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7779Y1 - 입체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779Y1
KR200237779Y1 KR2020010005752U KR20010005752U KR200237779Y1 KR 200237779 Y1 KR200237779 Y1 KR 200237779Y1 KR 2020010005752 U KR2020010005752 U KR 2020010005752U KR 20010005752 U KR20010005752 U KR 20010005752U KR 200237779 Y1 KR200237779 Y1 KR 200237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hicle
vehicle support
lifting
flow preven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철
김박의
Original Assignee
김성철
김박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김박의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2020010005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7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77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강저지시의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이 횡이동 이동차량 지지대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나의 구동 및 권상장치로서 입체주차장치 전체를 효과적으로 콘트롤하며, 승강 차량 지지대는 횡방향으로 3열 내지 최대 9열 까지 복수로 병설할 수 있어 좁은 주차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입체주차장치의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또 횡하중을 받더라도 쉽게 수평 이동하지 않는 입체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차량출입고높이와 상측차량수납높이와의 사이에 개별적으로 자유자재로 승강하며 또한 횡방향으로 여러 개 나란히 설치된 승강차량지지대(2)와, 차량출입고높이에 개별적으로 횡이동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거기에 승강차량지지대 (2)의 수보다도 1대 적은 수의 횡이동 차량지지대(3)를 준비하여, 승강차량지지대 (2)의 하중을 지지하고 승강차량지지대(2)가 상측수납높이에서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를 갖추어,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를 상하 자유자재로 가이드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를 횡이동 차량지지대(3)에 갖추고, 하강저지시의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중을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하단이 접촉하는 바닥부(1a)로 지지하고, 승강차량지지대(2)가 하강하지 않을 때에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하단을 바닥부(1a)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한다.

Description

입체주차장치{a solid parking facility}
본 고안은, 상측에 횡방향으로 복수 병설된 승강차량지지대와 하측에 이것보다도 1대 적은 횡이동차량지지대를 갖춘 입체주차장치, 또한 , 상하측에 복수로 병설한 승강차량지지대 및 하측승강차량지지대와 중간측에 이것보다도 1대 적은 횡이동차량지지대를 구비한 입체주차장치에 관한, 특히,하강저지시의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을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를 이용하여 바닥부에서 지지하여 횡이동 차량지지대에 작용하는 것을 피하도록 한 입체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러 대의 승강차량지지대와, 해당 승강차량지지대보다도 1대 적은 수의횡이동차량지지대를 이용하여, 상하 2단으로 차량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주차장치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안에는, 특히, 횡이동차량지지대에는, 해당횡이동차량지지대의 상측에 있는 승강차량지지대가 상측차량수납높이에서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지지부가 갖추어져 있어서, 이 승강차량지지대 지지부에 의해서, 횡이동 차량지지대의 위에 위치하는 승강차량지지대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면서도, 앞의 종래 고안에는, 횡이동차량지지대에 갖춘 승강차량지지대 지지부에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횡이동차량지지대에는 자중과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요구되고, 또한, 횡이동차량지지대의 횡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 및 지지부재에도, 횡이동차량지지대의 자중과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요구되고, 그 결과, 장치의 각부재의 단면을 크게 할 필요가 생겼고, 또한, 구동기구도 중량증가에 따라 높은 출력의 것이 요구되어, 이러한 요인에 의해 주차장치의 제조비용이 올라가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횡이동차량지지대로 차량이 출입할 때, 핸들을 꺽어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굽으면서 차량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것이 있고, 이 경우에는 횡이동차량지지대에는 횡방향으로 분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지만, 횡이동차량지지대 측면에는 마찰저항이 작은 바퀴을 설치하여 가이드레일에 횡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횡이동차량지지대는 