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7343Y1 -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 - Google Patents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343Y1
KR200237343Y1 KR2020010004998U KR20010004998U KR200237343Y1 KR 200237343 Y1 KR200237343 Y1 KR 200237343Y1 KR 2020010004998 U KR2020010004998 U KR 2020010004998U KR 20010004998 U KR20010004998 U KR 20010004998U KR 200237343 Y1 KR200237343 Y1 KR 200237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seat
chair
pack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대신자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자토산업(주) filed Critical 대신자토산업(주)
Priority to KR2020010004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343Y1/ko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목재와 합성수지를 합침하여 일체로 성형된 좌판(1)과, 상기 좌판(1)의 표면에 시트(2a)가 부착된 통상의 팩의자(11)에 있어서, 상기 좌판(1)에 착석시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되, 내,외부(10a,10b)가 완충재질로 감싸여져 있고, 착석자의 둔부 위치에 맞도록 조절되는 머리받이(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착탈이 자유로운 머리받이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분리하여 따로 수납할 수 있게 하고, 머리받이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 매우 자신의 둔부의 위치에 정확히 맞도록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서 더욱 인체공학적인 팩의자가 제공되며, 시트와 등받이 사이로 형성된 공간에 본 고안에 따른 머리받이고정구를 삽입하여 사용됨으로서 상기 머리받이고정구가 삽입되는 면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 외관상으로도 매우 미려한 효과가 발생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TAKE IN AND OUT TYPE HEAD REST}
본 고안은 의자에 착석시 착석자의 머리의 위치에 맞도록 조절되는 팩의자용착탈식 머리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앉기 편한 것, 앉아서 편한 것, 쓰기 편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만 비로서, 좋은 설계가 된 의자로서 만족되는 것이나 그 기능성을 객관적으로 표시하는 적당한 방법이 없어 흔히, 시각과 촉각을 중심으로 하는 감각적인 느낌으로서 판단할 수 밖에 없는 폐단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그 외양의 화려함에 현혹되어 본래 의자의 기능성을 소홀히 해왔던 것인 것이다.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실생활 속에 인체공학이 응용되어 의자에도 그 유용성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 인체공학은 인간이 만드는 기계나 도구는 인간이 쓰기 편하도록 설계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사상에서 출발된 학문인 것이다.
그러나, 구미대륙에서는 의지의 역사가 길기 때문에 경험만으로도 좋은 의자를 만들었으나 생활습관이 다르고 그 역사가 짧은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인체공학적 방법에 의하지 않고서는 기능적으로 좋은 의자를 만들 수가 없는 것이다.
반면에, 요즈음 들어서는 인체공학을 응용하여 의자의 기능성을 정량적(定量的)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개발되기 시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인 인체공학을 응용한 의자가 공급되고 있다.
이것은 의자에 걸터앉는 기분을 지배하는 인자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것으로서 그 요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의 골격구조에 맞추어 역학적인 인체 모델로 대치하여 의자와 신체와의 관계를 생각한다.
둘째, 인체를 계측하여 필요한 치수를 뽑아낸다.
세째, 자세와 피로감의 관계를 근육의 활동면에서 조사해 피로가 적은 조건을 찾아낸다.
내째, 동작분석의 자료에 따라 의자의 모양을 생각하는 등인 것이다.
이러한, 상기의 조건을 무시한 의자는 외양이 아무리 호화로워도 잠시만 앉아 있으면 피로해 지는 의자이기 쉬운 것이다.
또한, 신체에 꼭 맞는 커브면과 연한 쿠션을 가진 것이 좋다고 하는 종래의 선입관 근래에 들어서는 정정되고 있는 추세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의자의 기능면에 중점을 두고 의자에 앉을때 발생하는 신체의 압력분포가 엉덩이 부위의 결절 부분에 집중됨으로서 대퇴부에는 큰 하중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체 상측의 하중이 분산되면서 머리를 받치도록 설계된 머리받침대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된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의 일시예에 의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된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좌판 2: 등받이
3: 머리받이지지구 4: 삽입플레이트
5: 지지플레이트 6: 조절장치
7: 가이드브라켓 8: 가이드바
9: 조절나사 10: 머리받이
본 고안은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상의 목재와 합성수지를 합침하여 일체로 성형된 좌판(1)과, 상기 좌판(1)의 표면에 시트(2a)가부착된 통상의 팩의자(11)에 있어서, 상기 좌판(1)에 착석시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되, 내,외부(10a,10b)가 완충재질로 감싸여져 있고, 착석자의 둔부 위치에 맞도록 조절되는 머리받이(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적용된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의 일시예에 의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된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팩의자(11)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팩의자(11)는 그 기능면으로 볼때 다음의 조건이 만족되는 것을 그 전제 조건으로 한다.
첫째, 의지의 치수가 알맞을 것,
둘째, 체압분포(體壓分布)가 신체의 감압분포에 적합할 것,
세째, 자세의 지지 조건이 합리적일 것,
네째, 탄성의 구조가 적당할 것, 특히 지나치게 부드러운 의자는 자세의 지지가 불안정하여 피곤하기 쉽고, 체압의 분포도 좋지 않기 때문아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팩의자(11)를 본 고안이 적용되는 그 전제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팩의자(11)가 구비된다.
