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8498Y1 - A Reinforcing Bar Device - Google Patents

A Reinforcing Ba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498Y1
KR200238498Y1 KR2020010010476U KR20010010476U KR200238498Y1 KR 200238498 Y1 KR200238498 Y1 KR 200238498Y1 KR 2020010010476 U KR2020010010476 U KR 2020010010476U KR 20010010476 U KR20010010476 U KR 20010010476U KR 200238498 Y1 KR200238498 Y1 KR 200238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spacer
reinforcement
net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4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상엽
Original Assignee
한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엽 filed Critical 한상엽
Priority to KR2020010010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49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498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브 거푸집 상에 설치되어 전기박스를 안정적으로 안치할 수 있는 보강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영역에 사각의 전기박스 설치부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으로 격자구조를 이루는 보강망 및 상기 보강망을 소정높이로 상향 이격시키기 위해서, 상기 상부철근이 끼워지도록 일렬로 상통하게 형성되는 두개의 상부결합홈과, 상기 상부결합홈이 형성되도록 소정거리를 두고 마주보는 두쌍의 고정편과, 상기 상부철근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편 안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편과, 상기 하부철근이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편 하부영역이 'U' 자형으로 만곡되어져 형성되는 하부결합홈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끝단에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강망을 이격시키는 슬라브 거푸집으로부터 스페이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ment network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slab formwork to securely place the electrical box, and forms a lattice structure of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to form a square electrical box installation in the center area In order to space the reinforcing net and the reinforcing net upward to a predetermined height, two upper coupling grooves formed in a lin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reinforcing bars are fitted, and two pairs of fixings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the upper coupling groove. A fixing part consisting of a piece, a catching piece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piece so that the upper reinforcement is not separated, and a lower coupling groove formed by be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iece so as to fit the lower reinforcing bar. And, integral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xing portion, consisting of a support rod formed with a support protrusion at the end of th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pacer from the slab formwork separating the reinforcing net.

Description

보강망 장치{A Reinforcing Bar Device}Reinforcing Net Device {A Reinforcing Bar Device}

본 고안은 철근으로 이루어진 보강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부와 지지봉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철근으로 격자구조를 이루는 보강망을 소정높이로 이격 및 고정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를 갖는 보강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network device made of reinforcing bars, and more specifically, a reinforcing network device having spacers for separating and fixing a reinforcing net forming a lattice structure with reinforcing bars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installing a spacer consisting of a fixing part and a supporting rod.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현장에서 흔히 시공되는 철근 보강망은 다수개의 철근을 격자구조로 용접하여 결합한 것으로, 콘크리트 슬라브 거푸집 상단에 위치하도록 부설한다.In general, reinforcing steel reinforcement nets commonly used in construction and civil works i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welded in a grid structure, laid to the top of the concrete slab formwork.

이 때, 보통 슬라브 거푸집 상단에는 상기 보강망 외에 실내 전기공급을 위한 다양한 전기배선을 집약시키는 전기박스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보강망은 중앙에 이러한 전기박스가 위치하도록 전기박스 설치부를 마련한다.At this time, usually the top of the slab formwork is provided with an electrical box for collecting various electrical wiring for the indoor electricity supply in addition to the reinforcement network, the reinforcement network is provided with an electrical box installation portion so that the electrical box is located in the center.

여기서, 상기 보강망은 상기 슬라브 거푸집에 설치한 후, 반죽상태의 콘크리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보강망이 제 위치를 고수하도록 하기 위해 슬라브 거푸집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이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Here, the reinforcing net is installed in the slab formwork, and then poured concrete in the dough,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way from the slab formwork so that the reinforcing net is held in place. .

이를 위해 종래에는 철사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망을 고정하는 건설현장에서의 임시방편적인 방식이 이용되어 왔다.To this end, conventionally, a temporary method in a construction site for fixing the reinforcement net using a wire has been used.

하지만, 이러한 임시적인 철사 결속방식은 초보자가 시행하기에는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시 그 타설압력을 지속적으로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보강망이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temporary wire binding method is not only a problem that is difficult for beginners to implement, but also does not continuously endure the placing pressure when placing concre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inforcing net is out of position.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근래에 들어 상기 보강망을 용이하게 이격시키기 위한 스페이서가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in recent years, spacers for easily spaced apart the reinforcing nets have been us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스페이서를 이용한 보강망 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einforcing network device using the conventional spacer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보강망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보강망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pac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reinforcing network device, Figure 3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conventional reinforcing network device.