횡이동이 일어날 우려가 있어서, 그 결과, 횡이동차량지지대의 횡이동의 위치제어를 행하는 위치검출센서가 정상위치에서 어긋나, 이상검출의 상태가 되어 제어가 불가하게 되어,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며, 그 목적하는 바는 하강저지시의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이 횡이동차량지지대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나의 구동 및 권상장치로서 입체주차장치 전체를 효과적으로 콘트롤하며, 승강 차량 지지대는 횡방향으로 3열 내지 최대 9열 까지 복수로 병설할 수 있어 좁은 주차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입체주차장치의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것을 피하며, 또한 횡하중을 받더라도, 간단히 횡이동하지 않는 입체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1의 관련 고안은, 차량출입고높이와 상측차량수납높이와의 사이에 개별적으로 자유자재롭게 승강하고 또한, 횡방향으로 복수로 병설된 승강차량지지대와, 차량출입고높이에 개별적으로 횡이동가능하게 횡방향으로 병설되어 거기에 승강차량지지대의 수보다 1대 적은 수의 횡이동차량지지대를 갖춘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을 지지하고 승강차량지지대가 상측수납높이에서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를 설치하고,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상,하이동을 자유자재로 가이드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지방지 가이드부를 상기의 횡이동차량지지대에 갖추고, 하강저지시의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을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하단이 접촉하는 바닥부에서 지지하고, 승강차량지지대가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지 않을 때에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하단을 바닥부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청구항2의 관련 고안은, 차량출입고높이와 상측차량수납높이와의 사이에 개별적으로 자유자재로이 승강하고 또한 횡방향으로 복수 병설된 승강차량지지대와, 차량출입고높이와 하측차량수납높이와의 사이에 개별적으로 자유자재롭게 승강하고 또한 횡방향으로 복수 병설된 하부승강차량지지대와, 차량출입고높이에 개별적으로 횡이동가능하게 횡방향으로 병설되어 거기에 차량승강차량지지대 및 하부승강차량지지대의 수보다도 1대 적은 수의 횡이동차량지지대를 갖춘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을 지지하고 승강차량지지대가 상기 상측수납높이에서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를 구비하여,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를 상,하동 자재하게 가이드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 가이드부를 상기 횡이동차량지지대에 설치하고, 하강저지시의 승강 차량지지대의 하중을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 하단이 접촉하는 바닥부에서 지지하고, 승강차량지지대가 하강을 저지하지 않을 때에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하단을 바닥부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도
(A)는 승강차량지지대의 상승위치의 개략적인 전체정면도.
(B)는 승강차량지지대의 하강시의 개략적인 전체정면도.
도2의 오른쪽 절반은 승강차량지지대의 상승위치의 부분정면도.
왼쪽 절반은 승강차량지지대의 하강시의 부분정면도.
도3은 횡이동차량지지대의 하부끝부분의 부분단면도.
도4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상단측의 부분단면도.
도5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하단측의 부분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도
(A)는 승강차량지지대가 상승위치에 있는 개략적인 전체정면도.
(B)는 승강차량지지대의 하강시의 개략적인 전체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체주차장치 1a : 바닥부
1b : 프레임 1c : 상한스톱퍼
2 : 승강차량지지대 2a : 승강시브
2b : 현수 시브 2c : 와이어 로프
2d : 고정부 2e : 구동 및 권상장치
2f : 훅크 3 : 횡이동차량지지대
3a : 바퀴 3b : 치차
3c : 구동모터 3d : 가이드레일
4 : 승강차량지지대유동방지부 4a : 원형받침판
4b : 스프링 5 :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
5a : 연결간 11 : 입체주차장치
12 : 하부승강차량지지대 12a : 현수구
a : 차량
이하, 도면에 기재한 고안의 실시예를 기초로하여, 이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여기에서,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도에 관한것으로 도1(A)는 승강차량지지대의 상승위치의 개략적인 전체정면도, 도1(B)는 승강차량지지대의 하강시의 개략적인 전체정면도, 도2의 오른쪽 절반은 승강차량지지대의 상승위치의 부분정면도, 왼쪽 절반은 승강차량지지대의 하강시의 부분정면도, 도3은 횡이동차량지지대의 하부단부의 부분단면도, 도4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상단측의 부분단면도, 도5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하단측의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입체주차장치(1)는, 바닥부(1a)상에 프레임(1b)로 골조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하2단에 차량(a)를 주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승강하는 승강차량지지대(2)와 그 하측으로 횡이동하는 횡이동차량지지대(3)을 갖추고 있다.
