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3862Y1 -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862Y1
KR200233862Y1 KR2019990008048U KR19990008048U KR200233862Y1 KR 200233862 Y1 KR200233862 Y1 KR 200233862Y1 KR 2019990008048 U KR2019990008048 U KR 2019990008048U KR 19990008048 U KR19990008048 U KR 19990008048U KR 200233862 Y1 KR200233862 Y1 KR 200233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upling
connecting member
shape
membe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690U (ko
Inventor
강판규
Original Assignee
강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판규 filed Critical 강판규
Priority to KR2019990008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862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6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6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86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장신구는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미감이 향상되고 착용시 보다 길게 늘어나면서도 쉽게 원래대로 수축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적어도 일렬 또는 그 이상의 열을 이루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단위부재와; 상기한 단위부재와 이 단위부재와 인접한 다른 열의 단위부재를 서로 일정한 형상으로 연결시켜 주면서 자체 탄성력을 보유하는 연결부재와; 상기한 연결부재 또는 단위부재 중에서 양 끝쪽으로 위치한 연결부재 또는 단위부재에 제공되고, 이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단위부재들이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신구{ORNAMENT}
본 고안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미감이 향상되고 착용시 보다 길게 늘어나면서도 쉽게 원래대로 수축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찌나 목걸이 또는 머리띠 등과 같은 장신구는 인체의 어느 부위, 예컨대 팔찌는 손목에, 목걸이는 목 부위에, 머리띠는 이마에 착용하면서 장식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장신구들은 대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식과, 고리들을 서로 단순하게 연결하는 연결식으로 크게 구분된다.
그러나 종래의 장신구중 일정한 형상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작은 용이한 반면 미감이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자체의 탄성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용하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리들이 단순하게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고 미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자체의 탄성력이 미약하기 때문에 제작이 곤란하게 되고, 사용자가 착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여전히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미감이 향상되고 착용시 보다 길게 늘어나면서도 쉽게 원래대로 수축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적어도 일렬 또는 그 이상의 열을 이루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단위부재와; 상기한 단위부재와 이 단위부재와 인접한 다른 열의 단위부재를 서로 일정한 형상으로 연결시켜 주면서 자체 탄성력을 보유하는 연결부재와; 상기한 연결부재 또는 단위부재 중에서 양 끝쪽으로 위치한 연결부재 또는 단위부재에 제공되고, 이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단위부재들이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제1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가 늘어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는 적어도 일렬 또는 그 이상의 열을 이루면서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단위부재(1)와;
상기한 단위부재(1)와 이 단위부재와 인접한 다른 열의 단위부재(2)를 서로 일정한 형상으로 연결시켜 주면서 일정한 크기의 자체 탄성력을 보유하는 연결부재(3)와;
상기한 연결부재(3) 또는 단위부재(1,2) 중에서 양 끝쪽으로 위치한 연결부재 또는 단위부재에 제공되고, 이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단위부재들이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5)을 포함한다.
상기한 단위부재(1,2)는 다양한 미감을 형성함과 아울러 미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환형상 또는 삼각, 사각 ,오각 등의 다각형상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단위부재(1,2)들은 하나의 형상으로 일정하게 형성하거나, 다수의 형상을 임의로 또는 일정하게 배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단위부재(1,2)들은 연결부재(3)들에 의하여 나선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어느 한열과 인접한 열을 지그재그형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위부재(1,2)에는 연결부재(3)가 보다 길게 늘어나면서도 쉽게 원래의 위치로 수축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교차되게 한다.
상기한 연결부재(3)는 어느 방향으로도 쉽게 늘어나거나 수축될 수 있도록원형상 등의 단면을 갖고서 직선상 또는 곡선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연결부재(3)에는 일정한 각도로 굴곡지게 형성하고, 이 연결부재의 탄력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굴곡부(7)가 제공된다.
상기한 굴곡부(7)는 연결부재(3)의 탄력성을 보다 증대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3)의 중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결합수단(5)은 어느 한 끝쪽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3)에 연결되고 결합돌기(9)를 갖는 제1결합부재(11)와; 어느 다른 끝쪽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3)에 연결되고, 이 결합돌기(9)와 대응하여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13)을 갖는 제2결합부재(15)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제2결합부재(11,15)는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장신구는 통상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하나로만 제작되거나, 도 5와 같이 결합수단(5)의 결합돌기(9)와 결합공(13)을 결합하여 둘 이상을 서로 연결하여 제작할 수 도 있다.