도 1 및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스페이서(10)는 단순히 일정크기를 갖는 사각판 형태를 취하고 있다.1, 2, and 3, the conventional spacer 10 simply takes the form of a square plate having a certain size.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10) 상단에는 보강망(20)의 철근(21)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홈(11)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coupling groove 11 for fixing the reinforcing bar 21 of the reinforcement net 20 is formed on the spacer 10.

또한, 상기 보강망(20)은 다수개의 철근(21)을 보통 용접을 통해 격자구조로 결합시키는데, 중앙에는 슬라브 거푸집(50) 상단에 위치하는 전기박스(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전기박스 설치부(22)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net 20 i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 21 is usually coupled to the lattice structure by welding, the electrical box for stably fixing the electrical box 30 located on the top of the slab formwork 50 in the center The mounting portion 22 is formed.

아울러, 이러한 상기 스페이서(10)를 이용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망(20) 소정높이로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보강망(20)의 철근(21)을 상기 스페이서(10)의 결합홈(11)에 끼워 고정하게 되며,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총 4개의 스페이서(10)가 사용된다.In addition, using the spacer 10, as shown in Figure 2 to reinforce the reinforcing bar 21 of the reinforcing net 20 to the predetermined height as shown in Figure 2 the coupling groove 11 of the spacer 10 4 spacers 10 are used to fix more stably.

이와 같이 종래의 보강망 장치(100)는 철근(21)으로 이루어진 격자구조의 보강망(20)에 사각판 형상의 스페이서(10)를 끼워 결합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net device 100 is formed by fitting a rectangular plate-shaped spacer 10 to a grid reinforcement net 20 made of reinforcing bars 21.

이러한, 종래의 보강망 장치(100)는 상기 스페이서(10)가 외력에 의헤 쉽게 중심을 잃고 쓰러지기 쉬운 판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보강망(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conventional reinforcing net device 100 has a problem that the spacer 10 is not easily supported by the external force because the spacer 10 easily loses its center and falls easily.

또한, 상기 스페이서(10)는 슬라브 거푸집(50) 상에 콘크리트 타설시 그 타설압력에 쉽게 부러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pacer 10 has a problem that easily breaks in the placing pressure when placing concrete on the slab formwork 50.

아울러, 상기 스페이서(10)에 형성된 결합홈(11)은 하나의 철근(21)에만 결합되어 상기 보강망(20)을 고정하기 때문에, 보강망(20)이 제 위치를 벗어나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groove 11 formed in the spacer 10 is coupled to only one reinforcing bar 21 to fix the reinforcing net 2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inforcing net 20 is out of position.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보강망 전체가 슬라브 거푸집과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보강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network device in which the entire reinforcing network is spaced apart from the slab formwork and fixed to a certain height.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고정부와 지지봉을 갖는 스페이서를 보강망에 결합시켜 보강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net device by coupling a spacer having a fixing part and a supporting rod to the reinforcing net.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중앙영역에 사각의 전기박스 설치부(230)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상부철근(210)과, 다수의 하부철근(220)으로 격자구조를 이루는 보강망(200); 및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pper reinforcement 210, and a plurality of lower reinforcing bars 220 to form a rectangular electric box installation unit 230 in the central area to form a reinforcement net 200 ; And

상기 상부철근(210)이 끼워지도록 일렬로 상통하게 형성되는 두개의 상부결합홈(311)과, 상기 상부결합홈(311)이 형성되도록 소정거리를 두고 마주보는 두쌍의 고정편(312)과, 상기 상부철근(210)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편(312) 안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편(312a)과, 상기 하부철근(220)이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편(312) 하부영역이 'U' 자형으로 만곡되어져 형성되는 하부결합홈(313)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310)와,Two pairs of fixing pieces 312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uch that the upper coupling grooves 311 are formed in a row in parallel so that the upper rebar 210 is fitted, and the upper coupling grooves 311 are formed; A locking piece 312a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piece 312 so that the upper reinforcing bar 210 is not separated, and a lower area of the fixing piece 312 so that the lower reinforcing bar 220 is fitted into a 'U' shape. Fixed portion 310 consisting of a lower coupling groove 313 is formed to be curved,

