage of 12 volts (V) is induced in the output terminal pair of the transformer TF, and the induced alternating voltage is input to the bridge rectifying circuit BR to be converted into a direct current voltage. The first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VS1 performs stabilization, amplification, charging, etc. as a DC voltage from the bridge rectifying circuit BR, and outputs a stable voltage of 12 volts V to its output terminal SV1. Here, sinc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power failure in the event of a fire, a storage battery of 12 volts V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VS1.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 장치의 관리자가 전지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12 볼트(V)의 전지가 전지 단자쌍(+12V-GND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된 전지의 전압은 제2 다이오드(D2) 및 제2 전압 안정화 회로(VS2)를 통하여 제2 전압 안정화 회로(VS2)의 출력 단자에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dministrator of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use a battery, a battery of 12 volts (V) can be inserted between the battery terminal pair (+ 12V-GND2). The voltage of the inserted battery is output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VS2 through the second diode D2 and the secon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VS2.
따라서, 전원 선택 스위치(SS)의 동작에 의하여 제1 또는 제2 전압 안정화 회로(VS1,VS2)의 출력 전압이 전원 전압 단자(VDD)에 인가됨으로써 각 부의 동작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압 표시부(17)는 전원 전압 단자(VDD)의 전압이 하한 전압에 이르렀을 때에 발광 다이오드로써 경고한다.Therefore, the output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s VS1 and VS2 are applie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VDD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selection switch SS, thereby enabling operation of each part. Here, the voltage display unit 17 warns with a light emitting diode when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terminal VDD reaches the lower limit voltage.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물쇠 장치는, 건물의 문에 설치되어 마그네트 스위치(DM) 또는 열쇠(K1)에 의하여 잠궈지거나 열려지도록 된자물쇠 장치로서, 계전기(REL1) 및 스위칭 제어부(SC)를 포함한다. 계전기(REL1)는 그 여자 코일(MC)에 전류가 흐름에 의하여 턴-온되어 마그네트 스위치(DM)에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스위칭 제어부(SC)는 건물 안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 감지기(FS)로부터 직접 또는 중앙 수신기를 통하여 24 볼트(V)의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계전기(REL1)의 여자 코일(MC)에 전류를 흘려준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ES1은 특수용 스위치로서, 평상시에 닫혀진 상태이지만 특수한 상황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열려짐으로써, 열쇠(K1)에 의한 수동 개폐만을 허용한다.Referring to FIG. 1, a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ck device installed at a door of a building to be locked or opened by a magnet switch DM or a key K1. The relay device REL1 and The switching control unit SC is included. The relay REL1 is turned on as a current flows through the excitation coil MC to apply a driving voltage to the magnet switch DM. The switching control unit SC supplies a current to the excitation coil MC of the relay REL1 when a fire signal of 24 volts V is input directly from the fire detector FS installed in the building or through a central receiver. In FIG. 1, reference numeral ES1 is a special switch, which is normally closed but is opened by the user in a special situation, thereby allowing only manual opening and closing by the key K1.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화재 신호의 정극성 단자(R24V)가 플로팅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제1 저항소자(R1), 제1 다이오드(D1) 및 제1 제너 다이오드(Z1)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또한, 스위칭 제어부(SC)의 전압 조정 회로(VRC), 제2 저항소자(R2), 제1 트랜지스터(BT1)의 베이스와 이미터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BT1)는 턴-오프되어, 계전기(REL1)의 여자 코일(MC)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또한, 계전기(REL1)의 스위칭부(CS)가 접지 단자를 플로팅 단자(DLF)에 접속시킴으로 인하여 마그네트 스위치(DM)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자물쇠(DL)가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state where a fire does not generate | occur | produce, the positive terminal R24V of a fire signal is floating. Accordingly, no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resistor element R1, the first diode D1, and the first zener diode Z1. In addition, no current flows to the base and emitter of the voltage adjusting circuit VRC, the second resistance element R2, and the first transistor BT1 of the switching controller SC. Accordingly, the first transistor BT1 is turned off and no current flows through the excitation coil MC of the relay REL1. Further, since the driving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magnet switch DM because the switching unit CS of the relay REL1 connects the ground terminal to the floating terminal DLF, the lock DL maintains a locked state.
