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4952Y1 - 파이프 연결용 밴드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952Y1
KR200234952Y1 KR2020010008578U KR20010008578U KR200234952Y1 KR 200234952 Y1 KR200234952 Y1 KR 200234952Y1 KR 2020010008578 U KR2020010008578 U KR 2020010008578U KR 20010008578 U KR20010008578 U KR 20010008578U KR 200234952 Y1 KR200234952 Y1 KR 200234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ipe
fastener
coupled
pipe conn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조용주
Original Assignee
이주형
조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형, 조용주 filed Critical 이주형
Priority to KR2020010008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9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95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 부분을 밀봉 및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는 사각의 금속판체 일측단부 외주면상에 전폭에 걸쳐 지지바(12)(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부상에는 고정구(13)(24)가 역시 전폭에 걸쳐 돌출 형성된 밴드본체(11)(21)와, 일단부가 상기 지지바(12)(22)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구(13)(24)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가공되어 조임너트(15)(26)가 결합된 다수의 조임구(14)(25)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지지바(12)(22)는 다수개의 절결부(12b')(22a')를 갖는 원통형의 고정핀 삽입구(12a)(22a)와 고정핀 삽입구(12a)(22a)에 삽입되어 개별적인 회동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고정핀(12b)(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는 파이프 연결시 밴드본체 양단부에 결합되는 조임구에 장착된 너트의 조임만으로 손쉬운 밴드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밴드의 체결 작업시 볼트와 너트가 망실될 우려가 없도록 하고 파이프 직경에 따라 밴드의 조임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용 밴드{Band for connecting a pipe}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 부분을 밀봉 및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파이프 외주면을 감싸는 밴드본체 양단부에 형성된 지지바와 고정구상에 다수개의 조임구가 너트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하여 륜상의 파이프 연결 밴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 접속 연결시 조임구의 연결만으로 손쉬운 밴드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체결 작업시 볼트와 너트가 망실될 우려가 없도록 한 파이프 연결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배수로 공사나 토목 공사시에 파이프의 절단면을 연결하고 관로의 밀봉을 이루기 위해서 파이프 연결 부위에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연결용 밴드가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는 원통형의 파이프 외주면을 단순히 감싼 형태에서 양단부에 형성된 고정편상에 다수개의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도1은 종래 파이프 연결용 밴드의 사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1)는 원통형 파이프(P)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성형된 고정판(2) 양단부에 다수개의 볼트삽입공(3a)이 형성된 고정편(3)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삽입공(3a)을 관통하는 볼트(4)와 너트(5)의 결합에 의해서 파이프(P)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고정판(2)의 내주면과 파이프(P) 외주면 사이에는 연질의 고무등으로 이루어진 수축성 쉬트(6)가 개재되고 볼트삽입공(3a)을 통한 볼트(4)와 너트(5)의 조임력에 의해서 파이프(P) 외주면상에 밀착 결합된다.
또한, 종래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1)는 고정판(2)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힌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경첩 구조(도면 미도시)가 부착된 것이 있으나 상기 고정판(2)의 접고 피기가 손쉬워졌다는 장점 외에는 별다른 특징을 찾아볼 수가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1)는 파이프(P)의 연결단부를 중심으로 연질의 쉬트(6)를 감싸고 그 상부에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판(2)을 감싸며 상기 고정판(2) 양단부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편(3)이 서로 대향을 이루도록 장착된다.