승강차량지지대(2)는, 차량출입고높이와 상측차량수납높이와의 사이에 개별적으로 자유자재롭게 승강하고 그리고 횡방향으로 복수로 병설되어 있으며,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3대가 나란히 설치되어져 있다. 각 승강차량지지대(2)에는 승강시브 (2a)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또, 각 승강차량지지대(2)가 승강하는 위치의 상부측의 프레임(1b)에는, 현수 시브(2b)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들 전체 승강시브(2a) 및 현수 시브(2b)에는 1개의 와이어 로프(2c)가 감겨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1개의 와이어 로프(2c)는, 도1에 있어서 그 일단이 상부측의 프레임(1b)의 우측 단부의 고정부(2d)에 고정되어, 거기에서 우측의 현수 시브(2b)에 감겨져서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아래쪽의 승강시브(2a)에 감겨지고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다시 우측의 현수 시브(2b)에서 감겨진 후에 그 옆 중앙의 현수 시브(2b)를 향해서 연장되고, 그 중앙 현수 시브(2b)에서 감겨져서 아래쪽으로 늘어 뜨려지고, 아래쪽의 승강시브(2a)에 감겨져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중앙의 현수 시브(2b)에서 감겨진 후에 그 옆 좌측의 현수 시브(2b)를 향해서 연장되며, 그 좌측의 현수 시브(2b)에서 감겨져 아래쪽으로 늘어지며 아래쪽의 승강시브(2a)에 감겨져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좌측의 현수 시브(2b)에서 감겨진 후에 좌쪽 끝단에 설치된 구동 및 권상장치(2e)를 향해서 연장되며, 구동 및 권상장치(2e)에 다른쪽 끝단이 감겨진 체로 부착되어 있다.
3대의 승강차량지지대(2)는, 1개의 와이어 로프(2c)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와이어 로프(2c)의 다른쪽 끝단이 감겨져 부착되어 있는 구동 및 권상장치(2e)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1개의 와이어 로프(2c)에 의해 각각 승강이 자유롭게 되고 있다.
즉, 1개의 와이어 로프(2c)의 다른 쪽 끝단을 감은 방향으로 구동 및 권상장치(2e)를 구동시키면, 3대의 승강차량지지대(2)는 상승한다. 또, 승강차량지지대(2)에는, 1개의 로프로 한지점을 지지하여 승강이동시켜도 수평을 유지한 체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전후좌우밸런스와이어가 병설되어 있다. 프레임 (1b)에는 상승하는 승강차량지지대(2)가 필요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한스톱퍼(1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1개의 와이어로프(2c)의 다른쪽 끝단을 되감는 방향으로 구동 및 권상장치(2e)를 구동시키면, 3대의 승강차량지지대(2)는 하강하게 되지만, 아래쪽에 횡이동차량지지대(3)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에 의해 그 하강이 저지되게 된다. 구동 및 권상장치(2e)의 제어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횡이동차량지지대(3)은, 차량출입고높이에 개별적으로 횡이동가능하게 횡방향으로 병설되어있고 또한 승강차량지지대(2)의 수보다도 1대 적다. 이 실시예에는,횡이동차량지지대(3)은, 3대의 승강차량지지대(2)보다 1대 적은 2대이다.
횡이동차량지지대(3)의 하부에는 횡이동하는 바퀴(3a)가 횡방향으로 부착되어, 이중에서, 일부의 바퀴(3a)는 치차(3b)와 맞물림되어 구동모터(3c)에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구동모터(3c)의 구동에 의해 바퀴(3a)가 회전하여 횡이동차량지지대(3)을 횡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횡이동차량지지대(3)의 바퀴(3a)는 입체주차장치(1)의 바닥부(1a)에 횡방향으로 부설된 가이드레일(3d)위를 전동한다.
도면에는 바닥부(1a)와 가이드레일(3d)의 표면을 동일 높이로 하고 있다. 구동모터 (3c)의 제어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구에 의해 이루어진다.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는,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중을 지지하여서, 승강차량지지대(2)가 상측수납높이에서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강저지시에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하단이 접촉하는 바닥부(1a)에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중을 지지시켜서,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중이 횡이동차량지지대(3)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는, 횡이동차량지지대(3)에 설치된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 가이드부(5)에 상,하동이 자유롭게 가이드되도록 부착되어 있다.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보다도 길고,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를 통하여, 그 상하단측은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의 상하단보다 각각 돌출해 있다.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는, 횡이동차량지지대(3)의 뒤쪽 좌우의 두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어져 있다. 각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는 그 하단측이 횡이동차량지지대(3)에 고정되고, 또 각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 (5)의 상부측이 연결간(5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에는 예를 들면 속이 비고 양단이 개두된 원통강관이 사용되어 있으며, 이 원통강관으로 이루어진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에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는 유동가능하게 끼움되어 있어서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원통강관으로 된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에 유동가능하게 끼움되어 있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는 그 단면이 예를 들면 원형상의 것이 사용된다. 또한,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면과 접촉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상단에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에 삽입되어 있는 부분보다 직경이 큰 원형받침판(4a)가 부착되어 있다.
