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8108Y1 - 액상입술연지용기 - Google Patents

액상입술연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108Y1
KR200238108Y1 KR2019980017315U KR19980017315U KR200238108Y1 KR 200238108 Y1 KR200238108 Y1 KR 200238108Y1 KR 2019980017315 U KR2019980017315 U KR 2019980017315U KR 19980017315 U KR19980017315 U KR 19980017315U KR 200238108 Y1 KR200238108 Y1 KR 200238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applicator
lip
valve
pis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252U (ko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2019980017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10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2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2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10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 입술연지 용기 내에 담겨 있는 액상 입술연지를 상부 용기체에 설치된 누름판을 이용하여 일정량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액상 입술연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 용기체(2)와, 이 용기체(2)에 대하여 일 단부가 나사 결합되고 내용물 피스톤(50)이 구비된 중간 용기체(3)와, 이 중간 용기체(3)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통기구멍(4a)이 형성된 하부 용기체(2)로 이루어진 입술연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용기체(3)의 선단부로 설치된 밸브팁(13)에 대하여 도포면(11)이 노출되게 삽설 됨과 동시에 배출공(12)이 형성된 입술 연지 도포구(10)와; 상기 상부 용기체(2) 내에 삽설되되, 상기 도포구(10)로 삽설 지지되는 일단부로는 상기 도포구(10)의 배출공(12)과 연통되는 배출구멍(23)이 형성되고, 타단부로는 상기 중간 용기체(3)의 실린더(33)내에 설치되어진 밸브홀더(29)로 받침되는 입술연지 이송관(21)과; 상기 이송관(21)의 배출구멍(23)에 설치되어 입술연지의 배출시 상기 배출구멍(23)을 개폐조작하기 위한 밸브(24)와; 상기 입술연지 이송관(21)의 외부로 관통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시 일단부는 상기 도포구내에 삽설 지지되고 상기 실린더(33)내로 위치되는 타단부로는 피스톤(26)이 구비됨과 동시에 소정 지점으로는 경사면(28b)을 갖는 활차(28)가 일체로 고정 설치된 피스톤 로드(27)와; 상기 실린더(33) 내부로 삽설된 피스톤(26)과 밸브 홀더(29)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입술연지의 배출 조작시 피스톤 로드(27)를 탄발 조작하기 위한 스프링(32)과; 상기 밸브홀더(30)의 후단부로 설치되어 입술연지 배출 조작시 상기 실린더(33)로 형성된 구멍(34)을 개폐 조작하되 상기 이송관(21)의 밸브(24)와는 개폐조작이 반대로 작용되는 밸브(30) 및; 상기 상부 용기체(2)에 대하여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활차(28)의 경사면(28b)과 접촉하는 내측단(41)이 구비된 누름판(40)으로 구성하여 줌으로서 입술연지의 배출 조작이 간편 용이하면서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색인어]
액상 입술연지, 겔상 립스틱, 누름판, 활차, 피스톤, 도포구, 밸브, 입술연지 용기, 립스틱 용기

Description

액상 입술연지 용기{A liquid type lipstick dispenser}
본 고안은 액상 입술연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 입술연지 용기 내에 담겨있는 액상 입술연지를 상부 용기체에 설치된 누름판을 이용하여 일정량씩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액상 입술연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술연지는 고체 상태의 입술연지와 겔(gel)에 가까운 액상 입술연지로 나누어진다. 이 중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고체 상태의 입술연지이며, 고체 상태의 입술연지를 별도의 화장솔에 묻힌 다음 화장솔에 묻은 입술연지를 입술에 골고루 바르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고체 상태의 입술연지는 화장솔을 이용하여 입술에 바르는 것이어서 별도의 화장솔을 휴대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솔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묻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입술이 거칠 때 입술연지를 바르면 입술연지가 고르게 도포되지 않고 뭉치게 되는 폐단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 액상 입술연지인데, 종래의 액상 입술연지 용기들은 액상 입술연지가 담겨있는 용기의 한쪽 끝에 화장솔이 부착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에는 입술연지 배출버튼이 설치된 구조를 가지며, 입술연지 배출버튼을 눌러 용기 내의 액상 입술연지를 화장솔 부분으로 배출시키면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상 입술연지 용기들이, 예컨대 실용신안공고 제89-5413호, 실용신안공고 제90-6221호, 실용신안공고 제90-6963호, 실용신안공고 제91-3018호, 실용신안공고 제91-301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액상 입술연지 용기들은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단순히 배출버튼을 눌러 용기 내의 액상 입술연지를 배출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용기 내에 남아있는 입술연지의 양이 줄어들수록 배출시키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배출량도 줄어들 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용기 내에 입술연지 잔여량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입술연지 제품의 수명이 짧기 때문에 소비자 선호도가 하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배출버튼이 용기의 끝부분에 설치된 구조는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상 입술연지를 전량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소비자 선호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액상 입술연지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액상 입술연지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액상 입술연지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입술연지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입술연지 용기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입술연지 용기의 도포구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 단면도.
