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5437Y1 - 낚시용 편납 홀더 - Google Patents

낚시용 편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437Y1
KR200235437Y1 KR2020010004341U KR20010004341U KR200235437Y1 KR 200235437 Y1 KR200235437 Y1 KR 200235437Y1 KR 2020010004341 U KR2020010004341 U KR 2020010004341U KR 20010004341 U KR20010004341 U KR 20010004341U KR 200235437 Y1 KR200235437 Y1 KR 200235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knitting
fishing
adjusting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배
Original Assignee
김홍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열 filed Critical 김홍열
Priority to KR2020010004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43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와 관련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편납(片鉛)을 낚싯줄에 결합된 홀더에 감아서 손쉽게 중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봉돌(추)을 대신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편납 홀더에 있어서, 편납을 홀더에 손쉽고 신속하게 감을 수 있도록 한 편납 홀더의 개량된 고안에 관한 것인 바,
낚싯줄(10)에 결합되는 결합공(2)을 가지며, 상하로 걸림부(3)가 형성된 조절부(4)에 편납(5)을 감아서 중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편납 홀더(1) 구성에 있어서,
편납(5)이 감아져서 결합되는 홀더(1)의 조절부(4) 외면에 편납(5)을 미끄러짐없이 감을 수 있는 침형(針形) 등의 돌기부(6,6') 등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A)을 형성함으로서 편납(5)을 홀더(1)의 조절부(4)에 감을 시에 미끄러짐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감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편납 홀더{A Peace Lead Hold for Fishing Tackle}
본 고안은 낚시와 관련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편납(片鉛)을 낚싯줄에 결합된 홀더에 감아서 손쉽게 중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봉돌(추)을 대신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편납 홀더에 있어서, 편납을 홀더에 손쉽고 신속하게 감을 수 있도록 한 편납 홀더의 개량된 고안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낚싯줄에는 찌의 부력조절 등을 목적으로 하는 중량 조절을 위해 봉돌(추)을 낚싯줄에 결합하는 것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봉돌은 대개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낚싯줄에 착탈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봉돌은 낚싯줄에 직접 결합하게 됨으로서 착탈시키는 과정에서 낚싯줄이 봉돌에 의해 상처를 입게 되고 심할 경우 낚싯줄이 끊어지는 원인이 되는 단점 등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낚싯줄이 삽입되는 결합공을 가진 관체상의 홀더상에 얇은 박판으로 된 편납을 원하는 양 만큼 감아서 적정의 중량으로 손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편납 홀더(낚시용 추, 이하 편납 홀더라 함)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편납 홀더는 낚싯줄이 삽입 관통되는 결합공을 통해 낚싯줄에 결합되고, 외면 조절부에 박판의 편납을 원하는 정도로 감거나 감은 상태에서 떼어내는 등으로 중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이성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지만 홀더의 외면 조절부가 매끄럽고 특히 외경이 매우 작아(가늘어) 얇은 박판의 편납을 홀더에 감을 시에 슬립(Slip)현상이 발생하여 편납을 손쉽게 감기 어려워 낚시의 신속성에 기여할 수 없는 것이었다.
즉, 편납의 선단부를 홀더의 조절부상에 말아서 감을 시에 홀더의 조절부로부터 슬립이 발생하여 헛돌아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서 편납을 제대로 신속하게 감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편납이 감아지는 홀더의 조절부상에는 감겨진 편납을 고정시켜 주는 수단이 부재하여 편납이 홀더 외표면에 고정상태로 있지 않게 됨으로서 감겨진 편납이 홀더 상에서 유동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편납이 제대로 상태로 감아지지 않은 경우에는 홀더로부터 편납이 이탈될 우려도 높았던 것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편납 홀더의 외표면에 편납을 미끄러짐이 없이 손쉽고 간단히 견고하게 감을 수 있는 결합수단을 구비함으로서 홀더상에 원하는 중량 만큼의 편납을 감을 시에 슬립현상이 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감아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낚시의 신속성과 함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우수한 사용안정성을보장할 수 있는 편납홀더를 제공코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C-C선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홀더 2;결합공
3;걸림부 4;조절부
5;편납 6,6';돌기부
7;끼움공 8;모서리부
9;요철면 10;낚싯줄
A;결합수단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낚싯줄(10)에 삽입결합되는 결합공(2)을 가진 대략 관체형으로 형성되며, 상하단에는 걸림부(3)가 형성되어 조절부(4)에 감겨진 편납(5)이 홀더(1)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 통상의 구성에 있어서,