원형받침판(4a)는,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중을 받아서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강을 저지하여 아래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로,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 가이드부 (5)의 상단보다 조금 위쪽에 위치해 있어서, 결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의 상단과 접촉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강저지시에,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중이 승강차량 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를 통해서 횡이동차량지지대(3)에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강시에, 바닥부(1a)에 접촉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하단은, 예를 들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하단면과 바닥부(1a)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해서, 횡하중에 대해서 그 마찰저항이 크게 되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강시에, 횡이동차량지지대(3)에 횡이동하중이 작용해도, 이 마찰저항에 의해 횡이동차량지지대(3)이 단순히 횡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를 통해서 그 하단에서 아래쪽에 돌출된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하단이, 승강차량지지대(2)가 하강하지 않을 때는 바닥부(1a)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예를 들면 스프링(4b)이 설치되어져 있다. 스프링(4b)은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의 하단에 설치되어져 있고,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를 위쪽으로 탄성력이 작용된 상태로 밀어올리 고 있어,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하단이 바닥부(1a)에 접촉하는 것을 막고 있다.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하단은, 바닥부(1a)의 표면에서 예를 들면 3mm정도 위쪽으로 밀어올려져 있다.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를 위쪽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4b)의 스프링강도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자체무게만을 밀어올리는 정도이고, 이 때문에,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상단의 원형받침판(4a)에 승강차량 지지대(2)의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는, 스프링(4b)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를 아래로 이동시켜서,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하단을 바닥부(1a)에 접촉시켜서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중을 바닥부(1a)에서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스프링(4b)에는 예를 들면, 코일스프링이 사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에 기초한 작용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승강차량지지대(2)에서 차량(a)을 출고하는 경우, 또는 승강차량지지대(2)에 차량(a)을 입고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승강차량지지대(2)의 아래쪽의 횡이동 지지대(3)을 횡이동시켜서 공간으로 한다.
그 후, 구동 및 권상장치(2e)를 구동시켜서 1개의 와이어 로프(2c)의 감긴것을 풀어낸다. 1개의 와이어 로프(2c)의 감긴것을 풀어내게 되면, 위쪽의 각 현수 시브(2b)에 1개의 와이어 로프(2c)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각 승강차량지지대(2)는 자중과 차량(a)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기 시작한다.
빈 공간부 이외의 횡이동차량지지대(3)이 아래측에 위치하는 장소에서는, 하강하는 승강차량지지대(2)는, 횡이동차량지지대(3)의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에 가이드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상단의 원형받침판(4a)에 접촉하여서,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를 스프링(4b)의 탄성력을 이기고 아래쪽으로 누르게 된다.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는 예를 들면 3mm정도 아래로 이동하여, 그 하단이 바닥부(1a)에 접촉한다.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하단이 바닥부(1a)에 접촉하면, 승강차량지지대(2)의 아래면에 접촉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원형받침판(4a)는승강차량지지대(2)의 그 이상의 하강을 저지한다. 이 때,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에는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중이 작용하지만, 이 하중은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의 하단이 접촉하는 바닥부(1a)에 의해 지지되어, 횡이동차량지지대(3)에 작용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대해, 하강하는 승강차량지지대(2)의 아래쪽이 빈 공간부일때에는, 하강을 저지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4)가 없기 때문에, 승강차량지지대(2)는 하강을 계속하여, 그 아래면이 바닥부(1a)에 접촉할 때까지 하강이 계속되어서, 승강차량지지대(2)는 바닥부(1a)위에 내려 앉게하여, 바닥부(1a)에 내려앉은 승강차량지지대(2)에서 차량(a)의 출고가 행해지고, 혹은 바닥부(1a)에 내려앉은 승강차량지지대(2)에 차량(a)의 입고가 행해진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승강차량지지대가 횡방향으로 3열 배치된 입체 주차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사용된 하나의 구동 및 권상 장치로서 승강차량지지대가 최대 9열까지 배치된 입체주차장치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함을 밝혀둔다.
〔제2실시예〕
여기에서,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도 6(A)는 승강차량지지대의 상승위치의 개략적인 전체정면도, 도 6(B)는 승강차량지지대의 하강시의 개략적인 전체정면도이다.