예컨대, 본 고안의 장신구를 하나로만 제작되는 경우에는 바로 결합수단(5)의 결합돌기(9)를 결합공(13)에 결합하여 제1,제2결합부재(11,15)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결합되면, 상기한 장신구는 도 2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상 또는 타원형상을 갖게 됨과 아울러 일정한 길이를 갖게 된다.
이때, 장신구의 중앙부 쪽으로 손을 집어넣고 손목에 착용하게 되면 연결부재(3)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단위부재(1)와 인접한 단위부재(2)의 간격이 도 4와같이 늘어나게 되면서 장신구 자체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 후 연결부재(3)의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단위부재(1)와 인접한 단위부재(2)의 간격이 원래대로 복귀하게 되면서 장신구도 도 2과 같이 원래의 길이대로 수축된다.
또한, 상기한 장신구는 동일한 방식에 의하여 이마 등에 착용하여 머리띠로 사용할 수도 있고, 발목에도 착용할 수 있고, 팔에도 착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장신구를 머리띠나 팔 등에 착용하는 경우에도 연결부재(3)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길이가 늘어나기 때문에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3)의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머리카락 또는 팔위에 입고 있는 옷등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장신구를 목걸이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장신구를 직접 목에 착용하거나, 결합수단(5)의 제1,제2결합부재(11,15)를 다른 목걸이와 연결하여 착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미감이 향상되고 착용시 보다 길게 늘어나면서도 쉽게 원래대로 수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적어도 일렬 또는 그 이상의 열을 이루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단위부재와; 상기한 단위부재와 이 단위부재와 인접한 다른 열의 단위부재를 서로 일정한 형상으로 연결시켜 주면서 자체 탄성력을 보유하는 연결부재와; 상기한 연결부재 또는 단위부재 중에서 양 끝쪽으로 위치한 연결부재 또는 단위부재에 제공되고, 이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단위부재들이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장신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위부재는 미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환형상 또는 삼각, 사각 ,오각 등의 다각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장신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위부재들은 연결부재들에 의하여 나선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어느 한열과 인접한 열을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는 장신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부재에는 일정한 각도로 굴곡지게 형성하고, 이 연결부재의 탄력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굴곡부가 제공되는 장신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수단은 어느 한 끝쪽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에연결되고 결합돌기를 갖는 제1결합부재와; 어느 다른 끝쪽으로 배치되는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이 결합돌기 대응하여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을 갖는 제2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장신구.
KR2019990008048U 1999-05-12 1999-05-12 장신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233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048U KR200233862Y1 (ko) 1999-05-12 1999-05-12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048U KR200233862Y1 (ko) 1999-05-12 1999-05-12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690U KR20000020690U (ko) 2000-12-05
KR200233862Y1 true KR200233862Y1 (ko) 2001-09-25

Family

ID=5476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04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3862Y1 (ko) 1999-05-12 1999-05-12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8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765B1 (ko) * 2004-05-25 2011-09-28 김상근 진동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765B1 (ko) * 2004-05-25 2011-09-28 김상근 진동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690U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44131A1 (en) Necklaces and bracelets with keepers
US5660061A (en) Single post earring with multiple earring look
KR200233862Y1 (ko) 장신구
US6055802A (en) Fishhook jewelry
KR200373539Y1 (ko)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KR200269199Y1 (ko) 장신구의 연결구조
CN218044074U (zh) 一种改良型弹性珠链
KR100572726B1 (ko)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CN220713092U (zh) 一种弹力黄金首饰
KR200269731Y1 (ko) 장신구의 연결장치
KR200168567Y1 (ko) 장신구
KR102436949B1 (ko) 비즈 연결구조가 구비된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239174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JPH0525454Y2 (ko)
KR910001319Y1 (ko) 이중 반지
CN209950531U (zh) 活动链坠
JPH047778Y2 (ko)
JP3021444U (ja) 変形自在の装身具
KR200301326Y1 (ko) 피어싱 악세사리
JPH0120887Y2 (ko)
KR200324782Y1 (ko) 반지
KR200358472Y1 (ko) 장식용 줄
KR200231831Y1 (ko) 장식용 체인
KR0117299Y1 (ko) 장신구
KR200199809Y1 (ko) 다용도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51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5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6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5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