도 4a는 누름판을 눌렀을 때의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입술연지 용기 내부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b는 누름판의 복원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입술연지 용기 내부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입술연지 용기의 내용물 피스톤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뚜껑 2: 상부 용기체
3: 중간 용기체 4: 하부 용기체
10: 입술연지 도포구 11: 입술연지 도포면
12: 배출공 13: 팁 홀더
21: 입술연지 이송관 24, 30: 밸브
26: 피스톤 27: 피스톤 로드
28: 활차 29: 밸브 홀더
32: 스프링 33: 실린더
40: 누름판 50: 내용물 피스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입술연지 용기의 특징은, 상부 용기쳬(2)의 중앙부로 형성된 누름판(40)의 작용에 의하여 용기 내부에 있는 활차(28)와 그에 체결된 피스톤 로드(27)가 수평변위를 일으키고, 그에 따라 실린더(33) 및 입술연지 이송관(21) 내부의 액상 입술연지(22)의 유압이 증가하여 액상 입술연지가 도포구(10)를 통하여 일정량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누름판(40)이 원상태로 복원하게 되면 실린더(33)와 피스톤 로드(27)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27)와 활차(28)는 원래 위치로 돌아오며, 그 만큼 낮아진 유압에 의하여 실린더(33)에 인접한 중간 용기체(3)로부터 액상의 입술연지가 실린더(33)내로 공급되는 일련의 작용에 의해 입술연지 용기 내부의 액상 입술연지가 전량 소진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도면을 통틀어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입술연지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입술연지 용기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입술연지 용기의 도포구(1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 단면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누름판(40)이 눌려질 때와 복원될 때의 액상 입술연지 용기 내부의 작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입술연지 용기의 내용물 피스톤(50)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입술연지 용기의 외형은 도 1과 같이 3개의 용기체, 즉 상부 용기체(2)와 중간 용기체(3)와 하부 용기체(4) 및 뚜껑(1)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용기체(2)의 끝부분에는 액상 입술연지가 배출되는 입술연지 도포구(10)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입술연지 도포구(10)는 상부 용기체(2)의 일 단부로 설치된 팁 홀더(13)에 의해 삽설 고정되어 지는 것이며, 상기 입술연지 도포구(10)로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술에 직접 접촉되는 도포면(11)과 액상 입술연지가 배출되어 나오는 배출공(1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용기체(2) 외부로 드러난 팁 홀더(13)의 바깥면으로는 입술연지 도포구(10)를 보호하기 위한 뚜껑(1)이 씌어진다.
그리고 상부 용기체(2) 내부에는 입술연지 이송관(21)이 도포구(10)에 결합되어 있다. 이 이송관(21)에는 액상의 입술연지가 담겨져 있고, 입술연지가 도포구(10)를 통하여 배출될 때 액상 입술연지의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입술연지 도포구(10) 쪽의 이송관(21) 끝부분에는 배출구멍(23)이 형성되어 있고 배출구멍(23)에는 밸브(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멍(23)을 통하여 이송관(21) 내부의 액상 입술연지가 도포구(10) 쪽으로 공급된다..
한편, 이송관(21)의 바깥쪽에는 관체상의 피스톤 로드(27)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어 있다.
상부 용기체(2)의 다른쪽 끝에는 중간 용기체(3)가 결합된다. 이 중간 용기체(3)에는 액상의 입술연지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부 용기체(2)와 결합되는 쪽의 중간 용기체(3) 내부에는 실린더(33)가 끼워져 있다..
실린더(33)의 한쪽 측면에는 구멍(34)이 형성되어 있어서 중간 용기체(3)에 저장된 액상 입술연지가 실린더(33) 안으로 공급될 수 있다. 실린더(33) 내부에는 밸브 홀더(29)가 위치하며, 이 밸브 홀더(29)의 다른 쪽 끝은 이송관(21)의 내부에까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27)는 피스톤(26)과 결합하여 실린더(33) 내부에 끼워지는 바, 이때 피스톤 로드(27)는 피스톤(26)과 밸브홀더(29) 사이로 탄설된 스프링(32)에 의해 탄력 지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술연지 용기 내부의 구조를 보면, 입술연지 이송관(21)은 도포구(10)쪽 배출구멍(23)을 막고 있는 밸브(24)와 중간 용기체(3) 쪽의 실린더(33) 및 피스톤(26)에 의하여 폐쇄된 공간을 형성한다. 물론 실린더(33)에 형성된 구멍(34)도 밸브 날개(31)에 의하여 막혀 있다..
