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30765Y1 - 조립식 옹벽 블록 - Google Patents

조립식 옹벽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765Y1
KR200230765Y1 KR2020010004195U KR20010004195U KR200230765Y1 KR 200230765 Y1 KR200230765 Y1 KR 200230765Y1 KR 2020010004195 U KR2020010004195 U KR 2020010004195U KR 20010004195 U KR20010004195 U KR 20010004195U KR 200230765 Y1 KR200230765 Y1 KR 200230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block
prefabricated retaining
prefabricated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행래
Original Assignee
극동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극동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10004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7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76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법면 보호를 위한 조립식 옹벽 블록으로서,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의 하부면에 상기 오목홈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조립식 옹벽 블록의 적층시 상기 오목홈과 결합되는 볼록홈과, 상기 오목홈과 상기 볼록홈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배수구와,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의 상부 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된 운반용 앵커철근과,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의 하부에 상기 운반용 앵커철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조립식 옹벽 블록의 적층시 상기 운반용 앵커철근을 수용하는 앵커철근 수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교량의 교대 성토 마무리부분이나 도로의 성토 또는 절토부분의 낮은 옹벽 설치구간에 적합하며, 겨울철 물의 동결·융해로 인한 옹벽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고, 운반 및 연결도 용이하다.

Description

조립식 옹벽 블록 {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본 고안은 조립식 옹벽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교량의 교대 성토 마무리부분이나 도로의 성토 또는 절토부분의 낮은 옹벽 설치구간에 적합한 조립식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에 옹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옹벽의 건설위치에 옹벽의 설치 높이에 대응되도록 터파기를 하고 바닥에 10cm 정도의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조립을 실시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을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옹벽을 설치할 경우, 공사기간이 장기화 될 뿐 아니라,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공사 후에는 많은 쓰레기, 폐수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팅부에서 벽체로 올라가면서 항상 단면변화가 있어 시공성이 떨어지고 품질관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도심지에서 공사하는 경우에는 교통소통 및 통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통행인의 안전을 위협한다는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대규모 공장생산으로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교량의 교대 성토 마무리부분이나 도로의 성토 또는 절토부분의 낮은 옹벽 설치구간에 적합하며, 복잡한 시가지 등에서도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식 옹벽 블록에 배수구를 형성함으로써, 배수처리가 매우 용이하고 겨울철 물의 동결·융해로 인한 옹벽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식 옹벽 블록에 앵커철근이 설치되어 있어 운반 및 조립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하좌우 일체형이 되어 구조적으로 매우 안전한 조립식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설치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6의 설치평면도이며,
도 11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을 성토지에 축조한 경우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1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을 절토지에 축조한 경우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립식 옹벽 블록 20 : 앵커철근
30 : 앵커철근 수용홈 40 : 배수구
50 : 오목홈 60 : 볼록홈
70 : 오목형상 단턱 80 : 볼록형상 단턱
90 : 조립공 100 : 요철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법면을 보호하고 토지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조립식 옹벽 블록으로서,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의 하부면에 상기 오목홈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조립식 옹벽 블록의 적층시 상기 오목홈과 결합되는 볼록홈과, 상기 오목홈과 상기 볼록홈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배수구와, 상기 조립식 옹벽블록의 상부 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된 운반용 앵커철근과,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의 하부에 상기 운반용 앵커철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조립식 옹벽 블록의 적층시 상기 운반용 앵커철근을 수용하는 앵커철근 수용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상부면에는 오목홈(50)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하부면으로서 상기 오목홈(5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볼록홈(6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상하부면에 오목홈(50)과 이에 대응되는 볼록홈(60)을 각각 형성하는 것에 의해,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적층시에 하부에 놓여지는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오목홈(50)과 상부에 놓여지는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볼록홈(60)이 결합됨으로써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전후좌우의 이동을 억제하여 보다 견고하게 적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에는 상기 오목홈(50)과 상기 볼록홈(60)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배수구(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하게 되면, 상기 축조된 옹벽의 상부면에 스민 물 등은 상기 배수구(40)를 통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다.이에 따라, 겨울철 물의 동결 융해로 인한 옹벽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상부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에 붙박이로 부착되는 운반용 앵커철근(2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은 그 상부면에 운반용 앵커철근(20)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운반이 보다 용이해진다.