상기 고정편(3)상에는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형성된 볼트삽입공(3a)을 통해 볼트(4)가 삽입되고 볼트(4)의 단부에 너트(5)가 결합되어 조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1)는 고정편(3)의 볼트삽입공(3a)에 결합되는 볼트(4)와 너트(5)를 밴드(1) 결합시 별도로 준비해야 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망실될 우려가 있으며, 높은 곳에서의 밴드 결착 작업시 볼트(4)나 너트(5)가 분실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1)는 대부분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P)의 직경에 따라서 밴드 사이즈가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의 직경에 의해서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밖에 없으며 배수로 공사 또는 토목공사시마다 크기에 따른 별도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를 준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파이프 연결용 밴드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관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밴드본체 일측단부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구 내부로 원통형의 고정핀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핀에 일정한 간격으로 너트와 결합된 다수개의 조임구가 장착되어 타측 고정구상에 순차적으로 결합시켜 파이프 외주면으로 륜상의 파이프 연결 밴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 연결시 조임구의 연결만으로 손쉬운 밴드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체결 작업시 볼트와 너트가 망실될 우려가 없도록 하고 파이프 직경에 따라 밴드의 조임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용 밴드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파이프 연결용 밴드의 사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파이프 연결용 밴드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3는 본 고안 파이프 연결용 밴드의 일실시예 사용상태도.
도4는 본 고안 파이프 연결용 밴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 파이프 연결용 밴드의 다른 실시예 사용상태도.
도6은 본 고안 파이프 연결용 밴드의 체결 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 밴드본체 12,22. 지지바
13,24. 고정구 14,25. 조임구
14a. 후크 15,26. 조임너트
12a,22a. 고정핀 삽입구 12b,23. 고정핀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파이프 외주면을 따라 만곡형성된 직사각형의 밴드본체와, 상기 밴드본체 양단부에 원통형의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환륜 형태로 연장형성된 고정핀 삽입구 및 고정구와, 일측 고정핀상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 결합되어 전방이 고리형태의 후크가 형성된 조임구로 이루어진 구성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 조임구는 전방이 걸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된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밴드본체 일측의 고정구에 형성된 네크부상에 결합되며 상기 조임구 후방에 장착되는 너트의 조임에 의해서 파이프 외주면상에 밴드본체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는 밴드본체 양단부에 조임구가 너트에 의해서 결합된 지지바와 조임구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에일정간격을 이루어 회동가능하도록 너트에 의해서 결합된 조임구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 외주면상에 밴드본체 체결시 볼트와 너트가 분실될 우려가 없으며 고정구에 형성된 네크부상에 조임구의 후크를 걸거나 수직면상에 형성된 걸림요홈상에 조임구를 삽입시켜 너트의 조임만으로 손쉽게 밴드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 파이프 연결용 밴드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설명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2는 본 고안 파이프 연결용 밴드의 일실시예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 파이프 연결용 밴드의 일실시예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10)는 사각의 판체로 구성된 밴드본체(11) 일측단부 외주면상에 전폭에 걸쳐 고정핀(12b)이 삽입된 지지바(12)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 네크부(13b')가 구비된 고정구(1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12)의 절결부(12b') 사이로 외주면이 나사가공되어 전방에 걸고리 형태의 후크(14a)가 형성된 다수의 조임구(14)가 조임너트(15)에 의해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밴드본체(11)는 파이프(P)의 외주면상에 밀착하여 감겨질 수 있도록 일정한 원호상의 만곡면을 이루는 사각판체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환륜상의 고정핀 삽입구(12a)를 통해 고정핀(12b)이 삽입된 지지바(12)와 타측 단부상에 네크부(13b')가 형성된 고정구(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밴드본체(11) 일측의 지지바(12)상에 삽입된 고정핀(12b)을 통해 관통 삽입된 조임구(14)는 후방에 조임너트(15)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고정되고 전방에 걸고리 형태의 후크(1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조임구(14)의 후크(14a)는 밴드본체(11) 일단부의 고정구(13)에 형성된 네크부(13b')상에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고 네크부(13b')에 결합된 조임구(14) 후방의 조임너트(15)를 조임으로써 파이프(P) 외주면상에 밴드(10)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10)는 연결할 파이프(P)의 연결단부에 밴드본체(11)를 위치시키고 관체의 외주면을 따라 밴드본체(11)가 밀착되도록 감은 후에 일측 지지바(12)의 절결부(12b')상에 결합된 조임구(14)의 후크(14a) 부분을 밴드본체(11) 타측 고정구(13)에 형성된 네크부(13b')에 