한편 중간 용기체(3)의 다른쪽 부분에는 하부 용기체(4)가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중간 용기체(3) 내의 액상 입술연지를 가압하기 위한 내용물 피스톤(50)이 삽입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가장 두드러진 구성상의 특징은 이하에서 설명되어지는 누름판(40)과 활차(28)에 있다. 누름판(40)은 상부 용기체(2)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데, 그 한쪽 끝은 상부 용기체(2)와 연결되지만, 다른쪽 끝은 상부 용기체(2)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분리된 쪽에는 용기 내부쪽으로 돌출된 내측단(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단(41)은 활차(28)의 경사면(28b)과 접촉하여 활차(28)를 움직이게 하는 부분이다. 활차(28)는 상부 용기체(2)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부 용기체(2)에 대하여 소정의 수평 변위가 가능하다..
한편 활차(28)는 고정핀(28a)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27)에 일체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활차(28)의 이동은 피스톤 로드(27)에까지 전달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입술연지 용기의 구성을 서술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그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40)을 눌렀을 때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상부 용기체(2)에 설치된 누름판(40)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누름판(40)의 내측단(41)이 활차(28)의 경사면(28b)에 힘을 가하여 활차(28)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후퇴)이도록 한다. 활차(28)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 활차(28)와 체결된 피스톤 로드(27)와 피스톤(26)도 역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스프링(32)을 압축시킨다.
그런데 실린더(33)와 이송관(21) 내부에는 액상의 입술연지가 채워져 있고, 앞서 설명했듯이 실린더(33)와 이송관(21) 내부는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피스톤(26)의 이동은 이송관(21) 내부의 액상 입술연지의 유압을 증가시키게 되며, 이 증가된 유압은 이송관(21)의 구멍에 형성된 밸브(24)에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밸브(24)가 열리면서 이송관(21) 내부의 액상 입술연지가 도포구(10)에 공급되고 배출공(12)을 통하여 도포면(11)까지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도 4b와 같이 누름판(40)이 누르던 힘이 제거되어 원상태로 복원하게 되면, 활차(28)와 피스톤 로드(27) 및 피스톤(26)은 스프링(32)의 탄성력을 받는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2)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26) 등은 원래 상태로 수평 이동(전진)하게 된다. 그런데 이미 이송관(21) 내부의 액상 입술연지(22)는 소정량이 외부로 배출되었기 때문에 피스톤(26)이 원상태로 복귀한다는 것은 유압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번에는 실린더(33) 구멍(34) 쪽의 밸브 날개(31)가 열리면서 중간 용기체(3)에 저장되어 있던 액상 입술연지가 실린더(33) 안으로 공급되어진다..
한편 중간 용기체(3)내의 액상 입술연지가 실린더(33)내로 유입됨과 동시에 중간 용기체(3)내의 내용물 피스톤(50)은 하부 용기체(4)로 형성된 관통구멍(4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구멍(34)을 통하여 빠져나간 액상 입술연지 량 만큼 빨려 들어가게 되면서 중간 용기체(3)내의 액상 입술연지를 압착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누름판(40)과 활차(28)의 진퇴 동작에 의해 이송관(21)내로 이송 저장된 입술연지(22)가 입술연지 도포구(10)로 배출됨과 동시에 배출된 량만큼의 입술연지가 중간 용기체(3)로부터 공급되어지고, 중간 용기체(3) 내의 잔여 입술연지는 내용물 피스톤(50)에 의해 항상 지속적인 압착 상태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중간 용기체(3)에 담겨 있는 액상 입술연지는 전량이 배출되어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상 입술연지 용기는 입술 화장시 입술연지 용기를 잡은 상태에서 상부 용기체(2)에 설치된 누름판(40)의 누름 동작에 의해 정량의 액상 입술연지가 도포구(10)로 배출되기 때문에 액상 입술연지의 배출 동작이 매우 부드러우면서도 간편 용이하고, 내용물 피스톤(50) 작동에 따른 중간 용기체내(3)의 잔존 입술연지가 배출되는 량 만큼 압착됨에 따라 전량의 소모가 가능하게 되어 그 만큼 제품의 수명이 크게 향상되어 소비자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상부 용기체(2)와, 이 용기체(2)에 대하여 일 단부가 나사 결합되고 내용물 피스톤(50)이 구비된 중간 용기체(3)와, 이 중간 용기체(3)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통기구멍(4a)이 형성된 하부 용기체(2)로 이루어진 입술연지 용기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용기체(3)의 선단부로 설치된 밸브팁(13)에 대하여 도포면(11)이 노출되게 삽설 됨과 동시에 배출공(12)이 형성된 입술 연지 도포구(10)와;
    상기 상부 용기체(2) 내에 삽설되되, 상기 도포구(10)로 삽설 지지되는 일단부로는 상기 도포구(10)의 배출공(12)과 연통되는 배출구멍(23)이 형성되고, 타단부로는 상기 중간 용기체(3)의 실린더(33)내에 설치되어진 밸브홀더(29)로 받침되는 입술연지 이송관(21)과;
    상기 이송관(21)의 배출구멍(23)에 설치되어 입술연지의 배출시 상기 배출구멍(23)을 개폐조작하기 위한 밸브(24)와;
