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5388Y1 - 모자용백밴드 - Google Patents

모자용백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388Y1
KR200235388Y1 KR2019980026815U KR19980026815U KR200235388Y1 KR 200235388 Y1 KR200235388 Y1 KR 200235388Y1 KR 2019980026815 U KR2019980026815 U KR 2019980026815U KR 19980026815 U KR19980026815 U KR 19980026815U KR 200235388 Y1 KR200235388 Y1 KR 200235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at
pattern
head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601U (ko
Inventor
송수근
Original Assignee
송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수근 filed Critical 송수근
Priority to KR2019980026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38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36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6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388Y1/ko

Links

Landscapes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측면에 2중 사출물 구조로 도안을 형성시킨 모자용 백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모자용 백 밴드는, 모자(1)의 머리 둘레 길이를 조절하는 모자용 백 밴드(10)에 있어서, 상기 모자(1) 머리 둘레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측면에 도안(22a)이 형성되는 전방밴드(20)와, 상기 모자(1) 머리 둘레의 타측에 상기 전방밴드(20)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후방밴드(30) 및 상기 전방밴드(20)와 상기 후방밴드(30)가 서로 착탈가능하고, 체결된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전방밴드(20)와 상기 후방밴드(30)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백 밴드에 도안의 형성이 가능하며, 형성된 도안이 미관상 아름답고, 선명하며, 제품이 반영구적이고, 사출성형물이므로 재료비 및 공수가 절감되며, 제작작업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함으로써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모자용 백 밴드{Back band for a cap}
본 고안은 모자용 백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면에 2중 사출물 구조로 도안을 형성시킨 모자용 백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사람의 머리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머리를 햇빛, 추위, 바람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일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물건이다.
이러한 상기 모자는, 모자의 착용감을 좋게 하고, 다양한 크기의 머리에 모두 착용할 수 있도록 통상 모자의 머리 둘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백 밴드가 설치된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백 밴드(110)는, 모자(1)의 머리 둘레에 설치되는 전방밴드(120)와 후방밴드(13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밴드(120)에 다수개의 체결공(120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밴드(130)에 다수개의 돌기(130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20a)에 삽입되는 상기 돌기(130a)의 개수를 조절하여 모자(1)의 머리 둘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예로부터 모자(1)는 그 사람의 신분을 상징하거나, 장식용으로도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스포츠경기나 야외 등에서 모자(1)를 통해 소속단체 속한 사람들간의 단체감과 소속감을 진작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되는 만큼, 이러한 모자(1)의 다양한 활용성을 고려할 때, 종래의 백 밴드(110)는, 그 외측면에 어떠한 도안도 불가능하고, 상기 전방밴드(120)의 천공된 체결공(120a)이 외측으로 드러나 보기 흉하고, 값싸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재질의 전방밴드(220)와 후방밴드(2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밴드(220)에 자수로 도안(220a)을 형성하며, 상기 전방밴드(220)와 후방밴드(230)에 각각 서로 탈/부착이 가능한 한 쌍의 벨크로테이프(222)(232)를 부착한 백 밴드(210)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백 밴드(210) 역시, 도안(220a)이 자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안(220a)의 표현에 한계(자수선의 연결됨)가 있어 도안(220a)이 선명하지 못하며, 특히 이러한 직물 백 밴드(210)는, 직물 및 벨크로테이프(222)에 소요되는 재료비가 비싸고, 별도로 자수비가 추가되며, 전방밴드(220) 및 후방밴드(230)용 직물이 제단, 다림질, 자수, 벨크로테이프(222)의 절단 및 봉제선(220b)에 의한 벨크로테이프부착 등의 복잡한 수공업 공정을 거쳐 제품으로 완성되는 것으로서, 작업공수가 많아 인건비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이고, 수공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고, 대량생산이 불가능하여 다양한 제품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었던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백 밴드에 도안의 형성이 가능하며, 형성된 도안이 미관상 아름답고, 선명하며, 제품이 반영구적이고, 사출성형물이므로 재료비 및 공수가 절감되며, 제작작업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함으로써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모자용 백 밴드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모자용 백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다른 모자용 백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모자용 백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5는 도3의 전방밴드에 2차 사출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6은 도3의 전방밴드에 2차 사출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모자 10, 110, 210: 백 밴드
