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8993Y1 - 육류구이용 구이판 - Google Patents

육류구이용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993Y1
KR200238993Y1 KR2020010012228U KR20010012228U KR200238993Y1 KR 200238993 Y1 KR200238993 Y1 KR 200238993Y1 KR 2020010012228 U KR2020010012228 U KR 2020010012228U KR 20010012228 U KR20010012228 U KR 20010012228U KR 200238993 Y1 KR200238993 Y1 KR 200238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roasting plate
air
flange portion
discharg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선
Original Assignee
이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선 filed Critical 이관선
Priority to KR2020010012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9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99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원을 포함하는 통의 상측에 거치되는 고기를 굽는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통 내부의 열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이판이 과열됨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이판(100)은 만곡형 가열부(110)와 상기 가열부(110)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가열부(110)의 주변에는 다수의 기름 낙하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120)에는 그 표면을 따라 다수의 배기공(121)이 형성되어, 통 내부의 열이 상기 플랜지부(120)에 형성된 배기공(121)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육류구이용 구이판{Heating plate for roasting meat}
본 고안은 육류구이용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이판을 만곡형 가열부와 가열부로 부터 연장된 플랜지부로 구성하고 상기 가열부에는 기름 낙하공을, 플랜지부에는 배기공을 형성하여 육류구이기 내부 열 공기의 배출이 매우 원활하게 됨으로써 구이판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본 설명에서, '구이판'은 내저부에 열원을 포함하는 통(이하 '육류구이기'라 함)의 상측에 안착되고, 그 상부면에 고기를 재치하여 이를 굽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육류구이기의 내부 열이 구이판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한편, 육류구이기는 숯불이나 가스 등의 열원에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구이판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이판을 통과하여 배출된 공기가 자체적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강제순환 방식이 채택된 것이 보통이다. 배기 덕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설치 및 사용이 번거롭고 공기오염의 문제도 있어 최근에는 사용되는 예가 거의 없다. 따라서 상기 육류구이기는 설명의 편의상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강제순환 방식의 육류구이기를 상정하기로 한다.
종래의 구이판(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만곡된 형태이며, 주변에 다수의 기름 낙하공(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직화공(12)이 더 형성되기도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강제순환 방식의 육류구이기 중 숯불을 열원으로 하는 것에 상기한 종래 구이기가 안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육류구이기(1)는 공기통로(4)를 형성하는 내통(2)과 외통(3), 내통(2)의 내저부에 안착되는 숯통(5), 내통(2)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공기 흡입공(6) 및 상기 공기통로(4)의 일측에 결합되는 모터팬(7)으로 구성된다. 도면부호 8는 기름받이이며, 통상 일정 수준의 물을 채워둔다.
여기에 상기한 도 1의 종래의 구이판(10)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육류구이기(1)는, 모터팬(7)이 작동되면 공기통로(4)로 부터 공기가 유인되어 내통(2)의 저부로 부터 공기를 불어주게 된다. 이 공기는 점화된 숯통(5) 내의 숯을 통과하면서 고온의 열을 구이판(10)에 전달하여 가열시킨다. 열을 수반한 공기는 다시 구이판(10)의 주변으로 확산되면서 기름 낙하공(11)으로 배출되고, 이 공기는 공기 흡입공(6)을 통하여 공기통로(4)로 유인되는 방법으로 구동된다. 이 과정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은 기름 낙하공(11)으로 부터 기름받이(8)로 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구이판(10)은 상기한 육류구이기(1)의 내부 열을 원활히 배출시키지 못함에 따라 구이판(10)이 과열되고, 따라서 재치된 고기가 구이판(10) 상에서 타거나 들러붙고 나아가 연기나 그을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구이판(10)이 육류구이기(1)의 내부 열을 원활히 배출시키지 못하는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공기 배출의 기능을 하는 별도의 공기 배출공이 없기 때문이다. 상기 구이판(10)에서 기름 낙하공(11)은 공기 배출공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하는데, 고기를 굽다보면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기름 낙하공(11)에 고기를 올려 놓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때에는 별도의 배기공이 없으므로 기름 낙하공(11)이 막히는 만큼 열을 수반한 공기의 배출이 억제되고 따라서 구이판(10)이 과열된다.
둘째로, 기름 낙하공(11)은 공기 배출기능을 완전하게 수행하는데 적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도 2에서 숯을 통과한 열 공기는 구이판(10)의 주변으로 확산되면서 일부는 기름 낙하공(11)을 통하여 배출되지만 상당부분이 내통(2)의 벽면쪽으로 밀려 집중된다. 벽면쪽에 집중된 열 공기는 수직으로 상승하지 않는 한 내통(2)의 내부에서 맴돌게 되고, 따라서 공기의 배출이 억제되어 구이판(10)이 과열된다.