상기 고정부(310)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끝단에 지지돌기(312)가 형성되는 지지봉(320)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강망(200)을 슬라브 거푸집(700)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스페이서(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망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Spacer 300 is formed integrally at the bottom of the fixing portion 310, the spacer 300 for separating the reinforcing net 200 from the slab formwork 700 consists of a support rod 32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projection (312); It is achieved by a reinforcement n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아울러, 상기 스페이서(300)는 수지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pacer 300 is preferably made of a resin material.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스페이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pacer,

도 2는 종래 보강망 장치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reinforcing network device,

도 3은 종래 보강망 장치의 사용상태도,3 is a state of use of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network device,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a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의 측면도,6 is a side view of a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망 장치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ement n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망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8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reinforcement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according to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0: 스페이서 11: 결합홈10: spacer 11: coupling groove

20: 보강망 21: 철근20: reinforcing mesh 21: rebar

22: 전기박스 설치부 30: 전기박스22: electric box installation unit 30: electric box

40: 슬라브 50: 슬라브 거푸집40: slab 50: slab formwork

100: 보강망 장치 200: 보강망100: reinforcement net device 200: reinforcement net

210: 상부철근 220: 하부철근210: upper rebar 220: lower rebar

230: 전기박스 설치부 300: 스페이서230: electrical box mounting portion 300: spacer

310: 고정부 311: 상부결합홈310: fixed portion 311: upper coupling groove

312: 고정편 312a: 걸림편312: fixing piece 312a: locking piece

313: 하부결합홈 320: 지지봉313: lower coupling groove 320: support rod

321: 지지돌기 400: 보강망 장치321: support protrusion 400: reinforcement net device

500: 전기박스 600: 슬라브500: electrical box 600: slab

700: 슬라브 거푸집700: slab formwork

본 고안에 따른 보강망 장치의 구성에 관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서 일관되게 사용되고 있는 스페이서(Spacer)란 '이격시킴으로 해서 일정공간을 형성시켜주는 것' 의 의미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의 보강망 시공방식에서 보강망을 소정높이로 이격 및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슬라브 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강망 중앙영역에 설치되는 전기박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einforcement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r used consistently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sense of 'forming a certain space by spaced apart', and in general, construction In the reinforcement net construction method of the site by separating and fixing the reinforcement net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stably fixed in the slab, as a result it is to be able to stably support the electrical box install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reinforcement network.

다음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망 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reinforcing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망 장치의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ing n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망 장치(400)는 일종의 철망 형태를 하는 보강망(200)과, 상기 보강망(200)에 끼워져 결합되는 스페이서(300)로 구성된다.4, 5, 6 and 7, the reinforcing net device 400 is a reinforcing net 200 to form a kind of wire mesh, and the spacer 300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reinforcing net 200 It is composed of

여기서, 상기 보강망(200)은 다수의 상부철근(210) 및 하부철근(220)이 격자구조를 이루는 형태이며,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보강망(200)을 소정높이로 상향 이격시키기 위한 일종의 고임부재로서, 보강망(200)의 상부철근(210) 및 하부철근(22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사용하는데, 측면이 시각적으로 'U'자 형상을 하고 있다.Here, the reinforcement net 200 i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upper reinforcement 210 and the lower reinforcement 220 forms a lattice structure, the spacer 300 is to space the upward reinforcement net 200 to a predetermined height As a kind of stiffening member, it is used to fit the upper reinforcement 210 and the lower reinforcement 220 of the reinforcement net 200, the side is visually 'U' shape.

여기서, 상기 보강망(200)은 주택, 고층빌딩 등에서 전기배선 등을 집약시켜논 이른바, 전기박스(500, 도 8에 도시됨.)를 안정적으로 안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중앙영역에 사각의 전기박스 설치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상기 스페이서(300)가 하부에서 안정적으로 이격시켜주는 것을 필요로 한다.Here, the reinforcement network 200 is used to reliably settle the electric box (500, shown in Figure 8), which is used to aggregate electrical wiring in houses, high-rise buildings, etc. A rectangular electric box installation unit 230 is formed, and the spacer 300 needs to be stably spaced from the bottom for more stable installation.