걸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임구(14)의 후방에 나사 결합된 조임너트(15)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조이게 됨으로써 파이프(P) 외주면으로 밴드본체(11)의 내주면이 견고하게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밴드본체(11) 일측단부의 고정구(13)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판이 용접등에 의해서 부착 고정됨으로써 밴드(10)가 연결될 파이프(P)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며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 도4는 본 고안 파이프 연결용 밴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 파이프 연결용 밴드의 다른 실시예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20)는 사각 판체의 밴드본체(21) 일측단부에 형성된 지지바(22) 절결부(22a') 사이의 고정핀(23)상에 외주면 전체에 나사 가공된 조임구(25)가 관통 결합되어 그 단부에 조임너트(26)가 장착되며, 상기 밴드본체(21) 타측단부에 밴드본체(11)와 수직 절곡된 수직면(24b)상에 조임구(25)가 삽입되는 걸림요홈(24a)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지지바(22)의 절결부(22a')를 통해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된 조임구(25)는 외주면 전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일단부가 절결부(22a')를 관통되고 관통된 단부에 조임너트(26)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22)의 내부에서 회동하는 고정핀(23)을 따라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상기 밴드본체(21) 일측 단부에 형성된 고정구(24)는 판상의 밴드본체(21)와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24b)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의 지지바(22) 절결부(22a')에 장착된 조임구(25)와 대응되는 위치에 조임너트(26)의 외경에 비해 좁은 폭을 갖는 걸림요홈(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20)는 도3의 일실시예 밴드(10)와 마찬가지로 파이프(P) 연결 부위 외주면상에 판상의 밴드본체(21)가 어느정도 밀착되도록 감은 후에 지지바(22)를 관통하여 힌지가능하도록 장착된 조임구(25)를 대응된 위치의 고정구(24) 걸림요홈(24a)상에 삽입하고 후단부의 조임너트(26)를 조임으로써 파이프의 연결 접속부에 밴드본체(21)의 밀착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도3 및 도5의 미설명 부호 S는 연결 부위의 파이프(P) 외주면과 밴드의 고정판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연질의 고무등으로 구성되는 패킹(S)이다.
도6은 본 고안 파이프 연결용 밴드의 체결 부분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밴드본체(21) 일측의 고정핀 삽입구(22a)에 삽입되는 고정핀(23)은 지지바(22)의 절결부(22a')를 통해서 고정된 조임구(25)가 각각 별도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20)는 고정핀 삽입구(22a) 내부에서 회동하는 고정핀(23)을 따라 각각의 조임구(25)를 고정구(24)의 걸림요홈(24a)에 삽입시켜 조임너트(26)를 조임으로써 밴드본체(21)의 파이프 외주면상에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밴드본체(21) 일측 단부에 결합된 연장판이 타측 단부 저면으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연장판의 길이와 조임구(25)에 결합된 조임너트(26)의 조임 상태 조절에 의해서 파이프(P) 외주면상에 완전 밀착되도록 장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용 밴드는 관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밴드본체 일측단부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구 내부로 원통형의 고정핀이삽입되고 상기 고정핀에 일정한 간격으로 너트와 결합된 다수개의 조임구가 장착되어 타측 고정구상에 순차적으로 결합시켜 파이프 외주면으로 륜상의 파이프 연결 밴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 연결 접속부의 밀봉시 조임구에 장착된 조임너트의 조임만으로 손쉬운 밴드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밴드 체결 작업시 볼트와 너트가 망실될 우려가 없도록 하고 파이프 직경에 따라 밴드의 조임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관체의 연결접속부 외주면에 장착되는 파이프 연결용 밴드(10)(20)에 있어서, 사각의 금속판체 일측단부 외주면상에 전폭에 걸쳐 지지바(12)(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부상에는 고정구(13)(24)가 역시 전폭에 걸쳐 돌출 형성된 밴드본체(11)(21)와, 일단부가 상기 지지바(12)(22)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구(13)(24)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가공되어 조임너트(15)(26)가 결합된 다수의 조임구(14)(25)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지지바(12)(22)는 다수개의 절결부(12b')(22a')를 갖는 원통형의 고정핀 삽입구(12a)(22a)와 고정핀 삽입구(12a)(22a)에 삽입되어 개별적인 회동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고정핀(12b)(23)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구(14)는 고정핀 삽입구(12a)의 절결부(12b') 사이로 드러난 각각의 고정핀(12a)에 일단부가 관통삽입되어 후방부에 조임너트(15)가 결합되고 전방부는 걸고리 형태의 후크(14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13)는 원형봉상의 고정봉(13b)이 고정봉 삽입구(13a) 내부에 삽입되어 조임구(14)의 후크(14a) 결합부위에 상대적으로 적은 직경의 네크부(13b')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구(25)는 고정핀 삽입구(22a)의 절결부(22a') 사이로 드러난 각각의 고정핀(23)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24)는 밴드본체(21)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된 수직면(24b)이 구비되고 구 수직면의 조임구(25) 대향부위 각각에는 조임너트(26)의 외경에 비해 좁은 폭을 갖는 걸림요홈(24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밴드.
