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0871Y1 - 교량 및 구조물 철근이음구 - Google Patents

교량 및 구조물 철근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871Y1
KR200230871Y1 KR2020000030702U KR20000030702U KR200230871Y1 KR 200230871 Y1 KR200230871 Y1 KR 200230871Y1 KR 2020000030702 U KR2020000030702 U KR 2020000030702U KR 20000030702 U KR20000030702 U KR 20000030702U KR 200230871 Y1 KR200230871 Y1 KR 200230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joint
inner circumferential
conical
ba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건설엔지니어링
박승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건설엔지니어링, 박승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00030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8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87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및 건물 등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의 기계적 이음으로 철근이 부담하는 압축 및 인장력을 완벽하게 전달 및 저항할 수 있는 철근이음구 및 그 철근이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철근이음구는 상, 하측 철근이음판(10a, 10b)과 철근간격재(35) 및 내주면 절두원추형의 결합원추통(20)으로 구성된다.
상, 하측 철근이음판(10a, 10b)은 거의 반원형 또는 원호형 단면으로 하고 그 내주면에는 상하측이 서로 엇갈리게 제작되는 이형철근 상, 하부마디(32a, 32b) 위치에 맞추어서 상, 하측의 걸림턱 홈(12a, 12b)을 상하간 비대칭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그 이외의 내주면은 예리한 톱니형이나 암나사의 산(山)모양, 또는 다수의 뾰죽한 돌기로 형성된 침투판(11)으로 형성하고, 이음철근 단부 사이의 공간에는 철근간격재(35)를 삽입하여 무리한 압축력 작용시에 저항하게 한 것이다.
한편 상, 하측 철근이음판(10a, 10b) 결합체의 좌, 우측 외주면은 완만한 구배의 절두원추형으로 제작하고, 그 좌우측 외곽에서 완만한 구배의 절두원추형 내주면을 가진 결합원추통(20)을 삽입시킴으로서 상, 하 철근이음판(10a, 10b)이 압착되어지면 철근의 상, 하측 마디(32a, 32b)는 상, 하측 철근이음판의 걸림턱 홈(12a, 12b) 속에 꽉 끼워지며, 철근 몸체부분(30)에도 톱니형, 나사의 산(山)형, 다수의 돌기형 등의 침투면(11)을 침투케 하여 구조물에 압축 또는 인장력 작용 시에 있어서 철근의 미세한 이동이나 걸림턱 홈(12a, 12b)으로부터의 이완 또는 해탈현상이 전혀없는 완벽한 철근이음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및 구조물 철근이음구{Reinforcing bar connector}
본 고안은 교량 및 건물 등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의 기계적 연결로서 철근이 부담하는 압축 및 인장력을 완벽하게 전달 및 저항할 수 있는 철근이음구 및 그 철근이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러 종류의 철근이음구가 개발되어 있는바 그 대부분이 이형철근의 마디(32)가 걸리도록 만든 오목한 내주면 걸림턱 홈(12)을 설치하여 철근의 압축 및 인장력에 대응하고 있으나, 실제상으로는 이형철근 리브의 상, 하측 마디(32c, 32d)가 KS규격상 일직선상에 있지 않고 어느 정도 어긋나도록 규정되어 이에 따라 제조 및 판매됨으로써 대부분의 기존 철근이음구는 도 6 과 같이 내주면의 걸림턱 홈(12)을 넓게하여 상, 하측의 보강마디(32a, 32b)가 모두 들어갈 수 있게 만든 결과 철근에 인장력이나 압축력이 작용시에는 상, 하측 마디 중의 어느 한쪽만이 저항할 수 있게 되므로서 충분한 저항력을 발휘할 수 없었으며
한편 도 5 와 같은 대부분의 나사체결식 철근이음구에 있어서도 제작 및 시공과정에서 항상 미세한 유간이 잔존하여, 지진 발생시나 연속교량 등에 있어서와 같이 압축 및 인장응력이 교대하여 반복적으로 작용할 경우에는 대부분의 기존 철근이음구는 미세한 유간 이동이나 미끄러짐이 발생하며 결국 응력집중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파손 및 중대 사고의 원인으로 발전할 수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지진시 또는 압축, 인장력의 반복적 작용시에 있어서 철근이음구 또는 그 부근에서 이음철근의 미세한 유간 이동이나 미끄러짐으로 기인되는 응력의 집중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파손 및 중대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완벽하고 경제적인 철근이음구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과제로서 설정하고 있다.
