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9097Y1 - 힌지를 개폐축으로 하는 여닫이식 문짝의 개폐각도조절용 돌쩌귀 - Google Patents

힌지를 개폐축으로 하는 여닫이식 문짝의 개폐각도조절용 돌쩌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097Y1
KR200229097Y1 KR2019980020024U KR19980020024U KR200229097Y1 KR 200229097 Y1 KR200229097 Y1 KR 200229097Y1 KR 2019980020024 U KR2019980020024 U KR 2019980020024U KR 19980020024 U KR19980020024 U KR 19980020024U KR 200229097 Y1 KR200229097 Y1 KR 200229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losing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348U (ko
Inventor
정옥교
Original Assignee
정옥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옥교 filed Critical 정옥교
Priority to KR2019980020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09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3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3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097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힌지를 개폐축으로 하는 여닫이식 문짝의 개페각도조절용 돌쩌귀에 관한것으로서 종래의 여닫이식 문짝의 개폐축으로 사용되는 힌지는 문짝이 중심측 주위에서 서로 회동하는 구조로서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불가능하여 잠그기 전에는 정확하게 닫을 수 없고 과다하게 열림으로서 옆물체에 접촉하는 등 문제점이 많아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힌지로 착설된 여닫이식 문짝에 보조구로 비틈 스프링이 장치된 돌쩌귀를 착설하여 문짝이 열릴때에는 90도각도에서 정지케하고 정확하게 닫히며 다양하게 열린상태에서도 열린 각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문작의 개폐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문틀고정판(1)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돌편(1a)(1b)과 문짝고정판(2)에 형성된 지지돌편(2a)(2b)에 축(4)에 의하여 연결된 좌편(6)과 우편(7)을 축봉(3),(5)으로 각각 축착하되, 축(3)에 비틈스프링(9)을 권설하여 비틈스프링(9)의 일단이 문틀고정판(1)에 걸쳐지고 타단이 좌편(6)의 절결부(6a)를 거쳐서 축(4)에 권착하여 비틈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하여 문짝의 개폐각도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를 개폐축으로 하는 여닫이식 문짝의 개폐각도조절용 돌쩌귀이다.