다른 한편, 종래의 구이판(10)에 직화공(12)이 형성된 경우에 이 직화공(12)은 열원인 숯불의 향이 고기에 베게하여 그 맛을 즐길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한 이유로 공기의 배출이 보장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오히려 고기를 타게하는 요인이 된다.
구이판(10)의 과열로 인하여 고기가 구이판(10) 상에서 타거나 들러 붙고 나아가 연기나 그을음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하여, 통상적으로는 구이판(10)의 표면을 코팅처리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나 비용면에서 경제적이지 못하고 일정기간 사용하면 코팅층이 벗겨져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코팅층이 형성된 상태에서도 구이판(10)의 과열이 근본적으로 방지되지 않는 한 고기가 타거나 들러붙는 현상은 발생하기 마련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구이판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예컨데 도 2에서 숯을 통과하여 구이판(10)의 주변으로 확산되는 열 공기가 내통(2)의 벽면쪽으로 밀려가면서 즉시에 수직 상승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 지도록 함으로써, 구이판의 과열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장시간 고기를 구어도 고기가 타지 않는 구이판을 제공하고자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구이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육류구이기에 도 1의 구이판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일반적인 육류구이기에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구이판 110. 가열부
111. 기름 낙하공 120. 플랜지부
121. 배기공 130. 단턱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구이판은, 만곡형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가열부의 주변에는 기름 낙하공이, 플랜지부에는 그 표면을 따라 배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와 플랜지부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 구이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로서,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 구이판(100)은 그 내측으로는 만곡형 가열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의 외측으로는 플랜지부(120)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부(110)는 고기의 기름이 흘러 내리도록 하기 위한 통상의 만곡형이고, 플랜지부(120)는 구이판(100)이 육류구이기에 안정적으로 걸쳐지게 하기 위하여 수평적으로 형성하였다.
구이판(100)은 대체로 2.5mm - 3.5mm 의 두께이며, 스텐인레스 또는 알루미늄 등의 단일 소재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층(101)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스테인레스(102)(103)를 접합한 3중 구조이다.
상기 가열부(110)의 주변에는 다수의 기름 낙하공(1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름 낙하공은 기름을 하방으로 떨어뜨리는 역할 뿐만 아니라 숯향을 포함한 공기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일부 배출되어 낙하공(111) 상에 놓인 고기에 숯향이 베게 한다. 물론 확산된 공기의 거의 대부분은 후술하는 플랜지부(120)의 배기공(121)으로 유도되어 배출된다.
상기 플랜지부(120)는 바람직하게 수평형이며 그 표면을 따라서는 다수의 배기공(1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기공(121)은 확산되어 육류구이기의 내통 벽까지 밀린 열 공기가 내부에 머물지 않고 수직 상승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촉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부(110)와 플랜지부(120) 사이에는 단턱(1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열부(110)와 플랜지부(120)는 단턱(130)이 에 의하여 구분된다. 상기 단턱(130)은 구이판(100) 상에 고기가 재치될 수 있는 영역을 한정한다. 따라서 적어도 상기 플랜지부(130) 상에는 고기가 재치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배기공(121)은 재치되는 고기에 의하여 막힐 염려가 없으므로 원활한 공기 배출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구이판(100)이 육류구이기에 안착되어 사용되는 예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육류구이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저부에 열원을 포함하는 통으로써, 통 내부의 열이 구이판(100)을 통과하여배출되는 한 어떠한 구성이어도 관계는 없으나 편의상 도 2에서의 육류구이기(1)를 도시하고 설명한다.
도면에서, 구이판(100)은 육류구이기(1)의 내통(2) 상측에 플랜지부(120)가 걸쳐지는 형태로 안착되고, 구이판(100) 가열부(110)의 상부표면에는 취식이 가능한 크기로 절단된 고기가 재치되어 있다.
내통(1)의 저부에 위치된 숯통(5)의 점화된 숯불에 의하여 구이판(100)이 가열되기 시작하고 구이판(100)에 재치된 고기는 취식가능한 상태로 익어 간다.
동시에 모터팬(8)이 작동되면 공기통로(4)로 부터 공기가 유인되어 내통(2)의 저부로 부터 공기를 불어주게 된다. 이 공기는 점화된 숯통(5) 내의 숯을 통과하면서 고온의 열을 구이판(10)의 가열부(110)에 전달하여 빠르게 가열시킨다.