이와 반대로, 화재가 발생된 상태에서는 화재 신호의 정극성 단자(R24V)에 24 볼트(V)의 전압이 소정 시간 동안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제1 저항소자(R1), 제1 다이오드(D1) 및 제1 제너 다이오드(Z1)를 통하여 전류가 소정 시간 동안에 흐른다. 또한, 스위칭 제어부(SC)의 전압 조정 회로(VRC), 제2 저항소자(R2), 제1 트랜지스터(BT1)의 베이스와 이미터로 전류가 소정 시간 동안에 흐른다. 이에 따라,제1 트랜지스터(BT1)는 턴-온되어, 계전기(REL1)의 여자 코일(MC)에 전류가 소정 시간 동안에 흐른다. 또한, 계전기(REL1)의 스위칭부(CS)가 접지 단자를 마그네트 스위치(DM)의 음극 단자(DL-)에 접속시킴으로 인하여 마그네트 스위치(DM)에 구동 전압이 소정 시간 동안에 인가되므로, 자물쇠(DL)가 끌러진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자물쇠(DL)가 자동으로 열려짐으로써 건물 안의 사람들이 신속히 건물 밖으로 대피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in the state where a fire has occurred, a voltage of 24 volts V is applied to the positive terminal R24V of the fire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ly, a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resistance element R1, the first diode D1, and the first zener diode Z1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current flows to the base and emitter of the voltage adjusting circuit VRC, the second resistance element R2, and the first transistor BT1 of the switching controller SC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ly, the first transistor BT1 is turned on so that a current flows in the exciting coil MC of the relay REL1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since the switching unit CS of the relay REL1 connects the ground terminal to the negative terminal DL- of the magnet switch DM, a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magnet switch DM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lock DL ) Is dragged. Therefore, when a fire occurs, the lock DL is automatically opened so that people in the building can quickly evacuate out of the building.
한편, 열쇠(K1)에는 소정의 제1 및 제2 부호 데이터중에서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무선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제어기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열쇠(K1)의 본체를 손잡이 안으로 밀어 넣어 걸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출 버튼(B1)을 누름으로써, 손잡이 안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고 스프링의 힘으로 작동부를 손잡이 밖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발신 버튼(B2)을 누름으로써 소정 시간 동안에 무선 발진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참조 부호 31a는 제1 및 제2 부호 데이터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들을 가리킨다.On the other hand, the key K1 is provided with a remote controller for outputting a radio oscill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predetermined first and second coded data. The user can push the main body of the key K1 into the handle to be caught. In addition, by pressing the pull-out button B1,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in the handle and pull out the operating part out of the handle by the force of the spring. In addition, the radio oscillation signal can be output for a predetermined time by pressing the outgoing button B2. Reference numeral 31a denotes button switches for setting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ded data.
수신부(SR)는 열쇠(K1)에 구비된 원격 제어기로부터 무선 발진 신호가 입력되면, 화재 감지기(FS)로부터의 화재 신호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어 신호를 스위칭 제어부(SC)에 입력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부호 데이터에 상응하는 무선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열쇠를 건물의 관리인이 사용할 수 있고, 제2 부호 데이터에 상응하는 무선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열쇠를 소방 관서에 보관시킬 수 있다. 즉, 화재가 발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물쇠(DL)가 자동으로 끌러지지 않는 경우, 소방 관서에 보관된 비상 열쇠를 사용하여 소방 대원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자물쇠(DL)를끌를 수 있다.When the wireless oscill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provided in the key K1, the receiver SR inputs a control signal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fire signal from the fire detector FS to the switching controller SC. Accordingly, the manager of the building can use the key for outputting the radio oscill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de data, and the fire department can store the key for outputting the radio oscill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de data. That is, if the lock DL is not automatically dragged even though a fire has occurred, the firefighter can pull the lock DL quickly and safely using the emergency key stored in the fire department.