Description

힌지를 개폐축으로 하는 여닫이식 문짝의 개폐각도조절용 돌쩌귀
본 고안은 힌지를 개폐축으로 하는 여닫이식 문짝의 개폐각도조절용 돌쩌귀에 관한것으로서 여닫이식 문짝의 개폐축으로 힌지를 사용할 때는 장착이 간편하나 문짝이 중심축 주위에서 자유롭게 회동할수 있는 구조로서 문짝의 개패각도조절이 안되어서 문짝이 열려 있을때 바람에 의하여 덜거덕 거리고 필요이상으로 과도하게 열려서 옆자리에 불편을 주거나 문짝을 닫을때도 정확한 위치에 놓여지지 아니하는 등 잠그기 전에는 불안정 상태에 놓여 있어서 불편함을 면치 못하였으므로 종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문짝이 과도하게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끈을 매달거나 문턱에 지지턱을 장치하기도 히였으나 외관상으로나 작용효과면에서 문제점이 있었고 중간쯤 열려 있을때에는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힌지가 개폐축으로 된 여닫이식 문짝에 비틈스프링으로 장치된 돌쩌귀를 장착하기 위하여 문짝이 열릴때에는 최대한 90도 각도에 정지케 하여 옆자리에 위치한 물체나 문짝에 닿거나 막아서 지장이 없게하고 개폐도중 일단 정지가 가능하며 닫을때에는 정확하게 자동으로 닫히어 완전히 밀폐가 가능하게 창안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돌쩌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돌쩌귀가 배면에 장치된 여닫이식 문짝이 90도 각도로 열려서 멈춘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돌쩌귀가 배면에 장치된 여닫이식 문짝이 닫힌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로서
(가)는 본 고안의 돌쩌귀가 배면에 장치된 여닫이식 문짝이 닫힌 상태 개략도
(나)는 본 고안의 돌쩌귀가 배면에 장치된 여닫이식 문짝이 반쯤 열려서 정지된 상태 개략도
(다)는 본 고안의 돌쩌귀가 배면에 장치된 여닫이식 문짝이 90도 각도에서멈추어서 열린 상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틀고정판 1a,1b : 지지돌편 2 : 문짝고정판 2a,2b : 지지돌편 3,4,5 : 축
6 : 좌편 6a : 절결부 7 : 우편 9 : 비틈스프링 10 : 문짝 11 : 문틀 12 : 힌지
본 고안은 문틀고정판(1)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돌편(1a)(1b)과 문짝고정판(2)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돌편(2a)(2b)에 축(4)에 의하여 연결된 좌편(6)과 우편(7)을 축(3)(8)으로 각각 축착하되, 축(3)에 비틈스프링(9)을 권설하여 비틈스프링(9)의 일단이 문틀고정판(1)에 걸쳐지고 타단이 좌편(6)의 절결부(6a)를 통하여 축(4)에 권착하여 비틈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하여 문짝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돌쩌귀이다. 미설명 부호 10은 문짝, 11은 문틀, 12는 힌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힌지(12)를 개폐축으로 하는 여닫이식 문짝(10)에 착설하는 각도조절용 보조구로서 본 고안의 돌쩌귀가 착설된 문짝(10)을 열때에는 손잡이(표시아니함)를 잡고 문짝(10)을 30도 각도로 약간만 열어주면 일단이 축(3)에 탄치되고 타단이 축(4)에 탄지된 비틈스프링(9) 코일의 탄발력에 의하여 좌편(6)과 더불어 문짝(10)이 바깥쪽으로 밀려서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이때 도 2와 도 4의 (다)에 도시한바와 같이 문짝(10)이 90도각도에 이르러서 우편(7)의 측면에 문짝(10)의 안쪽모서리가 닿아서 문짝(10)의 회동을 저지하므로서 문짝(10)이 더이상 열리지 아니하므로 문짝(10)이 지나치게 열려서 인접된 물체나 또다른 문짝 등에 장해가 되지 아니하면서도 문짝(10)은 90도각도로 열린 상태에서 제어된다. 또한 본 고안의 돌쩌귀를 보조적으로 문짝(10)을 달면 낌새가 없이 정확하게 닫아서 밀폐된다. 즉, 도 4의 (가)에 도시한바와 같이 문짝(10)을 닫을때 문짝을 약간만 안쪽으로 밀어주면 우편(7)이 문짝(10)의 회동에 따라 처음에는 우편(7)이 좌편(6)을 안쪽으로 밀어주다가 길이가 짧은 우편(7)이 안쪽으로 접어지면서 좌편(6)을 밀어주고 있던 힘이 완전히 상실되면서 동시에 비틈스프링(9)의 탄발력이 작용되어 우편(7)을 문틀(11)쪽으로 밀어준다. 이때 문짝(10)에 힌지(12)가 지지되어 있어서 문틀(11)쪽으로 더 이상 밀어지지 아니하고 도리어 안쪽으로 당겨주므로서 우편(7)에 고정된 문짝(10)이 자연스럽게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돌쩌귀는 비틈스프링(9)에 의하여 문짝(10)을 탄지하고 있이서 다각도로 열린상태에 있어서도 안정적으로 열린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돌쩌귀 1개만 힌지를 개폐축으로 하는 여닫이식 문짝의 안쪽에 보조적으로 장착하면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문짝을 90도각도로 열린상태를 고정하는 동시에 다각도로 개폐를 조정할 수 있고 문짝을 정확하게 닫고 안정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문틀고정판(1)에 형성된 지지돌편(1a)(1b)과 문짝고정판(2)에 형성된 지지돌편(2a)(2b)에 축(4)에 의하여 연결된 좌편(6)과 우편(7)을 축(3)(5)으로 각각 축착하되, 축(3)에 비틈스프링(9)을 권설하여 비틈스프링(9)의 일단이 문틀고정판(1)에 걸쳐지고 타단이 좌편(6)의 절결부(6a)를 거쳐서 축(4)에 권착하여 비틈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하여 문짝의 개폐각도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를 개폐축으로하는 여닫이식 문짝의 개폐각도조절용 돌쩌귀
KR2019980020024U 1998-10-20 1998-10-20 힌지를 개폐축으로 하는 여닫이식 문짝의 개폐각도조절용 돌쩌귀 KR200229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24U KR200229097Y1 (ko) 1998-10-20 1998-10-20 힌지를 개폐축으로 하는 여닫이식 문짝의 개폐각도조절용 돌쩌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24U KR200229097Y1 (ko) 1998-10-20 1998-10-20 힌지를 개폐축으로 하는 여닫이식 문짝의 개폐각도조절용 돌쩌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48U KR20000008348U (ko) 2000-05-15
KR200229097Y1 true KR200229097Y1 (ko) 2001-10-29

Family

ID=69516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024U KR200229097Y1 (ko) 1998-10-20 1998-10-20 힌지를 개폐축으로 하는 여닫이식 문짝의 개폐각도조절용 돌쩌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0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351B1 (ko) * 2012-02-14 2015-07-16 이동성 플랩 도어용 보조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8841A (zh) * 2021-02-23 2021-06-01 李泽华 一种双轴转臂合页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351B1 (ko) * 2012-02-14 2015-07-16 이동성 플랩 도어용 보조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48U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9097Y1 (ko) 힌지를 개폐축으로 하는 여닫이식 문짝의 개폐각도조절용 돌쩌귀
KR200438164Y1 (ko) 도어 개폐 유지장치
KR20110011174U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도어닫힘 방지장치
AU2001244212A1 (en) Fitting for a window or door
KR20200136571A (ko)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JP3221832B2 (ja) スライド式ピボット
KR200417970Y1 (ko) 고정이 용이한 경첩
KR200187635Y1 (ko) 도어 힌지
KR200168239Y1 (ko) 가구용 도어장치
JP3038107U (ja) 締結形板体開閉装置
JP3273702B2 (ja) カセット式丁番
JP2020139295A (ja) 補助ドアクローザおよび開き戸構造体
JPH06158950A (ja) 観音開き扉の召合せ装置
CN213573484U (zh) 一种箱体箱门的支撑结构及具有该支撑结构的箱体
CN214104264U (zh) 可调节拉伸转轴门
KR920002154Y1 (ko) 경 첩
KR960004189Y1 (ko) 각도조절식 경첩
AU2012202839B2 (en) Improvements in Window Fittings
JPH059412Y2 (ko)
KR100188300B1 (ko) 도어용 피벗힌지
SU1612072A1 (ru) Узел взаимной фиксации двух створок в открытом положении
JPH1193497A (ja) 4軸型蝶番
JP3593318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巻取軸支持装置
JP2000314125A (ja) 防水扉
JP2004100316A (ja) ヒ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102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2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4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4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0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