    상기 입술연지 이송관(21)의 외부로 관통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시 일단부는 상기 도포구내에 삽설 지지되고 상기 실린더(33)내로 위치되는 타단부로는 피스톤(26)이 구비됨과 동시에 소정 지점으로는 경사면(28b)을 갖는 활차(28)가 일체로 고정 설치된 피스톤 로드(27)와;
    상기 실린더(33) 내부로 삽설된 피스톤(26)과 밸브 홀더(29)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입술연지의 배출 조작시 피스톤 로드(27)를 탄발 조작하기 위한 스프링(32)과;
    상기 밸브홀더(30)의 후단부로 설치되어 입술연지 배출 조작시 상기 실린더(33)로 형성된 구멍(34)을 개폐 조작하되 상기 이송관(21)의 밸브(24)와는 개폐조작이 반대로 작용되는 밸브(30) 및;
    상기 상부 용기체(2)에 대하여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활차(28)의 경사면(28b)과 접촉하는 내측단(41)이 구비된 누름판(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입술연지 용기.
KR2019980017315U 1998-09-11 1998-09-11 액상입술연지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38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315U KR200238108Y1 (ko) 1998-09-11 1998-09-11 액상입술연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315U KR200238108Y1 (ko) 1998-09-11 1998-09-11 액상입술연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252U KR20000006252U (ko) 2000-04-15
KR200238108Y1 true KR200238108Y1 (ko) 2001-11-22

Family

ID=6952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31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8108Y1 (ko) 1998-09-11 1998-09-11 액상입술연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10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82B1 (ko) 2007-10-31 2009-05-04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품 용기의 슬라이딩 펌핑장치
KR200450995Y1 (ko) 2008-08-26 2010-11-16 (주)연우 펜슬형 화장품용기
KR101387624B1 (ko) 2012-04-13 2014-04-21 김길수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립글로스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236Y1 (ko) * 2008-12-16 2011-10-20 주식회사 하나 액상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WO2010098511A1 (ko) * 2009-02-27 2010-09-02 Roh Byung-Hoo 액상 화장품 용기의 슬라이딩 펌핑장치를 갖는 퍼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82B1 (ko) 2007-10-31 2009-05-04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품 용기의 슬라이딩 펌핑장치
KR200450995Y1 (ko) 2008-08-26 2010-11-16 (주)연우 펜슬형 화장품용기
KR101387624B1 (ko) 2012-04-13 2014-04-21 김길수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립글로스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252U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650B2 (en) Retractable substance dispenser
KR200408260Y1 (ko) 액상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CA1233439A (en) Pasty product dispenser having combination actuator and outlet valve
US3035299A (en) Dispenser
CA1072922A (en) Metering dispensers
IE50643B1 (en) Dispenser,particularly for pasty material
US5484080A (en) Liquid container within retractable straw
KR200353114Y1 (ko) 밀폐기능이 향상된 토출수단을 갖는 디스펜서
JP3104498U (ja) ゲル状リップスティック容器
KR101490709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라이너 화장품용기
KR200238108Y1 (ko) 액상입술연지용기
JPH0826322A (ja) 瓶などの中のペーストまたは液体用のディスペンサ装置
CN211510833U (zh) 一种改进型化妆品瓶
CN212173106U (zh) 一种散粉密封包装容器
CN113057434B (zh) 一种化妆瓶
CN211443382U (zh) 一种挤压式眼霜瓶
CN108577143A (zh) 一种便携式可连续操作的美妆笔
KR102054877B1 (ko) 도포부재와 내용물이 분리된 화장품 용기
KR20240000137U (ko) 화장품 용기
CN208022049U (zh) 一种方便添加辅料的按压式瓶子
KR20200052204A (ko) 방수 기능을 가진 액체용기용 펌핑장치
KR200362352Y1 (ko)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KR200393943Y1 (ko) 다용도 용기
KR200468389Y1 (ko) 화장품 내용물 배출용기
CN111422483B (zh) 一种散粉密封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91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1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7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7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7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106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