상기 팩의자(11)는 통상의 목재와 합성수지를 합침하여 고온,고압으로 압착, 성형된 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는 착석시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1)과 그 죄판(1)과 수직이되게 상향으로 돌출된 등받이(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등받이(2)는 소정의 하중에 의해서 밀리더라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충분한 탄성반발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팩의자(11)의 좌판(1)및 등받이(2)에는 의자에 오래 앉아 있어야 하는 사무직 회사원이나 장시간 학습에 전념하여야 하는 학생들이 엉덩이나 등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직물이나 소정의 탄력을 주는 우레탄 폼등의 재료로 사용되는 시트(2a)가 상기 좌판(1)및 등받이(2)에 고착되어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서는 통상의 등받이(2)에 고착되는 상기 시트(2a)의 상측 일부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른 부위는 상기 등받이(2)에 고착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시트(2a)의 상측으로 소정의 장치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시트(2a)가 고착된 등받이(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받이고정구(3)가 착,탈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머리받이짖구(3)는 일측이 상기 등받이(2)의 표면과 동일하게 휘어지거나 절곡된 삽입플레이트(4)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플레이트 (5)과 동일한 형상이되, 상기 삽입플레이트(4)보다 더 긴 지지플레이트(5)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플레이트(4)와 지지플레이트(5)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나 그 두께는 상기 등받이(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삽입되는 공차를 더한 여유 치수로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플레이트(4)와 지지플레이트(5)는 상기 등받이(2)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머리받이지지구(3)의 지지플레이트(5)의 외측으로는 조절장치 (6)가 장착진다.
이러한, 상기 조절장치(6)는 그 내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개방된 부위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양외측으로는 가이드브라켓(7)이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 상기 지지플레이트(5)의 후면에 고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상기 머리받이지지구(6)는 상기 지지플레이트(5)와 가이드브라켓(7)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바(8)가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해제되도록 한다.
즉, 상기 가이드바(8)는 그 길이가 최대한으로 상기 머리받이지지구(6)에 삽입할 경우에도 상기 좌판(1)의 아래에 도달되지 못하는 길이로서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바(8)는 상기 머리받이지지구(6)에 자유로이 삽탈되는 구조인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가이드바(8)의 고정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조절나사(9)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나사(9)가 작동되도록 하는 고정홈(7a)이 상기 가이드브라켓(7)의 일측에 형성되어 자유로이 상기 가이드바(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바(8)의 상단에는 그 내,외면(10a,10b)이 스폰지등의 완충재질로 형성된 머리받이(10)가 장착되어 가이드바(8)와 함께 일체로 상,하로 움직인다.
따라서, 착석시 본인의 의사로 자유로이 상기 머리받이(10)의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는 사람이 착석을 하게 되면 통상의 팩의자에 머리받이가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거나 아예 머리받이가 없어 의자에 앉아 편히 쉬거나 안정을 찾지 못하고 다른 안락의자를 찾게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팩의자(11)에 본 고안에 따른 머리받이를 부가함으로서 그 효과가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는 오랜 시간동안 의자를 사용하는 학생및 사무직 종사자에게 팩의자 특유의 인체공학적 설계에 의한 탄력성으로 척추를 보호하는 기능외에 본 고안에 따른 머리받이를 부가함으로서 더욱 향상된 업무능률로 이끌어 주는 것이다.
또한, 착탈이 자유로와 머리받이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분리하여 따로 수납할 수 있게 하고, 머리받이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 매우 자신의 둔부의 위치에 정확히 맞도록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서 더욱 인체공학적인 팩의자가 제공되며, 시트와 등받이 사이로 형성된 공간에 본 고안에 따른 머리받이고정구를 삽입하여 사용됨으로서 상기 머리받이고정구가 삽입되는 면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 외관상으로도 매우 미려한 효과가 발생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통상의 목재와 합성수지를 합침하여 일체로 성형된 좌판(1)과, 상기 좌판(1)의 표면에 시트(2a)가 부착된 통상의 팩의자(11)에 있어서,
    상기 좌판(1)에 착석시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되, 내,외부(10a,10b)가 완충재질로 감싸여져 있고, 착석자의 둔부 위치에 맞도록 조절되는 머리받이(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이(10)의 일면과 결합되되, 착석자의 둔부가 상기 머리받이(10)에 안착되도록 상기 머리받이(10)와 일체로 상승및 하강시켜 그 위치를 조절케 하는 조절장치(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
  3. 제 1항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6)가 장착되고, 상기 등받이(2)와 시트(2a)사이로 삽입되어 은폐내지 지지되는 머리받이지지구(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머리받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6)는 상기 머리받이(10)와 결합되어 상,하로 동작되는 가이드바(8)와, 상기 가이드바(8)의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7)과, 상기 가이드바(8)의 상,하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가이드바(8)를 체결내지 해제시키는 조절나사(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머리받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이지지구(3)는 상기 등받이(2)와 시트(2a)사이로 삽입,은폐되는 삽입플레이트(4)와, 상기 등받이(2)의 후면에 지지플레이드(5)가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머리받이.
KR2020010004998U 2001-02-26 2001-02-26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 KR200237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998U KR200237343Y1 (ko) 2001-02-26 2001-02-26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998U KR200237343Y1 (ko) 2001-02-26 2001-02-26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343Y1 true KR200237343Y1 (ko) 2001-09-28