20, 120, 220: 전방밴드 20a, 130a: 돌기
22: 1차 사출물 22a: 도안
22b: 테두리 24: 2차 사출물
24a: 주변부분 24b:봉제기준선
30, 130, 230: 후방밴드 30a, 120a: 체결공
30b:단턱 40: 금형판
40a: 주입구 220a: 도안
220b: 봉제선 222, 232: 벨크로테이프
S: 단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모자용 백 밴드는, 모자(1)의 머리 둘레 길이를 조절하는 모자용 백 밴드(10)에 있어서, 상기 모자(1) 머리 둘레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측면에 도안(22a)이 형성되는 전방밴드(20)와, 상기 모자(1) 머리 둘레의 타측에 상기 전방밴드(20)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후방밴드(30) 및 상기 전방밴드(20)와 상기 후방밴드(30)가 서로 착탈가능하고, 체결된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전방밴드(20)와 상기 후방밴드(30)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밴드의 외측면은, 도안이 양각되고, 그 주변부분이 음각되는 열경화성 재질의 1차 사출물로 형성되고, 음각된 상기 주변부분은 상기 1차 사출물과는 다른 색상의 열가소성 재질의 2차 사출물로 접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전방밴드(2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20a) 및 상기 후방밴드(30)의 외측면에 상기 돌기(20a)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공(30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전방밴드(20)의 내측면과, 상기 후방밴드(30)의 외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벨크로테이프인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용 백 밴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자용 백 밴드(10)는, 모자(1)의 머리 둘레 길이를 조절하는 모자용 백 밴드(10)로서, 도안(22a)이 형성된 전방밴드(20) 및 상기 전방밴드(20)에 체결되는 후방밴드(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방밴드(20)는, 상기 모자(1) 머리 둘레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측면에 도안(22a)이 형성되며,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돌기(20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밴드(30)는, 상기 모자(1) 머리 둘레의 타측에 상기 전방밴드(20)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전방밴드(20)와 착탈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체결된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돌기(20a)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체결공(30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전방밴드(20)에 다수개의 돌기(20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밴드(30)에 상기 돌기(20a)에 의해 관통되는 다수개의 체결공(30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30a)에 삽입되는 상기 돌기(20a)의 개수를 조절하여 모자(1)의 머리 둘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전방밴드(20)와 후방밴드(30)를 체결해주는 체결수단으로서, 상기 돌기(20a) 및 체결공(30a)을 대신하여 한 쌍의 벨크로테이프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체결수단이 가능하다.
특히, 본 고안의 백 밴드(10)는, 개개인이 선호하는 스포츠팀, 회사명 또는 기호 등 각종의 도안(22a)이나 문자 등이 상기 전방밴드(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밴드(20)의 외측면은, 도안(22a)이 양각되고, 그 주변부분(24a)이 음각되는 열경화성 재질의 1차 사출물(22)로 형성되고, 음각된 상기 주변부분(24a)은 상기 1차 사출물(22)과는 다른 색상의 열가소성 재질의 2차 사출물(24)로 형성되는 2중 사출물 구조이다.
즉, 상기 전방밴드(20)는, 테두리(22b)와 도안(22a)을 형성하는 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열경화성인 폴리에틸렌계열의 재질로 1차 사출되는 1차 사출물(22) 및 상기 도안(22a)과 테두리를 제외한 함몰된 부분에 열가소성인 고무계열(올레핀계열)의 재질로 2차 사출되어 함몰된 부분을 채우는 2차 사출물(24)로 이루어지는 2중 사출물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도안(22a) 및 테두리(22b)의 색상이 상기 주변부분(24a)의 색상과 대비되어 선명하게 표현되는 것이고, 이러한 2중 사출물 구조의 백 밴드(10)는 심하게 마모되더라도 도안(22a)이 지워지지 않기 때문에 반영구적이고, 선명하며, 제품을 우아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전방밴드(20)는, 상기 테두리(22b)의 높이 보다 상기 도안의 높이가 더 높도록 0.1 mm 내지 0.3 mm 정도의 단차(S)를 갖는 것으로서, 이는 2차 사출시 상기 도안(22a)이 2차 사출물(24)에 의해 덮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또한, 상기 2차 사출물(24)의 표면에는 본 고안의 백 밴드(10)가 상기 모자(1)에 봉제될 때 작업자에게 기준선을 알려주는 봉제기준선(24b)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후방밴드(30)에는 상기 체결공(30a)을 관통한 상기 돌기(20a)가 다른 모자에 자국을 남기지 않도록 단턱(30b)을 형성한다.
