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5834Y1 -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 - Google Patents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834Y1
KR200235834Y1 KR2020010006813U KR20010006813U KR200235834Y1 KR 200235834 Y1 KR200235834 Y1 KR 200235834Y1 KR 2020010006813 U KR2020010006813 U KR 2020010006813U KR 20010006813 U KR20010006813 U KR 20010006813U KR 200235834 Y1 KR200235834 Y1 KR 200235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decorative
glass bottle
blocking cap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석
Original Assignee
김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석 filed Critical 김만석
Priority to KR2020010006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8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83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명한 유리병의 내측으로 방향제가 함침된 장식품을 다양하게 수용하여 장식감을 연출하는 동시에, 적당량의 방향제가 공기중으로 서서히 발산되도록 하여 은은한 향기에 의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의 방향용구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받침편(12)에 의해 유동됨 없이 지지되며, 일측의 개방구(11)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마개체(40)가 제공되는 투명한 유리병(10) 내측으로 작은 입자의 장식골재(20) 및 방향제(22)가 함침된 세라믹 장식체(21)를 삽입하고, 상기 개방구와 밀폐용 마개체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미세공극(31)이 형성된 차단캡(30)을 설치하여, 상기 장식체로부터 방출되는 방향제가 상기 차단캡의 미세공극을 통해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ornamental perfume instrument}
본 고안은 방향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한 유리병의 내측으로 방향제가 함침된 장식품을 다양하게 수용하여 장식감을 연출하는 동시에, 적당량의 방향제가 공기중으로 서서히 발산되도록 하여 은은한 향기에 의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의 방향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를 수용하고 있는 방향용기는 합성수지나 유리로 제작되며, 단순한 용기의 형태를 벗어나 자동차나 동물 등 장식감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최근의 경향이다.
이같은 방향용기는 소정 부위에 방향제의 방출을 위한 방출구가 제공되며, 이러한 방출구에 밀폐용 마개가 제공되어 사용시 마개를 개방하여 방향제가 공기중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방향용기는 밀폐용 마개를 조작하여 그 방출구를 개방하게 되면, 방향제를 수용하고 있는 용기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직접 통하게 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개방된 방출구를 통해 지나치게 많은 량의 방향제가 한꺼번에 방출되는 것이고, 이같이 다량으로 방출된 방향제는 그 향기가 매우 강해 오히려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두통을 가져오거나 호흡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량의 방향제가 일시에 방출됨에 따라 방향용기 내부의 방향제는 단기간에 모두 소모되는 것이었으며, 그로 인해 방향용기에 향기를 방출하는 본연의 기능을 상실한 채 단순한 장식물로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밖에도, 종래의 방향용기는 그 형상을 아무리 다양하게 제작한다 하더라도 인형, 완구 및 캐릭터 상품 등과 비교하여 크게 차별화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지적되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볼거리를 요구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투명한 유리병의 내측으로 방향제가 함침된 세라믹 장식체 및 작은 입자의 장식골재를 수용하여 장식감을 극대화하며, 상기 장식체에서 방출되는 향기가 유리병 내부에 충만된 상태에서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방향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향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는 장식용 방향용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는 장식용 방향용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리병 11: 개방구 12: 받침편 20: 장식골재 21: 장식체 22: 방향제 30: 차단캡 31: 미세공극 40: 마개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받침편에 의해 유동됨 없이 지지되며, 일측의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마개체가 제공되는 투명한 유리병 내측으로 작은 입자의 장식골재 및 방향제가 함침된 세라믹 장식체를 삽입하고, 상기 개방구와 밀폐용 마개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미세공극이 형성된 차단캡을 설치하여, 상기 장식체로부터 방출되는 방향제가 상기 차단캡의 미세공극을 통해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는 장식용 방향용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는 장식용 방향용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투명한 유리병(10), 마개체(40), 차단캡(30) 및 방향제가 함침된 장식체(21), 그리고 작은 입자를 갖는 장식골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유리병(10)은 그 내부공간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공되는 것이며, 이같은 유리병(10)은 소정 부위에 개방구(11)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리병은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같은 유리병(10)이 일측에 개방구(11)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여 눕혀진 상태로 설치하였으며, 그에 따라 유리병(10)의 자유로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병(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받침편(12)을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받침편(12)에 의해 유리병(10)은 장식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되는 것이므로 관찰각의 확대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즉, 유리병(10)의 저면이 바닥면과 직접 접하지 않고 일정 높이 떠있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바닥면에 의해 가리워지는 상기 유리병(10)의 내측 공간부 면적이 최소화될 뿐만아니라, 바닥면의 색감이 유리병(10) 내측으로 투영되어 그 내측 공간을 어둡게 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유리병(10)의 내부 공간을 관찰 위치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보다 넓은 지점에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동시에, 후술되는 장식체(21) 등의 보다 선명한 투영이 가능한 것이므로 장식감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같은 유리병(10)의 내측에는 작은 입자의 장식골재(20) 및 방향제가 함침된 세라믹 장식체(21)가 차례로 삽입된다. 즉, 상기 장식골재(20)를 상기 유리병(10) 바닥면에 충분히 깔리도록 채워준 다음, 여기에 상기 방향제(22)를 함침한 장식체(21)를 삽입하게 되는데, 이들 삽입물(20,21)들은 서로 혼합된 상태로 주입하더라도 비교적 입자가 작은 장식골재(20)에 비하여 소정의 크기로 제작된 세라믹 장식체(21)가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의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된다.
물론, 이들을 혼합한 상태로 놓아도 무방하나, 거치 상태에서 가볍게 흔들어 주는 것만으로도 입자들의 배열을 정돈하여 미려한 장식감을 제공할 수 있게되는것이다. 이때, 상기 장식골재(20)는 천연의 골재일 수도 있으며, 그밖에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된 인조골재일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식체(21)는 목재를 포함하여 다양한 소재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세라믹의 도자기 형태로 제작하므로서 방향기능이 극대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세라믹의 장식체(21)에 방향제(22)를 함침하므로서 방향제(22)가 장식체(21)의 표면으로 지나치게 다량 배어나오는 등의 현상이 억제되는 것이며, 그 미세한 공극을 통해 방향제(22)가 서서히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므로 방향기능이 장기간 유지되는 동시에 은은한 향을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식골재(20)와 장식체(21)가 상호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장식감이 극대화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장식체(21) 및 장식골재(20)를 일체감 없이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하였지만, 그밖에 상기 장식체(21)를 바다생물의 형상으로 제작하고, 상기 장식골재(20)는 푸른색을 갖도록 하여 시원한 바다의 느낌을 주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장식체(21) 및 장식골재(20)를 수용하게 되는 유리병(10)의 개방구(11)에 차단캡(30)이 끼워지는 것으로, 이같은 차단캡(30)은 그 표면에 다수개의 미세공극(31)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차단캡(30)에 의해, 상기 장식체(21)에서 방출되는 방향제(22)의 향기는 상기 미세공극(31)을 통해 유리병의 외부로 자유롭게 발산되는 것이지만, 상기 장식골재(20)는 그 입자의 크기가 비록 작다고 하나 상기 미세공극(31)을 통과하지는 못하는 것이므로 유리병(10)의 외부로 쏟아져 유실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같은 차단캡(30)을 가리우도록 상기 유리병(10)의 개방구(11)에는 밀폐용 마개체(40)가 덧씌워지는 것이며, 이러한 마개체(40)에 의해 상기 유리병(10)의 내부 공간은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식체(21)에 함침되는 방향제(22)는 유리병(10)의 장식골재(20)를 제외한 상측 공간부로 방출되는 것이며, 이같은 유리병(10)의 개방구(11) 및 그에 끼워지는 차단캡(30)은 마개체(40)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므로 방향제(22)는 외부로 방출됨 없이 유리병(10)의 내측 공간에 충만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시 상기 유리병(10)의 개방구(11)로부터 마개체(40)를 분리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차단캡(30)의 미세공극(31)이 개방되면서 상기 방향제(22)는 외부로 방출되어 공기중으로 발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방향제(22)는 차단캡(30)의 미세공극(31)을 통해 방출되는 것이므로, 다량의 방향제가 외부로 급속하게 방출되어 지나치게 강한 향기를 발산하게 되는 현상은 발생치 않으며, 적당량의 방향제가 서서히 방출되어 공기중으로 발산됨에 따라 은은한 향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방향성 장식체가 수용된 투명유리병 구조의 방향용구에 의하여, 적당량의 방향제가 공기중으로 서서히 방출되어 은은한 향기를 발산함에 따라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게되며, 그로 인해 사용자의 기분까지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또한, 방향제가 불필요하게 다량 방출되는 것이 억제됨에 따라 방향기능이 장기간 유지되는 것이며, 유리병 내부에 장식체 및 장식골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미감이 향상되어 장식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1)