본 고안은 편납(5)을 감아서 중량을 조절하게 되는 조절부(4)상에 편납(5)을 감을 시에 조절부(4)와의 미끄러짐이 없이 견고한 결합상태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감을 수 있는 결합수단(A)을 구비시킨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홀더(1)의 조절부(4) 외면에 침형(針形) 등의 돌기(突起)부(6,6')를 수개 형성하여 편납(5)을 조절부(4)에 감을 시에 돌기부(6,6')에 의해 편납(5)이 조절부(4) 외면에 슬립현상없이 견고한 결합상태로 감겨지도록 한 것이다.
즉, 조절부(4) 외면에 뽀족하게 돌출형성한 돌기부(6,6')에 의해 편납(5)이 조절부(4)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밀착될 수 있게 함으로서 신속하고 간단히 편납(5)을 조절부(4)에 감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조절부(4)에 편납(5)의 선단을 끼움결합할 수 있는 끼움공(7)을 형성하여 편납(5)을 홀더(1)의조절부(4)에 감을 시에 편납(5)의 선단 일부를 끼움공(7)에 끼움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홀더(1)를 돌리거나 편납(5)을 홀더(1)의 조절부(4) 외면측으로 감아 돌려서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도 8,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홀더(1)의 조절부(4)를 사각(四角) 등의 각형(角形)으로 형성하여 모서리부(8)가 형성되게 함으로서 편납(5)을 조절부(4)에 감을시에 감겨지는 편납(5)이 각형으로된 조절부(4)의 각 모서리부(8)에 걸려지는 이와의 접촉력에 의해 슬립현상없이 손쉽고 신속하게 감을 수 있게 한 것이며,
도 10은 조절부(4) 외면에 너얼링(Knurling) 등과 같은 요철면(9)을 형성하여 요철면(9)에 의해 편납(5)을 감을 시의 슬립현상발생을 방지함으로서 편납(5)을 조절부(4)에 손쉽고 신속하게 감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상과 같이 각종 낚시채비의 낚싯줄(10)에 결합하여 중량조절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편납(5)을 홀더(1)의 조절부(4)에 감을 시에 슬립현상이 없이 손쉽고 신속하게 원하는 중량만큼의 편납(5)을 결합하여(감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편납(5)은 조절부(4)상에 보다 긴밀하게 감겨져서 홀더(1)와의 결합력이 우수하게 됨으로서 낚시도중 등에 편납(5)이 홀더(1)로부터 풀어지거나 분리될 염려 등을 해소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홀더(1)의 조절부(4)에 침형(針形) 등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부(6,6')는 편납(5)을 조절부(4)에 감을 시에 도1에서와 같이 조절부(4) 외면에 형성된 돌기부(6,6')가 감겨지는 편납(5)의 표면에 대해 높은 마찰력을 제공하여 그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됨으로서 편납(5)을 감는 도중 조절부(4)로부터 미끄럼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즉, 편납(5)을 홀더(1)상에 감고자할 시에 편납(5)의 끝단부가 조절부(4) 외면에 돌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6,6')와 접촉하게 되므로 돌기부(6,6')는 접촉되는 편납(5)의 표면을 조절부(4)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돌기부(6,6')에 의해 선단 표면부가 조절부(4)상에 고정되는 편납(4)은 조절부(4)로부터 미끄러짐이 없이 쉽게 감겨지게 됨으로서 사용자는 원하는 중량 만큼의 편납(5)을 홀더(1)상에 손쉽고 빠른 시간내에 감아서 신속하게 낚시를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편납(5)을 홀더(1)에 감을 시에 편납(5)의 선단부를 조절부(4)에 형성된 끼움공(7)에 끼움하여 고정시킨 다음 홀더(1)를 돌려주면 조절부(4)에 원하는 중량만큼의 편납(5)을 감을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편납(5)의 선단을 홀더(1)의 조절부(4)에 형성된 끼움공(7)측에 끼움시켜 고정한 다음 선단이 조절부(4)에 고정된 편납(5)을 홀더(1)를 돌려 감아주게 됨으로서 편납(5)이 조절부(4)에 감겨지도록 함으로서 이 역시 편납(5)이 홀더(1)의 조절부(4)로부터 미끄럼없이 신속하고 간편히 감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편납(5)의 선단을 조절부(4)의 끼움공(7)에 끼워고정시킨 상태에서 편납(5)을 홀더(1)의 조절부(4) 외측에서 돌려 감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9는 홀더(1)의 조절부(4)를 각형(角形)으로 형성한 경우로서, 이 역시 조절부(4)가 각형으로 이루어져 모서리부(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감겨져서 결합되는 편납(5)은 각형(角形)으로 형성된 조절부(4)의 각 모서리부(8)에서 일종의 걸림작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미끄럼현상없이 손쉽고 신속하게 편납(5)을 홀더(1)의 조절부(4)에 감을 수 있는 것이다.
즉, 각형으로되어 모서리부(8)가 형성된 조절부(4)는 각을 이루는 각각의 모서리부(8)가 편납(5)이 조절부(4)에 외면에서 걸려져서 밀착력을 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편납(5)이 조절부(4)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또, 도 9와 같이 조절부(4)의 표면을 요철면(9)으로 형성하게 되면 요철면(9)으로 이루어진 조절부(4)에 감겨지는 편납(5)은 요철면(9)에 의해 조절부(4)와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게 되므로 이 역시 편납(5)을 미끄러짐없이 조절부(4)에 손쉽게 감을 수 있게 되어 신속하고 편리하게 편납(5)을 홀더(1)의 조절부(4)에 감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편납 홀더(1)에 있어서 홀더(1)의 조절부(4)에 편납(5)을 미끄러짐없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감을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서 편납(5)을 홀더(1)에 감아서 결합시키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신속히 하고 견고한 결합상태로 홀더(1)에 감아줄 수 있게 됨으로서 낚시의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부터 편납 홀더(1)의 사용 편이성과 우수한 사용 안정성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잇점과 효과를 득할 수 있다.