이러한, 상기 스페이서(3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lyene)의 한 종류인 코프렌(Kopelen)을 주요재질로 하며, 크게 나누어 고정부(310)와 지지봉(320)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부에는 한쌍씩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취하는 총 4개의 고정편(31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길쭉한 봉 형상을 하는 지지봉(3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봉(320)의 끝단중앙에는 지지돌기(32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보강망(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spacer 300 has a main material of propylene (Kopelen), a kind of polypropylene (Polyproplyene), and is largely divided into a fixed part 310 and a support rod 320. A total of four fixing pieces 312 taking the form facing each other is formed, the lower support bar 320 having an elongated rod shape is integrally formed, the support protrusion 321 in the center of the end of the support bar 320 Is formed to protrude can support the reinforcement net 200 stably.

여기서, 상기 고정부(310)는 앞에서 설명한 상기 고정편(312)을 위시하여 상기 고정편(312) 한쌍이 마주보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형성되는 상부결합홈(311)과, 상기 상부결합홈(311) 하부에 상기 4개의 고정편(312) 모두가 하부로 만곡되어져 형성되는 하부결합홈(313)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fixing part 310 has a form in which the pair of fixing pieces 312 face each other, including the fixing piece 312 described above, the upper coupling groove 311 and the upper coupling groove ( 311) the four fixing pieces 312 in the lower portion is composed of a lower coupling groove 313 is formed by bending downward.

이렇게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부(310)의 길이는 약 20mm 정도이고, 상기 고정부(310) 하단에 형성된 상기 지지봉(320)은 약 10mm 정도,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321)의 길이가 약 3mm 정도로 상기 스페이서(300) 총 길이는 약 33mm 정도이다.The length of the fixing part 310 is about 20mm, the support rod 32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xing part 310 is about 10mm,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protrusion 321 is about 3mm about the spacer The total length of the 300 is about 33 mm.

아울러, 상기 상부결합홈(311)은 보강망(200)을 이루는 상기 상부철근(210) 및 하부철근(220) 중 상부철근(210)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철근(210)의 직경에 대응되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oupling groove 311 is that the upper reinforcement 210 of the upper reinforcement 210 and the lower reinforcement 220 constituting the reinforcement network 200 is fitted, and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upper reinforcement 210 It is formed in the size that becomes.

또한, 상기 하부결합홈(313)은 상기 하부철근(220)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역시 상기 하부철근(220)의 직경에 대응되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oupling groove 313 is to be coupled to the lower reinforcing bar 220, is also form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20.

여기서, 상기 고정편(312)은 상기 상부결합홈(311)을 형성시키기 위해 한쌍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음과 동시에 마주보는 안측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한쌍의 걸림편(312a)을 포함하고 있다.Here, the fixing piece 312 has a pair of forms facing each other to form the upper coupling groove 311 and at the same time includes a pair of engaging pieces 312a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inner side facing. Doing.

이러한, 상기 걸림편(312a)은 상부로 갈수록 그 경사가 완만해지고, 하부로 갈수록 그 경사가 급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결합홈(311)과 결부시켜 도 5에서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종래의 열쇠가 끼워지도록 자물쇠에 형성된 일종의 열쇠구멍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Such, as the engaging piece 312a is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top, the inclined is made steeply toward the bottom, as shown in Figure 5, in conjunction with the upper coupling groove 311, when viewed from the front, It is shaped like a kind of key hole formed in a lock so that a conventional key is inserted.

상기와 같은 걸림편(312a)은 상기 상부결합홈(311)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철근(210)을 상기 상부결합홈(311)에 결합시킬 경우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일종의 관문과 같은 것으로, 상기 보강망의 상부철근(210)이 하향으로 억지끼움으로 결합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편(312a)의 상부가 하부에 비해 비교적 경사가 완만하기 때문에, 적은 힘을 소비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hook piece 312a is formed on the upper coupling groove 311 and is the same as a kind of gate that must pass when the upper reinforcing bar 210 is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groove 311, and the reinforcing network When the upper reinforcing of the 210 is coupled to the downward fit,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piece (312a) is relatively inclined compared to the lower moderately, it can be combined relatively easily by consuming less force.

하지만, 일단 상기 상부철근(210)이 상기 상부결합홈(311)에 끼워져 결합하게 되면, 상기 걸림편(312a)의 하부는 비교적 급하게 경사진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결합된 상기 상부철근(210)은 쉽게 이탈될 수 없다.However, once the upper reinforcing bar 210 is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311 and combined,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piece 312a is inclined relatively rapidly, the upper reinforcing bar 210 is coupled. Cannot be easily dismissed.

