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1322Y1 - 중장비용클러스터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중장비용클러스터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322Y1
KR200231322Y1 KR2019950052824U KR19950052824U KR200231322Y1 KR 200231322 Y1 KR200231322 Y1 KR 200231322Y1 KR 2019950052824 U KR2019950052824 U KR 2019950052824U KR 19950052824 U KR19950052824 U KR 19950052824U KR 200231322 Y1 KR200231322 Y1 KR 200231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fixing member
driver
mounting structure
heavy equip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2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0760U (ko
Inventor
김보철
Original Assignee
토니헬샴
볼보건설기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니헬샴, 볼보건설기계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니헬샴
Priority to KR2019950052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322Y1/ko
Publication of KR9700307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07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32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장비용 클러스터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중장비용 운전석 좌우양측에 장착되는 콘트롤박스의 각종 제어스위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는 클러스터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외측면 일측에 장착되어 운전자에 대해 상기 클러스터를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운전자의 신체적인 체형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를 좌우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운전자의 시계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클러스터 취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장비용 클러스터 취부구조
제1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클러스터의 장착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클러스터 취부구조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클러스터 5 : 운전실
6, 11 : 고정부재 7, 12 : 요홈
8 : 볼 9 : 지지부재
10 : 브라킷
본 고안은 중장비용 클러스터(cluster)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석 전방 일측에 클러스터를 운전자의 신체적인 체형에 따라 회동되도록 장착하여 운전자의 시계성 확보로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중장비용 클러스터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중장비용 클러스터는, 미도시된 운전석 좌우양측에 장비의 각종 제어스위치가 내설되는 콘트롤박스(1)(2)가 장착되며, 콘트롤박스(1)(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클러스터박스(3)가 콘트롤박스(1)일측에 형성되며, 콘트롤박스(1)(2)의 각종 제어스위치 조작에 따른 신호가 표시되는 게이지(guage) 또는 LED 계기판 타입의 클러스터(4)가 클러스터박스(3)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것이다.
그러나, 운전자의 신체적인 체형에 따라 전술한 LED계기판 또는 게이지 타입의 클러스터(4)는 운전자에게 충분한 시계성이 확보되지 않아 운전도중 클러스터의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운전자는 허리를 자주 굽혀야 되는등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장비의 콘트롤박스에 장착된 각종 제어 스위치등을 조작할 때 소정의 신호가 표시되는 클러스터를 운전자의 신체적인 체형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조정토록 하여 운전자의 충분한 시계성이 확보되어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중장비용 클러스터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장비용 운전석 좌우양측에 장착되는 콘트롤박스의 각종 제어스위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는 클러스터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외측면 일측에 장착되어 운전자에 대해 상기 클러스터를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운전자의 신체적인 체형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를 좌우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운전자의 시계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클러스터 취부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클러스터 외측면에 장착되어 볼이 안착되는 요홈이 형성된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요홈에 안착되는 볼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부재와의 마찰정도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의 회동력을 조절하는 제 2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운전석 일측으로의 운전실(5)소정위치에 장비의 작업장치등을 조정하는 다수의 제어스위치가 장착되는 콘트롤박스와 연결되는 클러스터(4)를 회동가능토록 장착하되, 클러스터(4)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6)에 요홈(7)이 형성되며, 요홈(7)에 안착되는 구 형상의 볼(8)을 일단부에 구비한 지지부재(9)에 운전실(5)에 장착되는 브라킷(10)을 고정시키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고정부재(6)와 밀착되며, 고정부재(6)와 밀착되는 정도에 따라 클러스터(4)의 회동력을 조정하는 고정부재(11)에 볼(8)에 대응되는 요홈(12)이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13은 고정부재(6)(11)를 체결하는 정도에 따라 볼(8)에 대한 고정부재(6)(17)의 마찰력을 조절하는 체결부재이다.