이러한 2차 사출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5 및 도6에 도시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사출을 거쳐 완성된 1차 사출물(22)을 상기 도안(22a)과 테두리(22b)가 안쪽을 향하도록 가압하여 상기 금형판(40)에 밀착시키고, 상기 금형판(40)에 형성된 주입구(40a)를 통해서 2차 사출물(24)을 사출하여 내부의 중공부를 채우게 된다.
이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사출물(24)의 흐름을 나타내면, 상기 2차 사출물(24)은 주입구(40a)를 통해 주입되어 테두리(22b)에 의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상기 주변부분(24a)을 흘러서 상기 도안(22a)과 테두리(22b)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채워지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2차 사출물(24)을 냉각시킨 후 이를 도5의 금형판(40)에서 추출하면 도안(22a)의 형태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2차 사출물(24)은, 1차 사출물(22)과의 접착성이 좋아야 하고, 흐름성이 좋아야 하며, 부드러워 촉감이 양호하고, 휨이나 온도의 변화에도 불변하도록 탄성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상기 1차 사출물(22) 및 2차 사출물(24)의 형태 및 재질은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금형판(40)의 표면을 부식 처리하여 상기 2차 사출물의 표면에 마치 직물이나 모피 등과 같은 효과를 내게 하여 제품을 고급화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이러한 2중 사출 구조의 백 밴드는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여 도안을 음각하고, 주변부분을 양각하여 2중 사출하는 것도 가능하고, 2중 사출 구조는 아니지만 도안을 양각한 후 양각된 도안에 특수 잉크를 고온으로 인쇄하는 핫 스템핑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전방밴드의 양각부분이나 주위에 특수페인트를 사용하여 양각부분이나 바탕을 돋보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백 밴드(10)는, 전방밴드(20)의 외측면에 도안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고급화할 수 있고, 자수도안에 비하여 도안의 표현이 자유로우며, 형성된 도안이 선명하고 반영구적이며, 플라스틱 재질로서 직물 및 벨크로테이프에 비하여 소요되는 재료비가 싸고, 별도로 자수비가 불필요하며, 1차 사출 및 2차 사출과정만으로 간단히 제품으로 완성되는 것으로서, 작업공수가 적어 인건비가 절감되는 것은 물론이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다변하는 제품의 수요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모자용 백 밴드에 의하면, 백 밴드에 도안의 형성이 가능하며, 형성된 도안이 미관상 아름답고, 선명하며, 제품이 반영구적이고, 사출성형물이므로 재료비 및 공수가 절감되며, 제작작업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함으로써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고, 수출납기일 등을 효율적으로 맞출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모자(1)의 머리 둘레 길이를 조절하는 모자용 백 밴드(10)에 있어서,
    상기 모자(1) 머리 둘레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측면에 도안(22a)이 형성되는 전방밴드(20);
    상기 모자(1) 머리 둘레의 타측에 상기 전방밴드(20)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후방밴드(30); 및
    상기 전방밴드(20)와 상기 후방밴드(30)가 서로 착탈가능하고, 체결된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전방밴드(20)와 상기 후방밴드(30)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밴드(20)의 외측면은, 도안(22a)이 양각되고, 그 주변부분(24a)이 음각되는 열경화성 재질(폴리에틸렌계열)의 1차 사출물(22)로 형성되고, 음각된 상기 주변부분(24a)은 상기 1차 사출물(22)과는 다른 색상의 열가소성 재질(고무계열)의 2차 사출물(24)로 접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용 백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전방밴드(2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20a); 및
    상기 후방밴드(30)의 외측면에 상기 돌기(20a)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공(30a);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용 백 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전방밴드(20)의 내측면과, 상기 후방밴드(30)의 외측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벨크로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용 백 밴드.