제2실시예가 앞의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바닥부(1a)의 지하부분에도 주차공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이것에 일부 구성이 부가되어져 있다. 일부 구성이 부가된 이외에는 앞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같은 구성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도 6에 있어서, 입체주차장치(11)은, 바닥부(1a)위에 프레임(1b)로 골조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부(1a)보다 위쪽으로는 상하 2단으로 차량(a)을 주차할수 있고, 또한, 바닥부(1a)의 지하부분에도 1층의 차량(a)을 주차할수 있는 것으로, 바닥부(1a) 위쪽으로 승강하는 승강차량지지대(2)와 그 하측의 바닥부(1a)위에 횡이동하는 횡이동 차량지지대(3)과, 바닥부(1a)의 아래쪽으로 승강하는 하부승강차량지지대(12)를 갖추고 있다.
하부승강차량지지대(12)에는 뒤쪽 좌우의 2개소에 현수구(12a)가 설치되어 있다. 현수구(12a)의 상단은 훅크형대로 굽어 있다. 또한,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부에는 현수구(12a)의 상단을 걸어매다는 훅크(2f)가 뒤쪽 좌우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안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하부 승강차량지지대(12)의 승강은,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부의 훅크(2f)에 현수구(12a)의 상단을 걸어 매달아서, 승강차량지지대(2)를 승강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즉, 끌어올리고 싶은 하부 승강차량지지대(12)가 위치하는 장소 위쪽의 횡이동 차량지지대(3)을 횡이동시켜서 그 장소를 빈 공간부로 하고, 구동 및 권상장치(2c)를 구동시켜서 와이어 로프(2c)를 감거나 풀어서 빈 공간부의 위쪽 승강차량지지대 (2)를 하강시킨다. 이때, 이것 이외의 장소의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강이 저지되는 것은 앞의 제1실시예와 같다.
바닥부(1a)까지 승강차량지지대(2)가 하강하면,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부의 훅크(2f)에 하부 승강차량지지대(12)의 현수구(12a)의 상단을 걸어 매단다. 현수구 (12a)의 걸어매다는 조작은 도시하지 않은 걸림장치로 이루어진다. 승강차량지지대 (2)의 하부 훅크(2f)에 하부 승강차량지지대(12)의 현수구(12a)를 걸어 매단 후, 승강차량지지대(2)를 상승시킨다. 승강차량지지대(2)의 상승은 구동 및 권상장치 (2e)에서 와이어 로프(2c)를 권취하는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승강차량지지대(2)가 상승하면, 훅크(2f)및 현수구(12a)에 의해 승강차량지지대(2)에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하부 승강차량지지대(12)도 하나가 되어 상승하고, 승강차량지지대(2)가 상단의 상측차량수납높이에 도달하면, 하부차량지지대(12)는 바닥부(1a)의 높이에 위치하게 되어, 차량(a)의 출고 또는 입고가 이루어진다.
승강차량지지대(2)가 하부 승강차량지지대(12)와 하나가 되어 상단의 상한스톱퍼(1c)까지 상승한 후 정지하면,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낙하방지용안전훅크가 작동하여, 와이어 로프(2c)가 절단될 때에도 대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낙하방지용안전훅크 대신에, 횡이동차량지지대(3)을 어느정도 횡이동시켜도, 상한정지상태의 승강차량지지대(2)의 하측위치에서 횡이동차량지지대(3)에 설치한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5)의 일부가 지지되고 있어 승강차량지지대(2)와 훅크로 연결된 하부승강차량지지대(12)의 양방향으로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닥부(1a)의 높이로 상승해 있던 하부승강차량지지대(12)의 하강은, 이것을 매달린 상태로 지지하는 승강차량지지대(2)를 하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하부 승강차량지지대(12)가 하단에 도달하면, 앞에서 기록한 도시하지 않은 걸림장치를 조작시켜서, 걸어 맨 상태를 해제하며, 다시 승강차량지지대(2)를 상단의 상측차량수납높이로 상승시켜, 작업을 종료한다.
또한, 이 고안은 상기 고안의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형태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앞의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승강차량지지대가 횡방향으로 3열 배치된 입체주차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사용된 하나의 구동 및 권상 장치로서 승강차량지지대가 최대 9열까지 배치된 입체주차장치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며, 또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가 원통인 경우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상으로 되고 가장자리면이 조금 개구되어 있어도 좋고, 중요한 것은 내부의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가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에서 튀어나오지 않고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는 단면형상으로 있으면 좋다.
