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4144Y1 -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 - Google Patents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144Y1
KR200234144Y1 KR2020010006048U KR20010006048U KR200234144Y1 KR 200234144 Y1 KR200234144 Y1 KR 200234144Y1 KR 2020010006048 U KR2020010006048 U KR 2020010006048U KR 20010006048 U KR20010006048 U KR 20010006048U KR 200234144 Y1 KR200234144 Y1 KR 200234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bucket
stopper
cyl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일
Original Assignee
이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일 filed Critical 이덕일
Priority to KR2020010006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1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14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돗물이나 야외에서의 자연수를 넣어서 정수되게한 착탈식 필터를 갖는 물통으로써, 정수 기능을 가지되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의 착탈식 필터를 제공하는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탄력있는 물통과 나사결합되며 취수구를 형성한 물통 마개를 구비한 소형 물통과, 상기 물통 마개 저면의 결합구에 나사결합되는 필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필터는 상부에 마개의 결합구와 착탈되는 나사부를 가지고 상부가 개구된 원통의 구조로써, 저면의 중앙으로부터 부압을 해결할 목적의 공기 유입관이 상부로 연장된다. 이때 유입관의 저부는 상협하광상의 깔때기 구조를 가지고, 볼을 개재하여 그 하부에 볼 이탈 방지용으로써 구멍을 갖는 볼 탈락 방지판을 결합한다. 여기서 원통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깔대기형 물 유입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의 내경면에 둘러서 면접되는 부직포를 구비하고, 원통의 내저면으로부터 상부로 활성탄과 제오라이트 그리고 맥반석을 순차로 적층하는 3개층을 이루고, 그 상부에는 공기 유입관에 끼워지고 원통의 내부 상면을 커버하는 부직포와, 다수의 격망구조를 갖는 커버 지지체가 적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Portable water pail with a detachable filter}
본 고안은 휴대용 물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돗물이나 야외에서의 자연수를 넣어서 정수되게한 착탈식 필터를 갖는 물통으로써, 정수 기능을 가지되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의 착탈식 필터를 제공하여, 일반적인 소형의 휴대용 물통은 물론 야외에서의 식용이 불가한 물까지 필요에 따라 정수해서 사용할 수 있는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용수에 있어서, 생수를 마시거나 수돗물을 보리 등을 넣어서 끓여서 마시는 것이 일반화되고, 장거리 여행을 할 시 물을 마시기 위한 수단으로 그리 크지 않는 소형의 휴대용 물통을 가지고 다니는 것은 일반적인 생활 양태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휴대용 물통은 싼 값에 널리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소형의 물통에 있어서, 생수도 음용수 기준에 맞지 않는 것이 있고, 특히 집을 떠나 단체생활을 하거나 야영 및 야외활동을 하는 상황에서는 물을 많이 필요로 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물이 수돗물, 지하수 및 지표수인 경우가 비일비재한 상황에 있어서 싼 값에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능이 필요하다.
한편 여행시에도 장시간이 걸리는 경우에 물을 휴대용 물통에 재 충수하여야 되는데, 이때도 역시 수돗물 등이 구하기 쉬운 물이다.
재 충수의 필요성은 휴대용 물통의 휴대 용이성의 특성상 0.5ℓ내외의 용량이 적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공되어온 정수형의 물통은 고가의 정수용 필터가 고정식이거나 착탈식이어도 그 취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필터의 구조(여과층이 다단계로 된 것과, 여과되기 위한 물의 유입면적 내지는 유입공의 구조, 그리고 물을 취수한 후의 부압 문제 즉, 빠져나간 공기의 원할한 유입 등)에 따른 문제점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부가적으로 물통이 군용의 수통들과 같이 딱딱한 구성으로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싼 값에 제공되는 착탈식 필터의 구조를 물을 마시기 좋게 필터링되는 물의 이동 저항을 최소화 하는 것과, 필터 내부로 물의 유입이 잘되게 한 것과, 더불어 바람직하게 물통은 취수를 돕기 위해 탄력성을 갖는 구조를 제공하여 값싸고 대중적으로 보급하기에 용이하고, 물의 취수를 양호하게 한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탄력있는 물통과 나사결합되며 취수구를 형성한 물통 마개를 구비한 소형 물통과, 상기 물통 마개 저면의 결합구에 나사결합되는 필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필터는 상부에 마개의 결합구와 착탈되는 나사부를 가지고 상부가 개구된 원통의 구조로써, 저면의 중앙으로부터 부압을 해결할 목적의 공기 유입관이 상부로 연장된다. 이때 유입관의 저부는 상협하광상의 깔때기 구조를 가지고, 볼을 개재하여 그 하부에 볼 이탈 방지용으로써 구멍을 갖는 볼 탈락 방지판을 결합한다. 여기서 원통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깔대기형 물 유입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의 내경면에 둘러서 면접되는 부직포를 구비하고, 원통의 내저면으로부터 상부로 활성탄과 제오라이트 그리고 맥반석을 순차로 적층하는 3개층을 이루고, 그 상부에는 공기 유입관에 끼워지고 원통의 내부 상면을 커버하는 부직포와, 다수의 격망구조를 갖는 커버 지지체가 적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필터가 물통에 결합된 단면도로써 취수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필터가 물통에 결합된 단면도로써 공기유입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물통 111: 나사부
