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6270Y1 -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책꽂이 - Google Patents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책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270Y1
KR200236270Y1 KR2020010007595U KR20010007595U KR200236270Y1 KR 200236270 Y1 KR200236270 Y1 KR 200236270Y1 KR 2020010007595 U KR2020010007595 U KR 2020010007595U KR 20010007595 U KR20010007595 U KR 20010007595U KR 200236270 Y1 KR200236270 Y1 KR 200236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ide plate
jaw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운환
Original Assignee
왕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왕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7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270Y1/ko

Link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책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책꽂이를 구성하고 있는 기판과 후측판의 양단부를 측판의 내주면에 형성된 안치턱과 지지턱상에 일체로 결합하고 후측면에 결합되는 후크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지주에 횡설된 횡바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책꽂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내측면에 상향 돌출된 체결돌기와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재치편과 지지편이 구비되고, 후측면에는 상하로 후크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측판과; 양측단부의 저면에 일정 폭으로 요홈과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재치턱상에 안치되는 기판과; 양측단부의 저면에 일정 폭으로 요홈과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지지편상에 결합되는 후측판과; '

Description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책꽂이{Bookrack}
본 고안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책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책꽂이를 구성하고 있는 기판과 후측판의 양단부를 측판의 내주면에 형성된 안치턱과 지지턱상에 일체로 결합하고 후측면에 결합되는 후크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지주에 횡설된 횡바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책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과 파일 등을 가지런히 정리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책꽂이는 목재, 금속 및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책꽂이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일체로 조립되어 있어 분해 및 조립을 할 수 없고 또 부피가 커서 제품의 포장이 어렵고, 특히 제조업체에서는 이의 보관이나 운반에 많은 비용을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의 문제점에 착안해서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으로서, 본 고안은 책꽂이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별도로 성형하여 원터치로 조립 및 분해가 가능토록 이루어진 구조로서 누구나 손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책꽂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내측면에 상향 돌출된 체결돌기와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안치턱과 지지턱이 구비되고, 후측면에는 상하로 후크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있는 측판과; 양측단부의 저면에 일정 폭으로 요홈과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안치턱상에 결합되는 기판과; 양측단부의 저면에 일정 폭으로 요홈과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지지턱에 결합되는 후측판과; '' 형상으로 볼트에 의해 측판의 후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고정지주에 횡설된 횡바에 결합되는 후크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 및 이로부터 얻게 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책상에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안치턱 2…지지턱 1a,2a…체결돌기 1b,2b…볼트체결공
5…측판 6,11…요홈 7,12…통공 10…기판
15…후측판 20…후크부재 30…고정지주 35…횡바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상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책상에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양측에 위치하는 측판(5)과, 상기 측판(5)의 저면에 위치하게되는 기판(10) 및 기판(10)의 후측에 입설되는 후측판(15)과 상기 각 부품이 조립된 책꽂이(25)를 고정지주(30)에 횡설된 횡바(35)에 결합하는 후크부재(2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측판(5)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으로서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설되어 기판(10)을 고정하게되는 안치턱(1)과 후측판(15)을 고정하는 지지턱(2)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안치턱(1)과 지지턱(2)에는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2개의 체결돌기(1a,2a)와 1개의 볼트체결공(1b,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재치턱(1)의 이면에는 상/하에 후술하는 후크부재(20)를 탈부착하기 위한 체결공(3)과 조립된 책꽂이를 벽에 고정되어 있는 못에 결합하기 위한 통공(3a)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측판(5)에 형성된 안치턱(1)과 지지턱(2)상에 결합되는 기판(10)과 후측판(15)은 MDF을 사용하거나 혹은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표면에 염화비닐테이프를 랩핑(Wrapping)한 것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양측의 저면에는 안치턱(1)에 형성된 체결돌기(1a)와 볼트체결공(1b)과 동일한 위치에 요홈(6,11)과 통공(7,12)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요홈(6,11)의 깊이는 기판(10)과 후측판(15)두께의 1/2정도의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판(5)과 기판(10) 및 후측판(15)이 결합된 책꽂이(25)를 고정지주(30)상에 횡설된 횡바(35)에 결합하는 용도로 이용되는 후크부재(20)는 ''형상으로서 하부에는 볼트(17)를 이용하여 재치턱(2)의 이면에 형성된 체결공(3)에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통공(16)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측판(5)의 내측에 형성된 안치턱(1)과 지지턱(2)에 형성된 체결돌기(1a,2a)에 기판(10)과 후측판(15)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6,11)을 정합한 후 중앙의 통공(7,12)에 볼트를 볼트체결공(1b,2b)에 나사 결합하면 책꽂이(25)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책꽂이(25)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책상(50)의 후측에 입설된 고정지주(30)상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 형상의 후크부재(20)를 측판(5)의 이면에서 볼트(17)를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한 후 고정지주(30)에 횡설된 횡바(35)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책꽂이(25)는 주로 고정지주(30)에 일체로 결합하여 사용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벽체에 고정된 못 등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후크부재(20)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판(5)의 이면에 형성된 못 결합통(3a)을 벽에 고정된 못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책꽂이를 구성하는 측판과 기판 및 후측판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서, 분해한 상태에서 별도로 제작된 포장박스에 넣어 운반할 수 있어 제한된 공간에 많은 량의 운반이 가능하여 운송비가 저렴하고 또 사용자는 이를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측면에 상향 돌출된 체결돌기(1a,2a)와 볼트체결공(1b,2b)이 형성된 안치턱(1)과 지지턱(2)이 구비되고, 후측면에는 상하로 후크부재(2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3)이 형성되어 있는 측판(5)과; 양측단부의 저면에 일정 폭으로 요홈(6)과 중앙에 통공(7)이 형성되어 상기 측판(5)의 재치턱(1)상에 안치되는 기판(10)과; 양측단부의 저면에 일정 폭으로 요홈(11)과 중앙에 통공(12)이 형성되어 상기 측판(5)의 지지턱(2)상에 결합되는 후측판(15)과; '' 형상으로 볼트(17)에 의해 측판(5)의 후측면에 형성된 체결공(3)에 결합되어 고정지주(30)에 횡설된 횡바(35)에 결합되는 후크부재(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책꽂이.
KR2020010007595U 2001-03-20 2001-03-20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책꽂이 KR200236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595U KR200236270Y1 (ko) 2001-03-20 2001-03-20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책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595U KR200236270Y1 (ko) 2001-03-20 2001-03-20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책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270Y1 true KR200236270Y1 (ko) 2001-10-08