Claims (5)

  1. 낚싯줄(10)에 결합되는 결합공(2)을 가지며, 상하로 걸림부(3)가 형성된 조절부(4)에 편납(5)을 감아서 중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편납 홀더(1) 구성에 있어서, 편납(5)이 감아져서 결합되는 홀더(1)의 조절부(4) 외면에 편납(5)을 미끄러짐없이 감을 수 있는 결합수단(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낚시용 편납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A)은 홀더(1)의 조절부(1) 외면에 침형(針形)의 돌기부(6,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편납 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A)은 홀더(1)의 조절부(1)에 편납(5)의 선단을 끼움할 수 있는 끼움공(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편납 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A)은 홀더(1)의 조절부(1)를 각형(角形)으로 형성하여 모서리부(8)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편납 홀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A)은 홀더(1)의 조절부(1) 외면에 요철면(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편납 홀더.
KR2020010004341U 2001-02-20 2001-02-20 낚시용 편납 홀더 Expired - Fee Related KR200235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341U KR200235437Y1 (ko) 2001-02-20 2001-02-20 낚시용 편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341U KR200235437Y1 (ko) 2001-02-20 2001-02-20 낚시용 편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437Y1 true KR200235437Y1 (ko) 2001-10-25

Family

ID=73096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341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5437Y1 (ko) 2001-02-20 2001-02-20 낚시용 편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4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2618A (zh) * 2018-10-31 2019-01-04 长江师范学院 二次配重铅皮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2618A (zh) * 2018-10-31 2019-01-04 长江师范学院 二次配重铅皮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0295A (en) Knot tying device
TW201436712A (zh) 汲頭鉤、汲頭鉤用釣鉤及汲頭鉤用錘
JP2018038320A (ja) 魚釣りの仕掛け及び魚釣りの仕掛け用巻きずれ抑制具
US3398477A (en) Fishhook live bait harness
US4209933A (en) Fishing rig assembly
KR200235437Y1 (ko) 낚시용 편납 홀더
US10244834B2 (en) Bead bracelet loom
WO2013069062A1 (ja) 釣り針用ガード、およびそのガードを取り付けたガード付き釣り針
PT1887122E (pt) Agulha de barbela
JP4565394B2 (ja) イカ用釣針の補整部材および補正具
JP4488754B2 (ja) 植物茎の誘引用固定具
KR20180000764U (ko) 찌홀더가 구비된 삽입형 낚시줄감개
US4138864A (en) Cable stitch holder for knitting
JP2007289072A (ja) ハリス付き釣り針の包装用台紙
KR102049454B1 (ko) 다운샷 낚시채비의 단차 조절용 체결구
JP3098828U (ja) 重力を利用した仕掛け巻き具
JP2005185136A (ja) 釣り用仕掛係合具。
JP2022126271A (ja) 釣用仕掛け
JP2000145852A (ja) ばね及びこれを用いたネット張設構造
KR200181062Y1 (ko) 장식용 헤어클립
JP2009106243A (ja) 釣り針保持具
JP2001346490A (ja) 釣針の針穴に対する釣糸通し具
JP2006067924A (ja) 釣り針
EP1110448A1 (en) Fishline twist correcting device and fishing rod
JPH11127737A (ja) 釣竿保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22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10416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2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2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20607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