즉,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을 운반하고자 할 때에 상기 운반용 앵커철근 (20)에 줄 등을 연결하여 운반하면 적은 힘을 들이고도 많은 조립식 옹벽 블록을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하부로서 상기 운반용 앵커철근(2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운반용 앵커철근(20)을 수용하는 앵커철근 수용홈(3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하부면에 앵커철근 수용홈(30)을 형성함으로써,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적층시에 상기 운반용 앵커철근(20)이 상기 앵커철근 수용홈(30)에 완전히 들어가게 되어,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들을 평편하게 적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은 모따기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따기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시공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물에 대한 중압감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일례에서는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측면에 단턱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은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전단부를 제외한 일측면의 하부에는 오목형상 단턱(70)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의 하부에는 상기 오목형상 단턱(70)에 대응되는 볼록형상 단턱(80)으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일례의 설치평면도이다.
상기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일례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측면이 오목형상 단턱(70)과 이에 대응되는 볼록형상 단턱(8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적층시에 하나의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일측면의 오목형상 단턱(70)과 그 옆에 놓여지는 또 다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일측면의 볼록형상 단턱(80)이 상호 결합되어, 옹벽을 보다 견고하게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오목형상 단턱(70)의 상부 및 상기 볼록형상 단턱(80)에는 조립공(9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오목형상 단턱(70)의 상부 및 볼록형상 단턱(80)에 조립공(90)이 형성되어 있으면, 상호 맞물린 오목형상 단턱(70)과 볼록형상 단턱(80)의 조립공(90)에 철근 등을 삽입하여 조립함으로써,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적층을 더욱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이의 측면도이며, 도 8은 이의 정면도이고, 도 9는 이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전단부는 후단부에 비해 폭이 넓고 양측면에는 요철부(1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후단부는 전반부에 비해 폭이 좁고 양측면에는 체결용 앵커철근(20)이 설치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또 다른 일례의 설치평면도이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전단부 양측면에는 요철부(100)가 형성되고, 후단부 양측면에는 체결용 앵커철근(20)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적층시에 하나의 조립식 옹벽 블록(10) 측면의 요철부(100)와 그 옆에 놓여지는 또 다른 조립식 옹벽 블록(10) 측면의 요철부(100)가 맞물리게 되어, 옹벽을 보다 견고하게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 측면에 설치된 체결용 앵커철근(20)과 그 옆에 놓여지는 또 다른 조립식 옹벽 블록(10) 측면에 설치된 체결용 앵커철근(20)을 철근 등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옹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들을 연결할 때에 그 연결을 보다 확실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을 성토지에 축조한 경우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1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을 절토지에 축조한 경우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을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을 따라 적층함으로써,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법면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지의 이용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은 그 상부에 설치된 운반용 앵커철근(20)에 줄 등을 연결하여 옹벽 축조지까지 용이하게 운반된다.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은 전단부는 도로 또는 차도를 향하도록, 후단부는 토사부쪽으로 놓여진다. 즉,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전단부는 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후단부는 옹벽의 배면을 형성하도록 놓여진다.
옹벽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할 때에는, 상부에 놓여지는 조립식 옹벽 블록(10)에 형성된 볼록홈(60)이 하부에 놓여지는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홈(50)에 결합되어 상하부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배수구(40)가 수직이 되도록 적층한다.
또한, 하부에 놓여지는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상부면에 설치된 운반용 앵커철근(20)이 상부에 놓여지는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하부에 형성된 앵커철근 수용홈(30)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적층한다.
옹벽을 수평방향으로 적층할 때에는, 하나의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오목형상 단턱(70)이 그 옆에 놓여지는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볼록형상 단턱(80)에 결합되도록 적층한다. 이때, 오목형상 단턱(70) 및 볼록형상 단턱(80)에 조립공(90)이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조립공(90)에 철근을 삽입한다.
또는, 하나의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요철부(100)가 그 옆에 놓여지는 또 다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요철부(100)에 맞물리도록 적층한다. 이때, 하나의 조립식 옹벽 블록(10) 일측면의 체결용 앵커철근(20)과 그 옆에 놓여지는 또 다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일측면에 설치된 체결용 앵커철근(20)은 서로 철근 등으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은 상기 오목홈(50), 상기 볼록홈(60), 상기 오목형상 단턱(70), 상기 볼록형상 단턱(80) 및 상기 조립공(90)이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조립식 옹벽 블록 상호간이 일체를 형성함으로써, 조립식 옹벽 블록(10)의 적층 작업 후 배면 토사에 의한 슬라이딩, 전도, 지지력 등에 대해 구조적으로 매우 안전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경우, 옹벽의 높이는 1.5m 이내인 것이 효과적이다. 옹벽의 길이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므로 필요에 따라 연장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블록(10)을 사용하여 축조된 옹벽의 최상부면에는 옹벽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배수구(4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옹벽의 최상부에 고인 물이 신속하게 배수됨으로써, 겨울철 물의 동결·융해로 인한 조립식 옹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옹벽 블록은 대규모 공장생산으로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옹벽 블록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법면을 보호하고 토지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의 교대 성토 마무리부분이나 도로의 성토 또는 절토부분의 낮은 옹벽 설치구간에 적합하며, 복잡한 시가지 등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옹벽 블록은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어, 배수처리가 매우 용이하므로 겨울철 물의 동결·융해로 인한 옹벽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옹벽 블록은 앵커철근이 설치되어 있어 운반 및 조립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오목홈, 볼록홈 및 요철부 등이 상호 결합되어 상하좌우 일체형이 되므로 구조적으로 매우 안전하다.