이상에서 명확히 기재한 것과 같이, 청구항1,2의 고안에 관한 입체주차장치에 의하면,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을 지지하고 승강차량지지대가 상측수납높이에서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를 설치하고,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를 상하동이 자유롭게 가이드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가이드부를 횡이동 차량지지대에 설치하고, 하강저지시의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을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하단이 접촉하는 바닥부에서 지지하고, 승강차량지지대가 하강하는것을 저지하지 않을 때에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하단을 바닥부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하강저지시의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이 횡이동 차량지지대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횡이동 차량지지대나 장치의 각 부재의 단면을 크게 할 필요가 없고, 또한, 구동기구도 중량이 크고 높은 출력의 것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입체주차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차량지지대의 하강저지시에 바닥부에 접촉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하단은, 횡이동차량지지대 하부의 바퀴와는 달리, 바닥부와의 마찰이 커지기 때문에, 횡하중을 받아도, 간단히 횡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

  1. 차량출입고높이와 상측차량수납높이와의 사이에 개별적으로 자유자재롭게 승강하고 또한 횡방향으로 복수로 병설된 승강차량지지대와, 차량출입고높이에 개별적으로 횡이동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병설되어 거기에 승강차량지지대의 수보다도 1대 적은 수의 횡이동 차량지지대를 갖춘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을 지지하고 승강차량지지대가 상측수납높이에서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를 설치하여,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상하이동을 자유자재로 가이드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 가이드부를 상기의 횡이동 차량지지대에 갖추고, 하강저지시의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을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하단이 접촉하는 바닥부에서 지지하고, 승강차량지지대가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지 않을 때에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하단을 바닥부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치.
  2. 차량출입고높이와 상측차량수납높이와의 사이에 개별적으로 자유자재롭게 승강하고 또한 횡방향으로 복수 병설된 승강차량지지대와, 차량출입고높이와 하측차량수납높이와의 사이에 개별적으로 자유자재로 승강하고 또한 횡방향으로 복수병설된 하부승강차량지지대와, 차량출입고높이에 개별적으로 횡이동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병설되어 거기에 승강차량지지대 및 하부승강차량지지대의 수보다도 1대 적은 수의 횡이동 차량지지대를 갖춘 입체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을 지지하고 승강차량지지대가 상기 상측수납높이에서 하강하는 것을 저지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를 구비하여,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를 상하동자재하게 가이드하는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 가이드부를 상기 횡이동 차량지지대에 설치하여, 하강저지시의 승강차량지지대의 하중을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하단이 접촉하는 바닥부에서 지지하고, 승강차량지지대가 하강 저지하지 않을 때에 승강차량지지대 유동방지부의 하단을 바닥부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장치.
KR2020010005752U 2001-03-05 2001-03-05 입체주차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37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752U KR200237779Y1 (ko) 2001-03-05 2001-03-05 입체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752U KR200237779Y1 (ko) 2001-03-05 2001-03-05 입체주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095A Division KR100446047B1 (ko) 2001-02-08 2001-02-08 입체주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779Y1 true KR200237779Y1 (ko) 2001-09-28

Family

ID=73081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752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7779Y1 (ko) 2001-03-05 2001-03-05 입체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7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926B1 (ko) 2009-01-13 2012-12-24 시앙치 리 입체주차시설용 구동식 낙하 방지 장치
CN109057433A (zh) * 2018-09-30 2018-12-21 山东博创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单轨无避让停车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926B1 (ko) 2009-01-13 2012-12-24 시앙치 리 입체주차시설용 구동식 낙하 방지 장치
CN109057433A (zh) * 2018-09-30 2018-12-21 山东博创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单轨无避让停车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4751B2 (ja) エレベータの揚重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揚重方法
KR20190052807A (ko)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US20040084251A1 (en) Machine installation tool
JP2000229772A5 (ko)
CN210795435U (zh) 一种同步施工升降机
JP5894408B2 (ja) 昇降機の停止調整装置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
JP4107863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6064768A (zh) 电梯装置
KR100446047B1 (ko) 입체주차장치
KR200237779Y1 (ko) 입체주차장치
JP3452879B2 (ja) 立体駐車装置
JP4974374B2 (ja) エレベータ吊りロッド防振装置の取付け方法
JP2846528B2 (ja) 油圧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据付け方法
JP50924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3531504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H0769559A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405647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20150158701A1 (en) Low-rise elevator
JP2601210Y2 (ja) 立体駐車装置
KR100490918B1 (ko) 지하용 엘리베이터
JP200616886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040064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946034B2 (ja) エレベータのコンペンチェーンガイド装置
JP4989926B2 (ja) エレベーター用主ロープのロープ掛け方法
JPH0813835A (ja) 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05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3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1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