위와같은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운전실(5) 일측에 장착되는 클러스터(4)를 사용시 운전자의 신체적인 체형에 따라 운전에 적합한 시계성을 충분하게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운전실(5) 소정위치에 체결된 브라킷(1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9) 일단부에 형성된 구 형상의 볼(8)의 외주연을 따라 클러스터(4)에 고정된 고정부재(6)와 이와 밀착되는 고정부재(11)에 각각 형성된 요홈(7)(12)이 회동하게 되므로, 클러스터(4)는 좌우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것이다. (가상선으로 도시됨)
이때, 클러스터(4)는 클러스터(4)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고정부재(6)에 대해 밀착되어 볼(8)을 지지하는 고정부재(11)를 체결하는 체결부재(13)의 체결정도에 따라 볼(8)에 대해 클러스터(4)의 회동됨이 구속되므로, 운전자의 의사에 반하여 임의적으로 회동됨은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중장비용 클러스터 취부구조는, 운전자의 신체적인 체형에 따라 클러스터를 소정각도로 회동시켜 운전자의 시약각도를 충분하게 확보하게 되므로 운전에 적합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여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이면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콘트롤박스의 각종 제어스위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표시하는 클러스터를 고정수단에 의해 좌,우,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운전석 좌우양측에 장착한 중장비용 클러스터 취부구조에 있어서, 반구형의 요홈이 형성된 형태로 클러스터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요홈과 대칭되는 반구형의 다른 요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요홈에 연통되는 구멍이 뚫린 형상으로 형성 및 구비되는 제2고정부재; 그 체결력 정도에 따라 클러스터의 회동력을 조절할 수 있는 상태하에서, 상기한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결부재; 상기한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의 요홈들에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볼 부분과, 이러한 볼 부분에서 연장되고 그 단부가 브라킷에 체결되는 바아부분으로 형성된 지지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클러스터 취부구조.
KR2019950052824U 1995-12-29 1995-12-29 중장비용클러스터취부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231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2824U KR200231322Y1 (ko) 1995-12-29 1995-12-29 중장비용클러스터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2824U KR200231322Y1 (ko) 1995-12-29 1995-12-29 중장비용클러스터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760U KR970030760U (ko) 1997-07-24
KR200231322Y1 true KR200231322Y1 (ko) 2001-11-22

Family

ID=6090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2824U Expired - Lifetime KR200231322Y1 (ko) 1995-12-29 1995-12-29 중장비용클러스터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3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760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3795B8 (fr) Dispositif de suspension d'une roue de vehicule
JPH10218061A (ja) 自転車用表示装置の取付具
EP0982646A3 (en) A joystick
CA2399894A1 (en) In-vehicle monitor support structure
CA2283036A1 (en) Mounting assembly for an adjustable pedal
FR2773131B1 (fr) Articulation a rotule pour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KR20010021152A (ko) 조절가능한 페달-평행한 나사와 로드
KR200231322Y1 (ko) 중장비용클러스터취부구조
US6314354B1 (en) Lane following system for a vehicle
KR200241733Y1 (ko) 자동차용 조향각 표시장치
KR0134975Y1 (ko) 차량용 팔걸이 취부구조
KR100189423B1 (ko) 차량용 스피도미터 케이블의 흔들림 측정장치
JP4636359B2 (ja) 表示装置の取付構造
JPH043864Y2 (ko)
PT2297487E (pt) Unidade de accionamento de alavanca para uma caixa de velocidades de um veículo a motor
JPH0217940Y2 (ko)
KR970074175A (ko)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9980044917U (ko) 핸들과 일체로 틸팅되는 계기판
JPH01130849U (ko)
JP2017196923A (ja) 計器装置
JP2593531Y2 (ja) 車両用オプション機器塔載クランパ装置
JPH0347835Y2 (ko)
KR100513588B1 (ko) 자동차용 시트배선 보호기구
CN120171617A (zh) 汽车方向盘和车辆
KR0118981Y1 (ko) 자동차용 수동가속 및 정속주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1229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9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80914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6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5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5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4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