도1은 철근이음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철근이음구의 분해 종단면 전개도이다.
도3은 철근이음구의 철근 이음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4는 철근이음구의 철근 이음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5는 기존의 철근부풀림 나사 체결식 철근이음구 분해도이다
도6은 기존의 토크볼트 나사 체결식 철근이음구의 분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철근이음판 30 : 이음철근의 단부
10a : 상측 철근이음판 10b : 하측 철근이음판
11 : 톱니형, 산(山)형 등의 침투면 12 : 이형철근마디 걸림턱 홈
12a : 상측 마디 걸림턱 홈 12b : 하측 마디 걸림턱 홈
15 : 철근이음판 결합체 외주면 톱니형 띠
20 : 내주면 절두원추형 결합원추통 22 : 결합원추통 내면 톱니형 띠
31 : 이형철근의 리브 32 : 이형철근의 마디
32a : 리브 상측의 마디 32b : 리브 하측의 마디
33 : 철근 몸체부분 (리브,마디 제외) 35 : 이음철근 단부간 간격재
40 : 기존 부풀림나사식 철근이음구의 암나사형 슬리브
41 : 기존 부풀림나사식 철근이음구의 암나사부
42 : 기존 부풀림나사식 이음철근 숫나사부
44 : 기존 토크볼트식 철근이음구의 걸림턱 홈형 슬리브
45 : 기존 토크볼트식 철근이음구의 내주면
46 : 기존 토크볼트식 철근이음구의 내주면 걸림턱 홈
본 고안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 하측 철 리브 (31)의 상하간에 비대층으로 되어있는 이형철근의 상, 하측 마디(32a, 32b) 위치에 맞추어 걸림턱 홈(12a, 12b)을 상, 하측 비대칭으로 설치하고 그 폭과 길이도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제작한다.
또 걸림턱 홈(12a, 12b) 이외의 내주면은 예리한 톱니형이나 암나사의 산(山)모양, 또는 다수의 뾰죽한 돌기로 형성된 침투판(11)으로 형성하는 한편, 철근이음판(10a, 10b) 결합체의 외주면은 그 좌, 우측을 각각 완만한 경사의 절두원추형으로 가공하고 그 외곽부의 좌, 우측에는 내주면 절두원추형의 결합원추통(20)을 배치하여 유압잭기 또는 에어함마로 강력히 삽입 및 결합하게 하며 상기 철근이음판(10a, 10b) 결합체의 좌우측과 좌, 우 양측 결합원추통(20)의 접촉면에는 굽이 낮은 톱니형 띠(15 및 22)를 형성하여 상호간에 최대한으로 삽입된 위치에서 서로 맞물리게 하며, 또 한편으로는 이에 추가하여서 최근에 개발된 강력한 금속 냉간용접제 또는 금속보수제를 철근이음구의 내부 또는 접촉부에 도포 또는 충진한 후 결합시키는 방법 등으로 절대 이탈되거나 이완됨이 없이 할 수 있으며, 양측의 이음철근 단부(30) 사이의 간격에는 이에 꼭 맞는 다양한 두께의 원형 철판 또는 철근토막 등으로 만든 간격재(35)를 삽입한 후 상, 하 철근이음판(10a, 10b)을 결합함으로서 지진시나 연속교량 등에서 인장, 압축력의 반복적 작용시에 있어서도 미끄러짐이나 미세한 유간 이동을 완전 억제하고 이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파괴 및 중대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완벽하고 경제적인 철근이음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과 도 2 는 본 고안의 철근이음구의 분해 사시도 및 분해 종단면도로서 철근이음판(10a, 10b)은 거의 반원형 또는 원호형 단면의 상, 하 편체로 제작하고 이형철근의 리브의 상, 하측에 비대칭으로 설치되는 상,하측 마디(32a, 32b) 위치에 맞추어 걸림턱 홈(12a, 12b)의 위치를 상, 하 비대칭으로 설치하며 걸림턱 홈(12)의 폭과 깊이도 철근 마디(32)에 정확히 맞추어 가공하고
도 3 과 도 4 는 본 고안 철근이음구의 철근이음 결합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로서 상기의 상, 하측 철근이음판(10a, 10b)을 별도로 분리하여 먼저 양측 이음철근 단부(30)의 하측 마디(32b)를 하측 철근이음판(10b)의 걸림턱 홈(12b)에 맞추어 배열하고 양측 이음철근 단부(30) 사이의 공백구간에는 꼭 맞는 두께의 원형 철판이나 철근토막의 간격재(35)를 끼워 넣은 후에 상부 철근이음판(10a)의 걸림턱 홈(12b)을 이음철근 상측 마디(32a)에 맞추어 덮어 씌워서 압착하여 상, 하측의 철근이음판(10a, 10b)을 일체화한다.
상기 일체화된 철근이음판 외주면의 좌, 우측에는 굽이 낮은 톱니형 띠(15)를 가진 완만한 구배의 절두원추형으로 가공하고
그 좌, 우측 외곽부에는 굽이 낮은 톱니형 띠(22)를 가진 내주면 절두원추형의 결합원추통(20)을 배치하여 좌우 양측에서 중앙으로 유압잭기 또는 에어함마 등으로 최대한 압송하면 이형철근 마디(32a, 32b)는 상, 하측 걸림턱 홈(12a, 12b) 속에 강력하게 삽입되고 이음철근 몸체(33)에는 예리한 침투판(11)이 침입되어 지진시 또는 연속교량 등의 인장 압축 반복하중에 대하여도 이음철근의 미끄러짐이나 미세한 유간 이동을 억제시켜서 응력집중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파괴현상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완벽하고 경제적인 철근이음구를 제공하게 된다.
.

