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5098Y1 - 옹벽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098Y1
KR200235098Y1 KR2020010008241U KR20010008241U KR200235098Y1 KR 200235098 Y1 KR200235098 Y1 KR 200235098Y1 KR 2020010008241 U KR2020010008241 U KR 2020010008241U KR 20010008241 U KR20010008241 U KR 20010008241U KR 200235098 Y1 KR200235098 Y1 KR 200235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ing
blade piece
blocks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우
Original Assignee
박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우 filed Critical 박창우
Priority to KR2020010008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09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전방익편과 후방익편이 연결지주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전방익편의 전방 상면에는 결합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타 블록의 결합돌기에 대응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블록을 이루는 전방익편의 상ㆍ하면 동일 위치에 각각 결합돌기 및 결합홈을 하층에 배열된 블록의 결합돌기에 타 블록의 결합홈을 삽입 결합하는 간단 용이한 동작으로 조적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옹벽용 블록{block for wall}
본 고안은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의 상호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앵커블록은 주로 아파트 단지조성과, 도로절성토부시공, 사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시공과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 등에 콘크리트 옹벽과 달리 조적식 옹벽 축조용으로 널리 범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조적식 옹벽의 시공으로는 블록과 블록 사이에 그리드를 개재시킨후 블록에 설치된 핀공에 연결핀을 꽂아가며 옹벽을 축조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또는 소정의 홀이 형성된 다수의 블록을 조적한 후, 상기 홀에 철근을 삽입함으로써 블록 상호간을 지지 고정시키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경우, 블록에 핀공을 형성하기가 수월치 않을 뿐 아니라, 시공시 핀의 삽입에 어려움이 따른다. 그리고, 이와 같은 축조공법으로 시공된 옹벽은 토압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면 블록의 유동에 따라 보강토와 그리드와의 상호 마찰저항력이 감소되어 블록이 전방으로 밀려나오게 되어 블록의 파손 내지는 붕괴의 위험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블록의 조적시 블록 상호간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 예컨대 핀이나 그리드, 철근을 이용하게 되므로 별도의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옹벽 형성시 간단하고 용이하게 블록을 조적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고정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옹벽용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익편과 후방익편이 연결지주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전방익편의 전방 상면에는 결합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타 블록의 결합돌기에 대응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의 상면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각각 본 고안에 의한 용벽용 블록의 조적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방익편 1a ; 결합돌기
1b ; 결합홈 2 ; 후방익편
3 ; 연결지주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의 상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은 전방익편(1)과 후방익편(2)이 연결지주(3)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방익편(1)은 좌우의 폭이 비교적 넓고, 후방익편(2)은 그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익편(1)의 전방 상면에는 결합돌기(1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타 블록의 결합돌기(1a)에 대응되도록 결합홈(1b)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결합돌기(1a) 및 결합홈(1b)을 전방익편(1)의 상면 및 하면 양측에 각각 2개 형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가감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옹벽이 곡면을 이루도록 상기 전방익편(1)의 전단부는 필요에 따라 만곡지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평면의 옹벽을 형성하기 위해 전방익편의 전단부를 평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블록의 조적시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블록의 조적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최하층에 결합돌기(1a)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다수개의 블록을 정렬 위치시키고, 그 상층에는 상기 결합돌기(1a)에 대응되도록 블록의 결합홈(1b)을 위치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간단 용이하게 조적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최하층의 블록에 대해 그 상면에 블록을 조적할 때에는 이웃하는 2개의 블록 사이에 적층하고자 하는 블록을 위치시킨 후, 이웃하는 2개의 블록의 인접하는 결합돌기(1a)에 적층하고자 하는 블록의 결합홈(1b)을 삽입 결합시키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상호 엇갈린 상태로 블록을 조적함으로써 견고하게 블록을 조적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블록의 결합돌기 및 결합홈을 이용하여 조적을 완료하게 됨으로써 블록 상호간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 예컨대 핀이나 철근, 그리드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상태에서 간단 용이하게 조적을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블록을 이루는 전방익편의 상ㆍ하면 동일 위치에 각각 결합돌기 및 결합홈을 하층에 배열된 블록의 결합돌기에 타 블록의 결합홈을 삽입 결합하는 간단 용이한 동작으로 조적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전방익편(1)과 후방익편(2)이 연결지주(3)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전방익편(1)의 전방 상면에는 결합돌기(1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타 블록의 결합돌기(1a)에 대응 결합되도록 결합홈(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KR2020010008241U 2001-03-26 2001-03-26 옹벽용 블록 Expired - Fee Related KR200235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241U KR200235098Y1 (ko) 2001-03-26 2001-03-26 옹벽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241U KR200235098Y1 (ko) 2001-03-26 2001-03-26 옹벽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098Y1 true KR200235098Y1 (ko) 2001-10-10

Family

ID=7309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241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5098Y1 (ko) 2001-03-26 2001-03-26 옹벽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0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000Y1 (ko) * 2013-06-05 2013-09-12 석영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
KR101819836B1 (ko) * 2016-11-09 2018-01-17 주식회사 콘스텍코리아 옹벽축조용 블록
WO2021071333A1 (ko) * 2019-10-10 2021-04-15 주식회사 이랩 힌지 연결 반원형 단부를 갖는 힌지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000Y1 (ko) * 2013-06-05 2013-09-12 석영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
KR101819836B1 (ko) * 2016-11-09 2018-01-17 주식회사 콘스텍코리아 옹벽축조용 블록
WO2021071333A1 (ko) * 2019-10-10 2021-04-15 주식회사 이랩 힌지 연결 반원형 단부를 갖는 힌지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039B1 (ko) 경계 보강기술을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조적 벽체 시공방법
KR980002478A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KR20170009571A (ko) 조립식 옹벽블럭 및 옹벽시공방법
KR100632966B1 (ko)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KR200235098Y1 (ko) 옹벽용 블록
KR200339448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KR102588711B1 (ko) 공동주택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조적공사에 사용되는 조적구조체
KR100392590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035495B1 (ko) 수평전단보강수단을 이용한 이중합성 pc벽체 구조
KR200381301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20170034280A (ko) 토목구조물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430530B1 (ko) 옹벽용 블록
KR100878716B1 (ko)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KR20170128906A (ko) 현장 타설 콘크리트 부재와의 접합면 분산 배치가 가능한 연결측면구조를 가지는 섬유보강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슬래브,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부재와 섬유보강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연결시공방법
KR200363402Y1 (ko) 옹벽블럭
KR200172438Y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축조용 앵커블록
KR102146634B1 (ko)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KR100674504B1 (ko) 벽돌
KR200251427Y1 (ko) 옹벽용 블록
KR10254662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SK286511B6 (sk) Stavebná tvarovka
JP3199083U (ja) 土木建築用組みブロックの中間ユニットブロック体
KR100872999B1 (ko)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KR200228740Y1 (ko) 축조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32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3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30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