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9813Y1 -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813Y1
KR200229813Y1 KR2020010003128U KR20010003128U KR200229813Y1 KR 200229813 Y1 KR200229813 Y1 KR 200229813Y1 KR 2020010003128 U KR2020010003128 U KR 2020010003128U KR 20010003128 U KR20010003128 U KR 20010003128U KR 200229813 Y1 KR200229813 Y1 KR 200229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control unit
engine
unit
accelerator ped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웅지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웅지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웅지개발
Priority to KR2020010003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8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81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도난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악셀레이터 페달부와 엔진의 스로틀 밸브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양단에 각각 전자석과 이에 선택적으로 붙게되는 금속의 작동판을 설치하고 차량에 상기 전자석의 전원인가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한 뒤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부를 도난방지 상태로 설정시키면 전자석에 전원이 단락되도록 하여 작동판을 작동시킬 수 없도록 함으로써 악셀레이터 페달부와 엔진의 스로틀밸브의 연결을 끊어주도록 하여 엔진으로의 급기와 연료의 공급의 차단을 통해 차량의 운전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Burglar prevention system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 도난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악셀레이터 페달부와 엔진의 스로틀 밸브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양단에 각각 전자석과 이에 선택적으로 붙게되는 금속의 작동판을 설치하고 차량에 상기 전자석의 전원인가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한 뒤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부를 도난방지 상태로 설정시키면 전자석에 전원이 단락되도록 하여 작동판을 작동시킬 수 없도록 함으로써 악셀레이터 페달부와 엔진의 스로틀밸브의 연결을 끊어주도록 하여 엔진으로의 급기와 연료의 공급의 차단을 통해 차량의 운전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선행기술로 알려진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는 출원인이 선출원한 한국 특허 2000-32598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복잡한 구성의 구동부와 해지부, 동력전달 케이블 등 대단히 많은 작동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어서 부품의 제작과 조립공정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제조원가의 상승이 초래되어 구매의욕의 저하를 초래하였던 것이며,
또한 많은 작동부품으로 인해 고장의 발생률이 크게되고 전체적인 외형의 크기가 증가되어 차량에의 장착과정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설치가 용이하고 원가절감을 도모 할 수 있으면서도 도난 방지 기능이 월등한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중파 신호를 수신 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전원의 인가가 결정되는 원통형의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의 전원인가 시 전자석의 자력을 통해 전자석과 일체로 붙게되는 금속 재질의 작동판과, 상기 전자석을 상시 작동판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잔자석의 이동시 원위치 복귀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발 스프링과, 상기 전자석, 작동판, 탄발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작동부와; 상기 전자석과 작동판의 일측면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 고정되며 타단은 악셀레이터 페달부와 엔진의 스로틀 밸브에 연결 고정되는 작동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연결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난방지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의 작동을 보이는 요부 절개도.
도 4는 본 고안의 도난방지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의 작동을 보이는 요부 절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어부 20:작동부
21:전자석 22:작동편
23:탄발 스프링 24:하우징
30,30':작동와이어 40:리모트 콘트롤러
50:액셀레이커 페달부 60:엔진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고안 장치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리모트 콘트롤러(40)(이하 리모콘이하 약칭함)를 통해 공중파 신호를 수신 받으며 제 1 및 제 2제어부(11)(12)를 구비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의 작동에 의해 엔진(60)과 악셀레이터 페달부(50)간의 동력을 연결 또는 단락시키기 위한 작동부(20)와; 상기 작동부(20)의 작동을 엔진()의 스로틀 밸브와 악셀레이터 페달부(50)에 전동시키기 위한 작동 와이어(30)(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20)는 상기 제어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0)의 설정에 의해 전원의 인가가 결정되는 원통형의 전자석(21)과, 상기 전자석(21)의 전원인가 시 전자석의 자력을 통해 전자석(21)과 일체로 붙게되는 금속 재질의 작동판(22)과, 상기 전자석(21)을 상시 작동판(22)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전자석(21)의 이동시 원위치 복귀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발 스프링(23)과, 상기 전자석(21), 작동판(22), 탄발 스프링(23)을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의 하우징(2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10)는 서, 자동차 도난 시에 리모콘(40)을 작동시키면 제 1제어부(11)가 신호를 받아서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나 만약 제 1제어부(11)가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는 공중파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도난 방지를 도모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제 1제어부(11)가 고장났을 때를 대비하여 제 2제어부(12)를 가지며,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제어부(11)의 고장 시에 공중파 신호를 제 2제어부(12)가 수신하여 동작하게 됨으로써 안정성을 더욱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4)은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자석(21)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자력에 붙지 않는 비철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특정한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작동판(22)은 자력에 부착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전자석(21)과 작동판(22)은 하우징(24)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자석(21)은 탄발 스프링(23)에 의해 상시 작동판(22)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 이동력을 받게된다.