아울러, 상기 하부결합홈(313)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철근(220)은 상기 상부철근(210)에 용접을 통해 비교적 공고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걸림편(312a)은 상기 상부철근(210)만에 국한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하부철근(220)의 이탈까지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reinforcing bar 220 fitted into the lower coupling groove 313 is relatively firmly coupled to the upper reinforcing bar 210 by welding, the locking piece 312a is consequently the upper reinforcing bar ( It is limited to only 210 and can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lower reinforcing bar 220, instead of preventing the departure.

이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0)는 상기 보강망(200)에 결합되어 상기 보강망(200) 전체를 소정높이로 이격시킴과 동시에 전기박스(500)를 안정적으로 안치할 수 있도록 고정시킨다.As such, the spacer 300 is coupled to the reinforcement net 200 to space the entire reinforcement net 200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o fix the electrical box 500 to be stably placed.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망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8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reinforcement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망 장치(400)는 상부철근(210) 및 하부철근(220)이 용접을 통해 격자구조를 이룬 보강망(200)과, 상기 보강망(200)을 일정한 높이로 이격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강망(200) 4곳에 결합되는 스페이서(3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reinforcing net device 400 has a reinforcing net 200 having a lattice structure formed by welding the upper reinforcing rod 210 and the lower reinforcing rod 220, and the reinforcing net 200 is fixed. It is composed of a spacer 300 coupled to the four reinforcing nets 200 to be spaced apart in height.

여기서, 상기 보강망(200)은 중앙영역에 사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전기배선을 집약시켜논 일종의 전기박스(500)를 안정적으로 안치시키기 위한 전기박스 설치부(230)이다.Here, the reinforcing network 200 has a rectangular space is formed in the center area, which is an electrical box installation unit 230 for stably placing a kind of electrical box 500 by collecting the electrical wiring.

이러한, 상기 보강망(200)이 슬라브 거푸집(700) 상에 설치될 경우, 우선적으로 상기 보강망(200)을 전체적으로 소정 높이만큼 상향 이격하기 위해 4개의 스페이서(300)가 사각 형상을 하는 상기 보강망(200)의 네귀퉁이에 설치된다.When the reinforcement mesh 200 is installed on the slab formwork 700, the four spacers 300 have a rectangular shape in order to first space the reinforcement mesh 200 upwardly by a predetermined height. It is installed at four corners of the network (200).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페이서(300)가 설치된 보강망(200)를 상기 슬라브 거푸집(700) 상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박스(500)를 포함하여 안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박스(500) 위에서 하향 설치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net 200 having the spacer 30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downward on the electrical box 500 to include the electrical box 500 located on the slab formwork 700.

상기와 같이 보강망 장치(400)가 슬라브 거푸집(700) 상에 안치한 후, 상기 슬라브 거푸집(700) 위로 반죽형태인 소정량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됨으로써, 슬라브(600)가 형성된다.After the reinforcing net device 400 is placed on the slab formwork 700 as described above, the slab 600 is formed by pou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concrete on the slab formwork 700.

이 때, 상기 보강망(200)은 네귀퉁이에 결합된 스페이서(300)에 의해 공고히 이격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보강망(200)을 이루는 상기 상부철근(210) 및 하부철근(220)에서 상기 상부철근(210)이 상기 스페이서(300)의 상부결합홈(311)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부결합홈(311)을 형성시키는 고정편(312) 안측의 걸림편(312a)에 의해 이탈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reinforcement net 200 may be firmly spaced by the spacer 300 coupled to the four corners, which is the upper reinforcement 210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s 220 forming the reinforcement net 200 The upper reinforcement 210 is fitted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311 of the spacer 300 is coupled, and is not easily separated by the engaging piece 312a inside the fixing piece 312 forming the upper coupling groove 311. Because it does not.

또한, 상기 하부철근(220)은 스페이서(300)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홈(313)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상기 상부결합홈(311)에 끼워져 고정된 상부철근(210)과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철근(210)이 이탈되지 않으면 상기 하부철근(220)도 쉽게 이탈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lower reinforcing bar 220 is fitted into the lower coupling groove 313 formed below the spacer 300, and is fixed, the upper reinforcing groove 210 is fitted into the upper reinforcement 210 is fixed by being coupled through welding Therefore, the lower reinforcing bar 220 is not easily separated unless the upper reinforcing 210 is separated.