112: 결합구 110: 마개
10: 필터 11: 나사부
12: 물 유압공 13: 볼 탈락 방지판
14: 공기 유입관 15: 필터통
16: 제1부직포 17: 제2부직포
18: 커버 지지체 A: 활성탄층
B: 제오라이트층 C: 맥반석층
이하에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이나 꼭 여기에 설계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물통은 탄력있는 재질로써, 물을 마실 때, 손가락으로 수압을 주게되면 적절한 압력이 작용하여 정수된 물이 보다 쉽게 나오게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구성은 탄력있는 물통(100)과,
상기 물통의 상부 개구에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마개 중앙 저면에 나사부(111)가 형성된 결합구(112)를 구비한 마개(110)와,
상기 마개(110)의 결합구(112)에 나사 결합되어 착탈 가능한 필터(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10)의 구성은,
상부에 나사부(11)를 형성하고, 외부 둘레면에 다수의 깔때기형 단면을 갖는 물 유입공(12)을 가지며, 중앙 저면으로부터 상협하광의 깔때기구조에 볼(b)을 개재하여 구멍(13h)을 구비한 볼 탈락 방지판(13)으로 마감하여, 상부로 연장된 공기유입관(14)을 형성한 필터통(15)과,
상기 필터통(15) 내경면에 밀착되게 둘러지는 제1부직포(16)와,
상기 필터통(15) 내저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활성탄층(A), 제오라이트층(B)과 맥반석층(C)으로 적층되는 3개층과,
상기 적층 상면을 커버하되 공기 유입관(14)에 끼워지고 필터통(15)의 내부 상면을 커버하는 제2부직포(17)와,
다수의 격망구조를 갖는 커버 지지체(18)가 적층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3은 마개 상부로 돌출된 물 유출구이고, 114는 유출구 상에 형성되는 개폐변이고, 115는 상기 물 유출구에 결합되어 승강함에 따라 상기 개폐변과 상호작용으로 취수구(116)를 개폐시키는 취수 개폐구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필터(10)가 물통(100)에 결합된 단면도로써, 취수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주지의 취수 개폐구(115)는 상부로 슬라이드되어 취수구 (116)가 열리면서 물 유출을 위한 개로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고, 취수를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물통(100)을 누르거나 동시에 빨면, 물통 내부에 있는 물이 도면상의 화살표시에서와 같이 필터통(15)의 물 유입공(12)들을 통하여 내부로 물이 유입된다. 이때 물 유입공(12)은 유입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형 깔때기 구조를 가짐으로써, 효과적으로 필터통(15)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이렇게 유입되는 물은 제1부직포(16)를 통해, 1차 필터를 이루면서, 대부분의 내용량을 차지하는 활성탄층(A)을 거쳐, 제오라이트층(B)과 맥반석층(C)을 지나 제2부직포(17)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물통 내부의 물이 정화된다.
이때 제1 및 제2부직포(16,17)는 거친 필터링 작용과 함께 상기 필터통(15) 내부의 활성탄 및 맥반석 등이 통 밖으로 유출되지 못하게 감싸서 가두는 역할을 수행하며, 보조적으로 커버 지지체(18)에 의해 안전하게 지지된다.
한편 상기 정화작용을 위한 적층을 3개층으로 한정한 이유는 최대한의 정수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물이 유입되어 취수구로 나가는 물의 진행에 있어서 저항을 가장 적절히 최소한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해서 필터링된 물은 마개(110)의 유출구(113)와 취수 개폐변(114) 및 취수 개폐구(115)의 개로를 통하여 취수구(116)로 유출되어 정수된 물을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물이 유출되는 동안, 공기 유입관(14)하부의 깔때기 구조에 위치되는 볼(b)은, 물통(100)을 누르며 발생된 수압이 볼 탈락 방지판(13)의 구멍 (13h)을 통하여서 미치므로써 상부로 슬라이드하여 공기 유입관(14)을 닫는 작용을 하여서, 물통(100)내의 물이 필터(10)로만 유출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취수를 위한 일련의 작용을 한 후에, 물통(100)을 누르던 가압력을 제거하면, 물통의 탄성복원력으로, 물통(100)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취수작용을 함에 따라 발생되는 물통내의 부압문제를 해결하는데, 이를 도 2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물통의 제 원형을 찾으면서 공기 유입관(14)을 통해 흡입력이 발생하면서 자연히 볼(b)은 하부로 탈락하고, 이때 외부의 공기가 화살표시에서와 같이 용기 유입관을 통해 그 말단 깔때기 구조와 탈락방지판(13)의 구멍(13h)을 통해 유입되므로써 부압의 문제가 해결되면서 물통(100)은 본래 제모양으로 복원된다.