또한 작동판(22)에는 엔진(60)의 스로틀밸브와 연결된 작동와이어(30')가 연결 고정되며 전자석(21)에는 악셀레이터 페달부(50)와 연결된 작동와이어(30)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전자석(21)은 전선을 통해 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도 2는 작동부(20)의 작동전의 상태를 보인 것으로 전자석(21)은 탄발 스프링(23)의 탄발력에 의해 작동판(22)과 접촉된 상태로 최대한 작동판(22)쪽으로 밀려가 작동판(22)을 하우징(24)의 일측단에 밀어붙인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외부에서 리모콘(40)을 작동시켜 제어부(10)의 도난방지를 해제하게 되면 전자석(21)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력에 의해 작동판(22)이 전자석(21)에 강력하게 일체로 부착된다.
따라서 차량에 착석하여 도 1의 점선 도시와 같이 악셀레이터 페달부(50)를 밟으면 도 3에서와 같이 작동와이어(30)가 전자석(21)과 작동판(22)을 당겨 엔진(60)의 스로틀밸브에 연결된 작동와이어(30')를 당기게 되어 자동차는 주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한 다음 리모콘(40)을 이용하여 제어부(10)를 도난방지 상태로 설정하게 되면 제어부(10)에서 전자석(21)의 전원을 단락시켜 자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무단 침입자가 차량에 침투하여 엑셀레이터 페달부(50)를 밟더라도 도 4에서와 같이 자력을 갖지 못하는 전자석(21)만 당겨지고 작동판(22)은 그대로 있게되어 엔진에 급기와 연료의 공급을 행할 수 없게되어 차량을 운전할 수 없게되어 차량 도난이 방지된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작동부의 구성이 단순하고 콤팩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어 차량에의 장착이 용이하고 부품의 제작과 조립공정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조원가가 저렴하여 적용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고장의 발생률이 적어 품질에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리모트 콘트롤러(40)(이하 리모콘이하 약칭함)를 통해 공중파 신호를 수신 받으며 제 1 및 제 2제어부(11)(12)를 구비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의 작동에 의해 엔진(60)과 악셀레이터 페달부(50)간의 동력을 연결 또는 단락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0)의 설정에 의해 전원의 인가가 결정되는 원통형의 전자석(21)과, 상기 전자석(21)의 전원인가 시 전자석의 자력을 통해 전자석(21)과 일체로 붙게되는 금속 재질의 작동판(22)과, 상기 전자석(21)을 상시 작동판(22)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전자석(21)의 이동시 원위치 복귀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발 스프링(23)과,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석(21), 작동판(22), 탄발 스프링(23)을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의 하우징(24)으로 구성되는 작동부(20)와;
    상기 작동부(20)의 작동을 엔진()의 스로틀 밸브와 악셀레이터 페달부(50)에 전동시키기 위한 작동 와이어(30)(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KR2020010003128U 2001-02-09 2001-02-09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29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128U KR200229813Y1 (ko) 2001-02-09 2001-02-09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128U KR200229813Y1 (ko) 2001-02-09 2001-02-09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339A Division KR20010087760A (ko) 2001-02-09 2001-02-09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813Y1 true KR200229813Y1 (ko) 2001-07-19

Family

ID=7306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12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9813Y1 (ko) 2001-02-09 2001-02-09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8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3070A (en) Motor vehicle fuel-waste indicator
EP2215351B1 (en) Vehicular power system
JPS60229845A (ja) 自動車輛のための内蔵式盗難防止装置
KR20040036265A (ko) 쉬프트레버의 쉬프트록 장치
US5714807A (en) Anti-theft lock for automotive vehicles which locks an automatic transmission
KR200229813Y1 (ko)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KR20010087760A (ko)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JPS632755A (ja) 自動車の取付け穴に取付けられる音響装置用の盗難防止装置
JP6583867B1 (ja) アクセルペダルの踏み間違え時の自動車停止構造
KR200485221Y1 (ko) 자동차 엔진 비상 정지 장치
US6275024B1 (en) Device for electronically transforming displacement of automobile accelerator lever
US6253731B1 (en) Throttle valve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319169B1 (en) Magnetic brake for a transmission lock
US2453236A (en) Theft-preventing locking device for automobiles and the like
JP2022163639A (ja) アクセル踏み間違いによる加速を抑制する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0414049B1 (ko)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
KR20040100352A (ko) 전자제어식 쓰로틀장치
KR100413319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코일조립체 고정장치
US20060086199A1 (en) Throttle cable dis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515633B1 (ko)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KR100311159B1 (ko) 차량용 배기 브레이크 시스템의 솔레노이드 밸브
JPH076419Y2 (ja) キーレスエントリ機構起動用スイツチ取付構造
KR200300175Y1 (ko)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KR200311921Y1 (ko)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
KR200279881Y1 (ko) 차량의 도난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09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4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2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2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5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