KR2019980026815U 1998-12-28 1998-12-28 모자용백밴드 KR200235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815U KR200235388Y1 (ko) 1998-12-28 1998-12-28 모자용백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815U KR200235388Y1 (ko) 1998-12-28 1998-12-28 모자용백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601U KR20000013601U (ko) 2000-07-15
KR200235388Y1 true KR200235388Y1 (ko) 2001-10-25

Family

ID=6950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815U KR200235388Y1 (ko) 1998-12-28 1998-12-28 모자용백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38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060B1 (ko) 2013-11-22 2014-05-07 황용훈 신축성을 가지는 착탈식 연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101430114B1 (ko) * 2012-10-16 2014-08-14 주식회사유풍 사이즈 조절장치를 이용한 모자
KR101451235B1 (ko) 2014-06-23 2014-10-15 주식회사유풍 사이즈 조절장치를 이용한 모자
KR20170003073U (ko) 2016-02-23 2017-09-01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문양이 표현된 사이즈조절장치가 구비된 모자
KR102273182B1 (ko) 2020-08-10 2021-07-02 송수근 모자 사이즈 조절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9083B2 (en) * 2021-10-20 2023-11-21 Happened By Chance Productions, Llc Hat with improved comfor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114B1 (ko) * 2012-10-16 2014-08-14 주식회사유풍 사이즈 조절장치를 이용한 모자
US9655397B2 (en) 2012-10-16 2017-05-23 Yupoong, Inc. Headwear having size adjustment device
KR101390060B1 (ko) 2013-11-22 2014-05-07 황용훈 신축성을 가지는 착탈식 연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모자
WO2015076484A1 (ko) * 2013-11-22 2015-05-28 황용훈 신축성을 가지는 착탈식 연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101451235B1 (ko) 2014-06-23 2014-10-15 주식회사유풍 사이즈 조절장치를 이용한 모자
KR20170003073U (ko) 2016-02-23 2017-09-01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문양이 표현된 사이즈조절장치가 구비된 모자
KR102273182B1 (ko) 2020-08-10 2021-07-02 송수근 모자 사이즈 조절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601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4317A (en) Method for making a molded applique product having backlighting capability
KR200235388Y1 (ko) 모자용백밴드
WO2012005887A2 (en) Digitally printed appliqué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247332B2 (ko)
JP2000152801A (ja) 長靴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6040B1 (ko) 입체형 엠블럼 제조방법
JPH05254024A (ja) 合成樹脂製装飾片の製造方法
JPH0860411A (ja) 保形用装身具
KR100200027B1 (ko) 의류용 입체패치 및 그 제조방법
JPS6017124Y2 (ja) 運動靴の甲皮補強片
EP1325687A1 (en) Method for producing a metallic label and product thereby obtained
KR200294181Y1 (ko) 폴리에스텔 홀로그램 스팽글의 구조
JP2000317966A (ja) ミラブルシリコーン樹脂商品の製造方法
JP2000062045A (ja) 長靴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07638B1 (ko) 인조손톱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인조손톱
KR200216684Y1 (ko) 다색 문양을 표시한 신발창
JPH0437449Y2 (ko)
US2003018398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rubber product having colored patterns thereon
JPH06237804A (ja) 縫着ボタンの着脱カバー
KR200179010Y1 (ko) 벨트
KR100920183B1 (ko) 버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91272A (ko) 장식용 폴딩 부품의 제조방법
JP3045272U (ja) 装飾用釦
KR20010000538A (ko) 신발창의 문양 표시방법
KR19990014560A (ko) 합성수지재 재질의 마크 제조방법 및 그 마크를 시트에 부착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12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101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6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