Family

ID=7309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998U KR200237343Y1 (ko) 2001-02-26 2001-02-26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3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816B1 (ko) * 2012-12-05 2014-12-18 고영철 보조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816B1 (ko) * 2012-12-05 2014-12-18 고영철 보조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201B1 (ko) 기능성 의자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200425803Y1 (ko) 시트쿠션체가 슬라이딩되는 쇼파
KR200237343Y1 (ko) 팩의자용 착탈식 머리받이
KR200191797Y1 (ko)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170123155A (ko) 탄성보강부재가 구비된 소파
KR200269743Y1 (ko) 허리보조받침장치를 구비한 일체형 의자
KR102383272B1 (ko) 부분 교체 가능한 복합 의자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KR200437560Y1 (ko) 지압 기능을 갖는 의자용 목받침
JPH11196973A (ja) 椅 子
JP2001037594A (ja) 座面クッション
KR200445660Y1 (ko) 의자
WO2008054225A1 (en) Chair
KR200388338Y1 (ko)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KR200304617Y1 (ko)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
KR20230164402A (ko) 허벅지 받침장치
KR200263969Y1 (ko) 허리보조받침장치를 구비한 분리형 의자
KR101011430B1 (ko) 의자
KR102482778B1 (ko) 의자용 등받이 쿠션
KR200226584Y1 (ko)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JP2000270964A (ja) スイング式枕付腰掛
KR200195314Y1 (ko) 의자용 깔개
KR200377422Y1 (ko) 의자용 머리받침부
KR200361519Y1 (ko) 다목적 등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22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2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3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UJ0210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UJ02102R02D

Patent event date: 20030122

Request date: 20030122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Appeal identifier: 2003103000009

Decision date: 200405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122

Effective date: 20040531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040603

Patent event code: UJ13011S10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Appeal identifier: 2003103000009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Decision date: 20040531

Request date: 200301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U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106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8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7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