숯불열을 수반한 공기는 다시 구이판(100)의 주변으로 확산되면서 내통(2)의 벽면으로 밀려간다. 이 과정에서 숯향을 포함한 열 공기가 기름 낙하공(111)을 지나가면서 또는 그 일부가 기름 낙하공(111)으로 배출되면서 기름 낙하공(111)에 재치된 고기에 숯향을 베게 한다. 다만, 이 열 공기는 순환 중인 공기의 일부이므로 고기가 탈 정도의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내통(2)의 벽면에 도달된 대부분의 열 공기는 플랜지부(120)의 배기공(121)을 통하여 곧바로 수직 상승되어 배출된다. 즉 내통(2)의 벽면에 도달된 열기는 벽면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배출공(121)을 통하여 즉시 배출된다.
배출된 공기는 모터팬(7)의 흡입력에 의해 다시 공기 흡입공(6)을 통하여 공기통로(4)로 유인되어, 흡입 및 배출이 반복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고기를 구울때 발생하는 기름은 기름 낙하공(111)으로 부터 기름받이(8)로 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이판(100)의 주변으로 확산되면서 내통(2)의 벽면에 도달된 대부분의 열 공기는 벽면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배기공(121)을 통하여 곧바로 수직 상승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공기의 순환이 매우 원활하게 진행되어 구이판(100)이 과열되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가열부(110)로 부터 연장된 플랜지부(120)의 배기공(121)을 통하여 육류구이기(1)의 내부 열이 매우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구이판(100)이 과열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구이판(100)에 장시간 고기를 구어도 고기가 타거나 들러붙지 않게 되며, 연기의 발생도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부대적으로 취식자는 구이판(100)을 교체할 필요도 없이 항상 적당하게 조리된 고기를 취식할 수 있으며, 취식 후 구이판(100)을 세척하기에도 매우 용이하다. 또한 육류구이기(1)의 내부 열이 매우 원활하게 배출됨에 따라 기름받이(8)에 채워진 물의 증발 속도가 매우 느려 물 보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2)

  1. 내저부에 열원을 포함하는 통의 상측에 안착되고 그 상부면에 고기를 재치하여 이를 굽기 위해 사용되며 통 내부의 열이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100)은 만곡형 가열부(110)와 상기 가열부(110)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가열부(110)의 주변에는 다수의 기름 낙하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120)에는 그 표면을 따라 다수의 배기공(121)이 형성되어, 통 내부의 열이 상기 플랜지부(120)에 형성된 배기공(121)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용 구이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110)와 플랜지부(120) 사이에는 단턱(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용 구이판.
KR2020010012228U 2001-04-27 2001-04-27 육류구이용 구이판 Expired - Fee Related KR200238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228U KR200238993Y1 (ko) 2001-04-27 2001-04-27 육류구이용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228U KR200238993Y1 (ko) 2001-04-27 2001-04-27 육류구이용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993Y1 true KR200238993Y1 (ko) 2001-10-12

Family

ID=7310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22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8993Y1 (ko) 2001-04-27 2001-04-27 육류구이용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9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15B1 (ko) * 2002-06-03 2005-04-06 최미숙 고기 구이용 구이상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기구
KR20220145957A (ko) * 2021-04-20 2022-11-01 우창제 훈제구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15B1 (ko) * 2002-06-03 2005-04-06 최미숙 고기 구이용 구이상판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기구
KR20220145957A (ko) * 2021-04-20 2022-11-01 우창제 훈제구이기
KR102489688B1 (ko) * 2021-04-20 2023-01-18 우창제 훈제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501398A (ja) ハンプバック型のグリル・オ−ブン
JP5612792B1 (ja) 調理器用のグリル装置
KR200238993Y1 (ko) 육류구이용 구이판
KR100440173B1 (ko) 겹구조를 가지는 구이판을 구비한 로스터
CN2497682Y (zh) 无油烟烤串炉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0264091Y1 (ko) 직화 구이판
KR100447249B1 (ko) 연기가 나지 않는 석쇠 구이장치
KR101452783B1 (ko) 연기발생 방지 및 마름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기구이판
KR960002359Y1 (ko) 구이판
KR20200100510A (ko) 양면 구이팬
JP2002209758A (ja) ロースター
JP2003204885A (ja) 加熱調理器
KR200257547Y1 (ko) 육류 구이기
KR102148014B1 (ko)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KR200179549Y1 (ko) 2중 불판이 구비된 로스타
KR200230534Y1 (ko) 직화 구이판
KR200330949Y1 (ko) 숯불용 개량불판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KR200213347Y1 (ko)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KR200332970Y1 (ko) 기름이 튀지 않는 구이판
JPH0271024A (ja) ガス調理器
JPS5940915Y2 (ja) 食品焼成装置
KR200339128Y1 (ko) 고기구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42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4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30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06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