Claims (4)

  1. 거의 반원형 또는 원호형의 단면을 가진 상, 하 철근이음판(10a, 10b)의 걸림턱 홈(12) 위치를 철근 상, 하부의 마디(32a, 32b) 위치에 맞추어 상하 비대칭으 암나사의 산(山), 또는 다수개의 뾰죽한 돌기형 등의 침투면(11)으로 형성하는 한편 상, 하 철근이음판(10a, 10b) 결합체의 좌우측 외주면은 완만한 경사의 절두원추형으로 가공하고, 그 좌, 우측 외곽부에는 완만한 경사의 내주면 절두원추형 중공 슬리브로 형성된 결합원추통(20)을 배치하여 유압잭기 또는 에어함마로 좌우 양측에서 상호 압입 및 결합함을 특징으로하는 철근이음구.
  2. 제1항에 있어서
    이음철근 단부의 불규칙한 절단위치 및 마디(32)위치와 철근이음판(10a, 10b)의 걸림턱 홈(12a, 12b) 등의 위치관계에 따라서 양측 이음철근 단부(30)간에 발생하는 간격 사이에 다양한 두께의 작은 원형 철판이나 짧은 철근토막 등으로 만든 간격재(35)와 상기 간격재(35)의 끼워넣기를 특징으로하는 철근이음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 하 철근이음판(10a, 10b) 결합체의 절두원추형 외주면과 이 위에 삽입 및 밀착되는 외곽부 결합원추통(20)의 내부 경사면에 굽이 낮은 톱니형 띠(15 및 22)를 형성하여 상호간에 최대한으로 삽입된 위치에서 서로 걸리게 되면 철근이음판(10a, 10b)과 결합원추통(20)이 이완되거나 각기 분리되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음구.
  4. 제1항에 있어서
    이음 철근단부(30)와 철근이음판(10) 및 결합원추통(20)의 내부 및 접촉부와 로 설치하고, 상기 걸림턱 홈(12) 부분 이외의 내주면은 예리한 톱니형이나 간격재(35)부근에 최신 개발된 압축강도 1600 kg/cm2이상의 금속 냉간용접제 또는 금속보수제 등을 적당량 도포 또는 진충한 후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음구.
KR2020000030702U 2000-11-02 2000-11-02 교량 및 구조물 철근이음구 Expired - Lifetime KR200230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02U KR200230871Y1 (ko) 2000-11-02 2000-11-02 교량 및 구조물 철근이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02U KR200230871Y1 (ko) 2000-11-02 2000-11-02 교량 및 구조물 철근이음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871Y1 true KR200230871Y1 (ko) 2001-07-19

Family

ID=7308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702U Expired - Lifetime KR200230871Y1 (ko) 2000-11-02 2000-11-02 교량 및 구조물 철근이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8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923B1 (ko) * 2000-12-06 2003-03-29 김영찬 삽입식 이형철근용 이음장치와 그 체결 방법
KR20200078815A (ko) * 2018-12-24 2020-07-02 김종천 걸쇠 일체형 이형철근 이음장치
CN117259610A (zh) * 2023-11-10 2023-12-22 邯郸富鑫达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盘螺钢筋的矫直对焊装置及对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923B1 (ko) * 2000-12-06 2003-03-29 김영찬 삽입식 이형철근용 이음장치와 그 체결 방법
KR20200078815A (ko) * 2018-12-24 2020-07-02 김종천 걸쇠 일체형 이형철근 이음장치
KR102192741B1 (ko) * 2018-12-24 2020-12-17 김종천 걸쇠 일체형 이형철근 이음장치
CN117259610A (zh) * 2023-11-10 2023-12-22 邯郸富鑫达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盘螺钢筋的矫直对焊装置及对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54392A (en) Method of joining concrete bodies
US20040071507A1 (en) Reinforcing bar coupling
KR101988611B1 (ko)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EP0200298B1 (en) Improvements in pile sections
US20050072103A1 (en) Coupling device
US5664902A (en) Tubular coupler for concrete reinforcing bars
KR102743300B1 (ko) 철근 커플러
KR200230871Y1 (ko) 교량 및 구조물 철근이음구
KR200192465Y1 (ko) 철근 이음쇠
KR20190064240A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및 그 철근 연결용 커플링을 이용한 연결방법
GB2172038A (en) Pile sections and joints
RU105647U1 (ru) Муфт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тержневой арматуры
KR100309611B1 (ko) 철근 연결구
KR200370224Y1 (ko) 철근 연결구
KR200230872Y1 (ko) 교량 및 구조물 철근이음구
KR101552321B1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방법
KR100345181B1 (ko) 철근 이음쇠
KR100691756B1 (ko) 철근 연결구
KR200163889Y1 (ko) 철근 이음쇠
KR102718505B1 (ko) 타격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200210602Y1 (ko) 슬리브결합형 철근이음쇠
KR200314037Y1 (ko) 체결이 용이한 철근 이음장치
KR101116703B1 (ko) 철근 커플러
KR20020081966A (ko) 철근연결구조 및 철근연결장치
JP3676711B2 (ja) セグメント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11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5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102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2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20619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6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1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