Family

ID=7309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595U KR200236270Y1 (ko) 2001-03-20 2001-03-20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책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2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515B2 (en) Modular shelving system
US9888769B1 (en) Configurable shelf assembly
US20130098907A1 (en) Packing mechanism
KR200447520Y1 (ko) 수납함
US6634511B2 (en) Modular shelving system and components
US20030085191A1 (en) Shelf unit
KR200236270Y1 (ko)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책꽂이
KR200429011Y1 (ko) 디아이와이 책장
US6364132B1 (en) Bookshelf structure
KR200418240Y1 (ko) 조립식 책상
JP3106908U (ja) 組立式の棚モジュールとその棚モジュールを用いた組立式の収納棚
KR200222087Y1 (ko) 조립식 수납함
KR200430359Y1 (ko) 조립식가구
JP2005007023A (ja) 収納ユニット
KR20110008380A (ko) 조립식 가구
KR200301876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0303067Y1 (ko) 개방형 장식 선반
KR200323904Y1 (ko) 독서대
KR200294467Y1 (ko) 조립식 선반
KR200349008Y1 (ko) 조립식 수납장
KR100888260B1 (ko) 다용도 퍼즐박스를 이용한 퍼즐 다용도 진열대
CN2201843Y (zh) 组合式橱柜
JP4175984B2 (ja) 間仕切りパネル
JP4148596B2 (ja) テーブルや棚板等の連結具
KR200248868Y1 (ko) 서랍을 구비한 책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32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3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3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