이후 취수 개폐변(115)을 하방으로 밀어서 닫으면 취수 개폐변(114)과 취수 개폐구(115)의 취수구(116)가 맞추어지면서 최종적으로 물통을 닫을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휴대 보관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물통의 기본 구조에 큰 변화가 없이 필터의 구조를 단순 간략히 하여 교체될 수 있으면서, 이에 따른 물의 유출에 따른 저항이 비교적 약하여 취수가 용이하여 싼 값에 제공되는 착탈식 필터의 구조로써, 물을 마시기 좋게 한 것과, 더불어 바람직하게 물통은 취수를 돕기 위해 탄력성을 갖는 구조를 제공하여 값싸고 대중적으로 보급하기에 용이하고, 물의 취수 및 정수를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탄력있는 물통(100)과,
    상기 물통의 상부 개구에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마개 중앙 저면에 나사부(111)가 형성된 결합구(112)를 구비한 마개(110)와,
    상기 마개(110)의 결합구(112)에 나사 결합되어 착탈 가능한 필터(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0)는,
    상부에 나사부(11)를 형성하고, 외부 둘레면에 다수의 깔때기형 단면을 갖는 물 유입공(12)을 가지며, 중앙 저면으로부터 상협하광의 깔때기구조에 볼(b)을 개재하여 구멍(13h)을 구비한 볼 탈락 방지판(13)으로 마감하여, 상부로 연장된 공기 유입관(14)을 형성한 필터통(15)과,
    상기 필터통(15) 내경면에 밀착되게 둘러지는 제1부직포(16)와,
    상기 필터통(15) 내저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활성탄층(A), 제오라이트층(B)과 맥반석층(C)으로 적층되는 3개층과,
    상기 적층 상면을 커버하되 공기 유입관(14)에 끼워지고 필터통(15)의 내부 상면을 커버하는 제2부직포(17)와,
    다수의 격망구조를 갖는 커버 지지체(18)가 적층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
KR2020010006048U 2001-03-07 2001-03-07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 Expired - Fee Related KR200234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048U KR200234144Y1 (ko) 2001-03-07 2001-03-07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048U KR200234144Y1 (ko) 2001-03-07 2001-03-07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144Y1 true KR200234144Y1 (ko) 2001-09-26

Family

ID=7309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04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4144Y1 (ko) 2001-03-07 2001-03-07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14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244B1 (ko) 2011-12-12 2013-05-22 (주)삼성홈코리아 휴대용 정수 수통
WO2016019383A1 (en) * 2014-08-01 2016-02-04 QuenchWorks, LLC Roll-up water bottle with closure/filter assembly
WO2022256785A1 (en) * 2021-06-02 2022-12-08 The Coleman Company, Inc. Free flow filter bott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244B1 (ko) 2011-12-12 2013-05-22 (주)삼성홈코리아 휴대용 정수 수통
WO2016019383A1 (en) * 2014-08-01 2016-02-04 QuenchWorks, LLC Roll-up water bottle with closure/filter assembly
WO2022256785A1 (en) * 2021-06-02 2022-12-08 The Coleman Company, Inc. Free flow filter bott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208B1 (ko) 휴대용 정수기
US8177968B2 (en) Filter cup assembly
AU2010300906B2 (en) Water treatment cartridge
US8597512B2 (en) Drinking container with filter filling reservoir
US20110079572A1 (en) Bottle for water treatment device
KR200234144Y1 (ko) 착탈식 필터를 갖는 휴대용 물통
CN103787432A (zh) 便携式净水器
CN206390713U (zh) 一种分离式泡茶杯
CN205547852U (zh) 一种小型单兵野战净水壶
JPH10211954A (ja) 水処理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のカートリッジと飲料ボトルとの組合せ構造ならびにこの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水処理方法
CN209322541U (zh) 一种多功能矿化滤芯
CN108577147A (zh) 用于野外生存的背包
CN211366995U (zh) 便携式户外净水器
KR102380908B1 (ko) 필터 카트리지, 이를 구비하는 정수 필터 조립체 및 휴대용 정수 물통
CN106430354A (zh) 可共用滤芯套装的多用净水设备
KR200273299Y1 (ko) 휴대용 정수기
KR102681903B1 (ko) 휴대용 정수 제조장치
KR101670831B1 (ko) 휴대용 정수기
KR101440199B1 (ko) 휴대용 정수기
CN212790062U (zh) 一种多功能净水水杯
CN200987929Y (zh) 具有双滤芯结构的滤水装置
CN202842734U (zh) 携带式过滤水壶
CN208055094U (zh) 一种新型净水装置
WO1998032698A1 (fr) Dispositif portatif de traitement d&#39;eau, cartouche de traitement d&#39;eau, structure combinee de cartouche et de bouteille a boire, et procede de traitement d&#39;eau utilisant la cartouche
CN109081010A (zh) 一种茶水污水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30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3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2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