KR2020010008578U 2001-03-28 2001-03-28 파이프 연결용 밴드 Expired - Lifetime KR200234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578U KR200234952Y1 (ko) 2001-03-28 2001-03-28 파이프 연결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578U KR200234952Y1 (ko) 2001-03-28 2001-03-28 파이프 연결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952Y1 true KR200234952Y1 (ko) 2001-10-18

Family

ID=7309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578U Expired - Lifetime KR200234952Y1 (ko) 2001-03-28 2001-03-28 파이프 연결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9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296A (ko) * 2021-11-26 2023-06-02 유재현 범용 사용 가능한 파형관 연결용 멀티 이음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296A (ko) * 2021-11-26 2023-06-02 유재현 범용 사용 가능한 파형관 연결용 멀티 이음관
KR102595044B1 (ko) * 2021-11-26 2023-10-27 유재현 범용 사용 가능한 파형관 연결용 멀티 이음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1996A (en) Plumbing system with connector between a flexible pipe conduit laid underneath plaster and a fitting to be arranged outside the plaster
US6113045A (en) Fitting adapted for holding spacedly a support member on an upright wall
PT975908E (pt) Bracadeira para tubos
WO1999045310A8 (en) Mounting bracket
PL306179A1 (en) Clamping buckle
KR200234952Y1 (ko) 파이프 연결용 밴드
JP3945469B2 (ja) ホースクランプを事前に位置決めするためのホースクランプとホースとの接続
HU222867B1 (hu) Szerelőszerkezet és eljárás nyeregidom csővezetékre történő rögzítésére, valamint elzárószerelvény
US3602960A (en) Clamp for mounting elliptical waveguides
JP2001177964A (ja) 接続部への埋設管の接合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接合構造
JP4551777B2 (ja) 分岐管継ぎ手の固定装置
KR20090121861A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240000159U (ko) 관체 연결용 클램프
KR200226270Y1 (ko) 호스고정용 클램프
JP4157200B2 (ja) 壁面配管構造
JP3554072B2 (ja) 3方向フェンスの円柱連結装置
JP2545693B2 (ja) フレキシブル管を使用したスプリンクラーの固定装置
KR20180003122U (ko) 커넥터의 풀림 방지를 위한 잠금 기기
JPH0231672Y2 (ko)
JP3113710U (ja) 固定バンド及びこの固定バンドを設けた侵入者阻止用突片具
KR102620418B1 (ko) 차량 케이블용 마운팅 소켓
KR200159585Y1 (ko) 마이크형 상하방향회전 피시 카메라의 회전장치 체결구
JPH07272573A (ja) ポリマー碍子用コロナリング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並びにコロナリング
KR200255474Y1 (ko) 회전 니플을 구비한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JPH11182768A (ja) 管の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3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3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20329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0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7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1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