수신부(SR)는 입력부(11), 제1 증폭부(12), 중간주파수 발진부(13), 제2 증폭부(14), 복호화부(15), 제1 및 제2 제어부들(161,162)을 포함한다.The receiver SR may include the input unit 11, the first amplifier 12, the intermediate frequency oscillator 13, the second amplifier 14, the decoder 15, the first and second controllers 161 and 162. Include.
원격 제어기로부터의 무선 발진 신호는 수신 안테나(ATR)와 인덕턴스-캐페시턴스 공진 회로가 구비된 입력부(11)로 입력된다. 제1 증폭부(12)는 입력부(11)로부터의 무선주파수(RF, Radio-Frequency)의 출력 신호를 증폭한다. 인덕턴스-캐페시턴스 발진 회로가 구비된 중간주파수 발진부(13)는 제1 증폭부(1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중간주파수(Intermediate-Frequency)로 복원한다. 제2 증폭부(14)는 중간주파수 발진부(13)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증폭한다. 비교기가 구비된 복호화부(15)는 제2 증폭부(14)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제1 및 제2 부호 데이터중에서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직렬 부호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1 제어부(161)는 복호화부(15)로부터 제1 부호 데이터에 상응하는 직렬 부호 신호가 입력되면, 화재 신호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어 신호를 자신의 출력 다이오드(CD1)를 통하여 스위칭 제어부(SC)에 입력시킨다. 제2 제어부(162)는 복호화부(15)로부터 제2 부호 데이터에 상응하는 직렬 부호 신호가 입력되면, 화재 신호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어 신호를 자신의 출력 다이오드(CD2)를 통하여 스위칭 제어부(SC)에 입력시킨다.The radio oscillation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is input to an input section 11 provided with a receiving antenna ATR and an inductance-capacitance resonant circuit. The first amplifier 12 amplifies an output signal of radio frequency (RF) from the input unit 11. The intermediate frequency oscillator 13 provided with the inductance-capacitance oscillation circuit restores the frequency of the output signal from the first amplifier 12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Intermediate-Frequency). The second amplifier 14 amplifies the output signal from the intermediate frequency oscillator 13. The decoder 15 equipped with a comparator detects the level of the output signal from the second amplifier 14 and generates a serial code signal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de data. When the serial cod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de data is input from the decoder 15, the first controller 161 transmits a control signal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fire signal through its output diode CD1 to the switching controller SC. ). When the serial cod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de data is input from the decoder 15, the second controller 162 transmits a control signal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fire signal through its output diode CD2 to the switching controller SC. ).
도 2는 도 1의 자물쇠 장치의 열쇠(K1)의 본체가 손잡이 안으로 인입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열쇠(K1)의 본체를 손잡이 안으로 밀어 넣어 걸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출 버튼(B1)을 누름으로써, 손잡이 안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고 스프링의 힘으로 작동부를 손잡이 밖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발신 버튼(B2)을 누름으로써 소정 시간 동안에 무선 발진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도 2에서 참조 부호 31a는 제1 및 제2 부호 데이터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들을 가리킨다.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of the key K1 of the lock device of FIG. 1 is retracted into the handl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push the main body of the key K1 into the handle to be caught. In addition, by pressing the pull-out button B1,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in the handle and pull out the operating part out of the handle by the force of the spring. In addition, the radio oscillation signal can be output for a predetermined time by pressing the outgoing button B2. In Fig. 2, reference numeral 31a indicates button switches for setting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ded data.
도 3은 도 1의 자물쇠 장치의 열쇠(K1)의 손잡이 안에 구비된 원격 제어기(RC)를 보여준다.FIG. 3 shows a remote controller RC provided in the handle of the key K1 of the lock device of FIG. 1.