Claims (4)

  1.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법면 보호를 위한 조립식 옹벽 블록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의 상부면에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의 하부면에 상기 오목홈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조립식 옹벽 블록의 적층시 상기 오목홈과 결합되는 볼록홈과,
    상기 오목홈과 상기 볼록홈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배수구와,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의 상부 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된 운반용 앵커철근과,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의 하부에 상기 운반용 앵커철근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조립식 옹벽 블록의 적층시 상기 운반용 앵커철근을 수용하는 앵커철근 수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의 전단부를 제외한 일측면의 하부는 오목형상 단턱을 형성하고, 타측면의 하부는 상기 오목형상 단턱에 대응되게 볼록형상 단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블록.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상 단턱의 상부 및 상기 볼록형상 단턱에 조립공이 더욱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의 전단부는 후단부에 비해 폭이 넓고 양측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식 옹벽 블록의 후단부는 전단부에 비해 폭이 좁고 양측면에는 체결용 앵커철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옹벽 블록.
KR2020010004195U 2001-02-19 2001-02-19 조립식 옹벽 블록 Expired - Lifetime KR200230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195U KR200230765Y1 (ko) 2001-02-19 2001-02-19 조립식 옹벽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195U KR200230765Y1 (ko) 2001-02-19 2001-02-19 조립식 옹벽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765Y1 true KR200230765Y1 (ko) 2001-07-19

Family

ID=7309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195U Expired - Lifetime KR200230765Y1 (ko) 2001-02-19 2001-02-19 조립식 옹벽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7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3219A (ko) 부벽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옹벽
KR200230765Y1 (ko) 조립식 옹벽 블록
JP2518390Y2 (ja) 張出歩道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張出歩道構造
KR100981323B1 (ko) 프리캐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CN214530143U (zh) 一种装配式亲水栈道
JP3124904U (ja) 道路用路肩ブロック
JP2005097999A (ja) 張り出し歩道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土台部ブロック
KR101153717B1 (ko) 다웰바를 구비하고 배수홈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시공방법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KR100488130B1 (ko) 조립식 옹벽
JP3453563B2 (ja) 排水路用の側溝
KR20050105768A (ko) 단위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철근을 커플러로 상호연결하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설치한 커플러텐션조립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CN112031002A (zh) 桩承式生态护坡及施工方法
JP3475906B2 (ja) 自由勾配型函渠側溝
US6902353B2 (en) Top block for retaining wall
JPH06207417A (ja) プレキャスト重力式擁壁組立ブロック
JPH0439336Y2 (ko)
JP4058170B2 (ja) 道路横断溝構造
KR200297480Y1 (ko) 조립식 옹벽
KR200332264Y1 (ko) 녹화용 옹벽구조
KR200248505Y1 (ko) 배수 기능을 겸비한 보도블록
KR200305605Y1 (ko) 도로의 이동식 중앙 분리대
KR100793684B1 (ko) 조립식 수직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277716Y1 (ko) 에프알피 케이블을 이용한 콘크리트블록 도로 옹벽구조
JPH043934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2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5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2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1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6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