아울러, 상기 스페이서(300)의 하부를 이루는 지지봉(320) 및 상기 지지봉(320)의 끝단 중앙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321)는 상기 보강망(200)이 상기 슬라브 거푸집(700)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rod 320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pacer 300 and the support protrusion 321 protruding in the center of the end of the support rod 320, the reinforcement net 200 is stably on the slab formwork 700 Can be located.

이와 같은 상기 스페이서(300)의 공고한 결합을 통해 상기 보강망(200)은 슬라브(600) 형성을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 반죽의 압력을 견디어 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기박스(5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rough the firm coupling of the spacer 300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ement mesh 200 withstands the pressure of the concrete dough to be poured to form the slab 600, not only to be released from the position but also to the electrical box 500. I can support it stably.

다음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이서(300)의 제조과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pac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상기 스페이서(300)와 동일한 형상의 목형(미도시)을 제작하여 주형(미도시)에 안착한 후, 상기 주형(미도시)을 기초로 하는 금형(미도시)을 완성한다.First, a wooden die (not shown)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pacer 300 is manufactured and seated on a mold (not shown), and then a mold (not shown) based on the mold (not shown) is completed.

그리고, 용융상태에 있는 코프렌(Kopelen) 상기 금형 내에 투입하여 상기 스페이서(300)를 사출한다.In addition, the spacer 300 is injected into the mold in the molten state of Coplen.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망 장치(400)에서 상기 스페이서(300)는 수지재 외에, 철재 또는 목재 등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reinforcing network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pacer 300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resin material, optionally selected from iron or wood.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300)를 이루는 지지봉(320)은 단일의 봉 형상 외에, 2이상의 봉 형상, 3개이상의 다리 형상, 블록 형태 등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support rod 320 constituting the spacer 300 may be arbitrarily selected from two or more rod shapes, three or more leg shapes, and a block shape in addition to a single rod shape.

아울러, 상기 스페이서(300) 고정편(312)에 형성된 걸림편(312a)은 임의로 경사각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gaging piece 312a formed on the spacer 300 fixing piece 312 may be used by arbitrarily changing the inclination angle.

또한, 상기 스페이서(300)의 재질은 코프렌(Kopelen) 외에, 폴리프로필렌의 여러종류 중 호프렌(Hopelen), 포프렌(Popelen) 등과, PVC, ABS 등과 같은 수지재 중 임의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spacer 300 may be arbitrarily selected from among resin materials such as Hoflen, Poprene, PVC, ABS, etc., among various types of polypropylene, in addition to Koplen. .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망 장치에 따르면, 상기 보강망을 이루은 상부철근 및 하부철근 중에서 상부철근은 스페이서의 상부결합홈에 결합되고, 하부철근은 하부결합홈에 결합되는데, 상기 상부결합홈 상부에 걸림편이 경사지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슬라브 형성을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시의 타설 압력에 상기 상부철근이 이탈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the reinforcing n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reinforcing bar is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groove of the spacer, the lower reinforcing bar is coupled to the lower coupling groove, Since the engaging piec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roove, the upper reinforcing bar is able to withstand the pressure placed at the time of concrete pouring to form the slab.

그리고, 상기 상부철근은 상기 하부철근과 더불어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상기 상부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편은 상기 상부철근 뿐만 아니라 하부철근의 이탈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pper reinforcing bar is coupled together by welding together with the lower reinforcing bar, so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engaging piec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upper reinforcement can als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lower reinforcement as well as the upper reinforcement It works.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중앙영역에 사각의 전기박스 설치부(230)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상부철근(210)과, 다수의 하부철근(220)으로 격자구조를 이루는 보강망(200); 및A reinforcing net 200 forming a lattice structure with a plurality of upper rebars 210 and a plurality of lower rebars 220 so that a rectangular electric box installation unit 230 is formed in a central area; And 상기 상부철근(210)이 끼워지도록 일렬로 상통하게 형성되는 두개의 상부결합홈(311)과, 상기 상부결합홈(311)이 형성되도록 소정거리를 두고 마주보는 두쌍의 고정편(312)과, 상기 상부철근(210)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편(312) 안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편(312a)과, 상기 하부철근(220)이 끼워지도록 상기 고정편(312) 하부영역이 'U' 자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하부결합홈(313)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310)와,Two pairs of fixing pieces 312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uch that the upper coupling grooves 311 are formed in a row in parallel so that the upper rebar 210 is fitted, and the upper coupling grooves 311 are formed; A locking piece 312a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piece 312 so that the upper reinforcing bar 210 is not separated, and a lower area of the fixing piece 312 so that the lower reinforcing bar 220 is fitted into a 'U' shape. Fixed portion 310 consisting of a lower coupling groove 313 is formed to be curved, 상기 고정부(310)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끝단에 지지돌기(312)가 형성되는 지지봉(320)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강망(200)을 슬라브 거푸집(700)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스페이서(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망 장치.Spacer 300 is formed integrally at the bottom of the fixing portion 310, the spacer 300 for separating the reinforcing net 200 from the slab formwork 700 consists of a support rod 32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projection (312); Reinforcement networ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페이서(300)는 수지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망 장치.The spacer 300 is a reinforcing networ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n material.
KR2020010010476U 2001-04-13 2001-04-13 A Reinforcing Bar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20023849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76U KR200238498Y1 (en) 2001-04-13 2001-04-13 A Reinforcing Ba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76U KR200238498Y1 (en) 2001-04-13 2001-04-13 A Reinforcing Ba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498Y1 true KR200238498Y1 (en) 2001-10-11