도 3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기(RC)는 부호 선택부(31), 부호화부(32), 무선주파수 발진부(33) 및 출력부(34)를 포함한다. 부호 선택부(31)는 사용자가 버튼 스위치들(도 1 및 2의 31a)을 조작함으로써 부호화부(32)의 부호화 소자의 각 어드레스 입력 단자(A1,...,A9)에 접지 전위 또는 12 볼트(V)의 전지(BA)로부터 저항소자(R31)를 통하여 입력된 전위를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이에 따라, 부호화부(32)의 부호화 소자의 각 어드레스 입력 단자(A1,...,A9)에는 설정된 제1 및 제2 부호 데이터중에서 어느 하나가 병렬 데이터로서 입력된다. 여기서, 원격 제어기(RC)가 구비된 열쇠가 건물의 관리인이 사용하도록 제작된 경우에 제1 부호 데이터가 설정된다. 또한, 원격 제어기(RC)가 구비된 열쇠가 소방 관서의 소방 대원이 사용하도록 제작된 경우에 제2 부호 데이터가 설정된다.Referring to FIG. 3, the remote controller RC includes a code selector 31, an encoder 32, a radio frequency oscillator 33, and an output 34. The code selector 31 has a ground potential or 12 at each address input terminal A1, ..., A9 of the encoding element of the encoder 32 by the user operating button switches (31a in FIGS. 1 and 2). The electric potential input through the resistor R31 from the battery BA of the volt | bolt V is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ly, any one of the set first and second coded data is input as parallel data to each of the address input terminals A1, ..., A9 of the encoding element of the encoder 32. Here, the first sign data is set when the key provided with the remote controller RC is made for use by the manager of the building. Further, the second code data is set when the key provided with the remote controller RC is made for use by the fire crew of the fire department.
부호화부(32)는 부호 선택부(31)로부터의 병렬 데이터에 상응하는 부호 데이터를 낮은 주파수 영역에 속하는 제1 주파수의 직렬 부호 신호로서 발생시킨다. 즉, 부호화부(32)의 부호화 소자는 트리거 인에이블 단자(TE)에 접지 전위가 입력되면 데이터 출력 단자(DOUT)를 통하여 제1 주파수의 직렬 부호 신호로서 발생시킨다. 여기서, 사용자가 발신 버튼(B2)을 누름으로써 발광 다이오드(LED)가 턴-온 되어 트리거 인에이블 단자(TE)에 접지 전위가 입력된다. 또한, 데이터 출력 단자(DOUT)로부터의 직렬 부호 신호의 제1 주파수는 외부 저항 단자들(RS, RTC) 및 외부 캐페시터 단자(CTS)에 결선된 저항소자들(R31,R33) 및 캐페시터(C31)의 값들에 의하여 설정된다.The encoder 32 generates code data corresponding to parallel data from the code selector 31 as a serial code signal of a first frequency belonging to a low frequency region. That is, when the ground potential is input to the trigger enable terminal TE, the encoding element of the encoder 32 generates the serial cod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through the data output terminal DOUT. Here, when the user presses the originating button B2,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is turned on and the ground potential is input to the trigger enable terminal TE. In addition, the first frequency of the serial code signal from the data output terminal DOUT is the resistor elements R31 and R33 and the capacitor C31 connected to the external resistor terminals RS and RTC and the external capacitor terminal CTS. It is set by the values of.