  1.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받침편에 의해 유동됨 없이 지지되며, 일측의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마개체가 제공되는 투명한 유리병의 내측으로 작은 입자의 장식골재 및 방향제가 함침된 세라믹 장식체를 삽입하고, 상기 개방구와 밀폐용 마개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미세공극이 형성된 차단캡을 설치하여, 상기 장식구로부터 방출되는 방향제가 상기 차단캡의 미세공극을 통해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
KR2020010006813U 2001-03-13 2001-03-13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235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13U KR200235834Y1 (ko) 2001-03-13 2001-03-13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13U KR200235834Y1 (ko) 2001-03-13 2001-03-13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834Y1 true KR200235834Y1 (ko) 2001-10-08

Family

ID=7309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81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5834Y1 (ko) 2001-03-13 2001-03-13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8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9090B1 (en) Soft toys with characteristic indicies
JP3227052U (ja) 芳香ディフューザー機能を有するスノードーム
US6536910B2 (en) Vapor generating lampshade apparatus
US6565012B1 (en) Air freshener
KR200235834Y1 (ko)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
KR20170001968U (ko) 방향기구
CN202715064U (zh) 多用途香味散发器
CA2163092A1 (en) Air freshener device with ceramic container and absorbent pad
KR200310407Y1 (ko) 방향제를 갖는 장식품
KR200406741Y1 (ko) 방향장식물의 방향체 결합구조
JP3168816U (ja) 吊下型の芳香具
KR200200593Y1 (ko) 방향제 용기
KR200249013Y1 (ko) 장식효과를 갖는 방향용구
JP4545692B2 (ja) 液体入りボトル
KR20190000489U (ko) 실내용 방향제 인형
JP3052821U (ja) 幻想装飾体
KR200363427Y1 (ko) 향기나는 실내장식품
JPS6118783Y2 (ko)
KR200270378Y1 (ko) 아로마향료가 수용되는 휴대용 악세서리
CN215284180U (zh) 水球饰品之底座结构
JPS582349Y2 (ja) 造花用芳香容器
CN201116721Y (zh) 一种含香料工艺蜡烛
KR200359069Y1 (ko) 장신구용 향기 조절장치
KR20100037437A (ko) 방향제 장치
KR200190866Y1 (ko) 꽃꽂이용 향수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3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3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5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1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