Family

ID=7305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476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8498Y1 (en) 2001-04-13 2001-04-13 A Reinforcing Ba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498Y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121A (en) * 2002-02-05 2002-04-03 김용호 electric box support
KR20020025120A (en) * 2002-02-05 2002-04-03 김용호 electric box support
KR100512696B1 (en) * 2002-11-20 2005-09-07 나만용 Insulating spacer used in concrete for railroad
KR100728573B1 (en) 2005-09-02 2007-06-14 송유섭 Conduit fitting
WO2008002012A1 (en) * 2006-06-30 2008-01-03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Academia Cooperation Group Spacer
KR200472026Y1 (en) * 2012-01-06 2014-04-02 박시환 Rebar spacer
CN115723225A (en) * 2022-11-07 2023-03-0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Pouring mold for reinforced concrete masonry sl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733127B1 (en) * 2023-06-16 2024-11-25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Light Weight Member For Hollowed Slab Of Build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121A (en) * 2002-02-05 2002-04-03 김용호 electric box support
KR20020025120A (en) * 2002-02-05 2002-04-03 김용호 electric box support
KR100512696B1 (en) * 2002-11-20 2005-09-07 나만용 Insulating spacer used in concrete for railroad
KR100728573B1 (en) 2005-09-02 2007-06-14 송유섭 Conduit fitting
WO2008002012A1 (en) * 2006-06-30 2008-01-03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Academia Cooperation Group Spacer
KR200472026Y1 (en) * 2012-01-06 2014-04-02 박시환 Rebar spacer
CN115723225A (en) * 2022-11-07 2023-03-0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Pouring mold for reinforced concrete masonry sl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733127B1 (en) * 2023-06-16 2024-11-25 주식회사 상송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Light Weight Member For Hollowed Slab Of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5023A (en) Spacer for construction use
US8359797B2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556545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using a double wall Precast Concrete
KR102170635B1 (en) Libbed half PC slab
KR200238498Y1 (en) A Reinforcing Bar Device
KR20110040493A (en) Reinforced concrete permanent formwork
KR100423126B1 (en) T-shape PC slab
KR100774885B1 (en) Prefabricated anchor bolt structure embedded in the 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found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091600B1 (en) Sidewall PC formwor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065623B1 (en) the improved yoke truss and the wall form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120360B1 (en) Light weight assembly for hollow and light slab using the same
KR100264386B1 (en) Method and construction of panel of reinforced siol using unartificial marble
KR101322581B1 (en) Spacer for fastening Reinforcement Bar and Hanger Bolt
JPH10102660A (en) Precast concrete board and manufacture thereof
KR200481249Y1 (en) Apparatus for fixing electrical box for wall frame construction
KR100614839B1 (en) Insulator or construction material fixing device installed on aluminum formwork
KR200203624Y1 (en) Steel reinforcing for spacer
KR101174665B1 (en) Light weight assembly for hollow and light slab using the same
JP3035385U (en) Foundation reinforcement
KR20190129174A (en) Spacer for reinforcing bar in a wall
JP2779404B2 (en) Foundation reinforcement
KR101825489B1 (en) Support of Steal Reinforcing
KR200204074Y1 (en) Reinforced rod supporter for concrete work
KR20030034379A (en) A Wall Fram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s Using the Same
KR100365827B1 (en) An upper iron supporting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4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41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