무선주파수 발진부(33)는 부호화부(32)로부터의 직렬 부호 신호의 주파수를 무선주파수 대역의 제2 주파수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직렬 부호 신호를 증폭한다. 여기서, 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설정된 제2 주파수의 속도로써 그 베이스에 인가되는 직렬 부호 신호를 재생 및 증폭한다. 제2 주파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 주위에 결선된 캐페시터들(C1,...,C4) 및 코일(L)의 값들에 의하여 설정된다. 송신용 안테나(ATT)와 가변 캐페시터(VC)로 구성된 출력부(34)는, 무선주파수 발진부(33)와 병렬 연결되어, 무선주파수 발진부(33)로부터의 직렬 부호 신호를 무선 발진 신호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송신용 안테나(ATT)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상의 패턴에 의하여 형성된다.The radio frequency oscillator 33 raises the frequency of the serial code signal from the encoder 32 to the second frequency of the radio frequency band and amplifies the serial code signal. Here, the switching transistor ST reproduces and amplifies the serial code signal applied to the base at the set speed of the second frequency. The second frequency is set by the values of the capacitors C1,..., C4 and the coil L connected around the switching transistor ST. An output unit 34 composed of a transmission antenna ATT and a variable capacitor VC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adio frequency oscillator 33 to output a serial code signal from the radio frequency oscillator 33 as a radio oscillation signal. . Here, the transmitting antenna ATT is formed by a pattern on a printed circuit board.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물쇠 장치에 의하면, 건물 안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신호가 입력되면 마그네트 스위치에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자물쇠가 자동으로 열려짐으로써 건물 안의 사람들이 신속히 건물 밖으로 대피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signal is input from a fire detector installed in a building, a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magnet switch. This allows the lock to open automatically in the event of a fire, allowing people in the building to evacuate quickly.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고안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y be modified and impro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in the claim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0469U KR200239206Y1 (en) | 2001-04-13 | 2001-04-13 | Lock apparatus for coping with conflag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0469U KR200239206Y1 (en) | 2001-04-13 | 2001-04-13 | Lock apparatus for coping with conflagr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39206Y1 true KR200239206Y1 (en) | 2001-10-11 |
Family
ID=7308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046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9206Y1 (en) | 2001-04-13 | 2001-04-13 | Lock apparatus for coping with conflagr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9206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6217B1 (en) * | 2002-04-18 | 2004-11-06 | (주)한길핸디케어 |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escape door and method thereof |
-
2001
- 2001-04-13 KR KR2020010010469U patent/KR20023920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6217B1 (en) * | 2002-04-18 | 2004-11-06 | (주)한길핸디케어 |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escape door and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42336A (en) | Portable intrusion detection warning system | |
US4994787A (en) | Remote intrusion alarm condition advisory system | |
JPH01133196A (en) | Object and person monitor | |
IL99716A (en) | Door locking system | |
FI76659B (en) | FJAERRSTYRNINGSSYSTEM FOER ELEKTRISKA OCH ELEKTRONISKA APPARATER, SPECIELLT FOER UNDERHAOLLNINGSELEKTRONIKAPPARATER. | |
KR200222068Y1 (en) | crime prevention system for a window | |
KR200239206Y1 (en) | Lock apparatus for coping with conflagration | |
US20150048944A1 (en) | Magnetic induction alarm device | |
EP0127258A2 (en) | Security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equipment | |
ES2108635A1 (en) | Alarm with test function | |
US3174143A (en) | Electrical protective system | |
JP3477894B2 (en) | Emergency caller, emergency contact system using this, emergency transmitter with wireless cord | |
KR20040091172A (en) | Door locking apparatus using wireless door key and rf touch sensor | |
US20040178909A1 (en) | Electronic lock apparatus with automatic locking capability | |
JP3290044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 |
US20060049801A1 (en) | Electronic apparatus with remote controller | |
JP3193732B2 (en) | Remote control device for lighting | |
KR960013408B1 (en) | Anti-theft system for bags | |
JP3298591B2 (en) | Wireless transmitter for maintenance | |
CN100466487C (en) | Wireless alarm calling device for hotel | |
TWI655128B (en) | Tool storage device with wireless lock control module | |
US3411152A (en) | Electric permutation locks | |
KR20010044158A (en) | crime prevention system for a window | |
JPH08110995A (en) | Wireless security system | |
KR0184067B1 (en) | Remote control method for multi-circu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413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107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41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701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 ||
U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date: 2002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629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6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0806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