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8857Y1 - 바인더 - Google Patents

바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857Y1
KR200228857Y1 KR2020000033318U KR20000033318U KR200228857Y1 KR 200228857 Y1 KR200228857 Y1 KR 200228857Y1 KR 2020000033318 U KR2020000033318 U KR 2020000033318U KR 20000033318 U KR20000033318 U KR 20000033318U KR 200228857 Y1 KR200228857 Y1 KR 200228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inder
plate
vertical wall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수
Original Assignee
정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수 filed Critical 정종수
Priority to KR2020000033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85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적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바인더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서류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바인더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 표지의 중앙에 설치되어 서류 또는 속지 등을 철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인더에 있어서, 상단부에 홈부들을 구비한 수직벽이 일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에 탄성력을 가지면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면에는 서류등을 철할 수 있는 체결봉들이 고정되어 있는 체결판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본체; 상기 체결봉을 록킹시키기 위한 결합공들이 형성되고 수직벽에 탄성력을 가지면서 전후로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판과 수직벽의 절곡된 부위에는 걸림공들을 형성하고 그 걸림공들의 일측으로는 안내홈들을 내측으로 절곡 형성하며,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는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안내홈과 걸림공에 작동되면서 고정판이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바인더이다.

Description

바인더{A binder}
본 고안은 서류 또는 속지 등을 철하여 휴대하고 보관하는 바인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인더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록킹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서류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이 간편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바인더는 표지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일정 매수의 서류 또는 속지를 바인더 장식에 철하여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철하여진 서류를 빼내거나, 또는 새로운 서류 또는 속지를 끼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바인더는 통상 표지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면에는 서류 또는 속지를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체결봉들이 형성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체결봉을 록킹 및 해제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바인더는 고정판이 내측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이 외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체결봉을 록킹 및 해제하도록 함으로서 조그마한 충격에 의해서도 상기 체결봉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쉽게 열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고정판을 전후로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설치한 것이 있으나, 이는 그 사용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다. 즉 상기 체결봉을 록킹 및 해제하기 위해서는 그 때마다 상기 고정판을 밀거나 당겨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목적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바인더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서류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바인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표지의 중앙에 설치되어 서류 또는 속지 등을 철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인더에 있어서, 상단부에 홈부들을 구비한 수직벽이 일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에 탄성력을 가지면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면에는 서류등을 철할 수 있는 체결봉들이 고정되어 있는 체결판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본체; 상기 체결봉을 록킹시키기 위한 결합공들이 형성되고 수직벽에 탄성력을 가지면서 전후로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판과 수직벽의 절곡된 부위에는 걸림공들을 형성하고 그 걸림공들의 일측으로는 안내홈들을 내측으로 절곡 형성하며,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는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안내홈과 걸림공에 작동되면서 고정판이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상기 고정편에는 누름편을 형성하고 그 누름편이 위치되는 상기 지지판의 수직벽에는 반원형상의 안내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바인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서, 체결봉이 고정판의 걸림공에 걸려 지지된 상태도
도 3a와 도 3b는 도 1의 종단면도로서,
도 3a는 체결봉이 고정판의 걸림공에 걸려 지지된 상태도
도 3b는 고정판의 작동으로 체결판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바인더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판 12 - 수직벽
14 - 홈부 16 - 걸림공
18 - 안내홈 20 - 체결판
22 - 체결봉 24 - 걸림홈
26 - 제1힌지핀 28 - 제1스프링
30 - 고정판 32 - 돌기
34 - 제2힌지핀 36 - 제2스프링
38 - 결합공 39 - 체결공
40 - 누름편 42 - 안내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바인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서, 체결봉이 고정판의 걸림공에 걸려 지지된 상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1의 종단면도로서, 도 3a는 체결봉이 고정판의 걸림공에 걸려 지지된 상태도이고, 도 3b는 고정판의 작동으로 체결판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바인더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바인더는 지지판(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판(10)은 표지의 중간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10)의 일측면은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수직벽(12)을 구비하고, 이 수직벽(12)의 상단부에는 홈부(14)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벽(12)이 절곡 형성되는 부분에는 걸림공(16)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공(16)들의 일측으로는 안내홈(18)들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18)과 걸림공(16)에는 고정판(30)의 하단에 절곡 형성된 돌기(32)가 위치되도록 하여 고정판(30)의 회동 및 슬라이딩 동작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체결판(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체결판(20)은 상기 지지판(10)의 수직벽이 형성된 반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판(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제1힌지핀(26)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체결판(20)을 지지판(10)으로부터 회동가능 하게 축 역할을 하는 제1힌지핀(26)에는 제1스프링(28)이 설치되어 일단은 체결판(20)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지지판(10)의 내면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판(20)의 내측면에는 서류 또는 속지(미도시)가 찌워지는 체결봉(22)들이고정되어 있다. 이 체결봉(22)에는 걸림홈(24)을 형성하여 결합공(38)의 연장공에 결합되었을 때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판(30)이 구비되어 있다. 이 고정판(30)은 수직벽(12)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수직벽(12)에 슬라이딩됨은 물론 외측으로 회동가능 하도록 하여 체결공(39)을 록킹 및 해제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으로 이루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판(30)의 하단은 지지판(10)과 수직벽(12)의 절곡된 부분에서 제2힌지핀(34)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2힌지핀(34)에는 제2스프링(36)이 설치되어 일단은 고정판(30)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지지판(10)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스프링(36)에 의해 상기 고정판(30)이 슬라이딩 및 회전되면 복원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판(30)에는 상기 체결판(20)에 고정된 체결봉(22)을 록킹하거나 또는 록킹상태를 해제하도록 하기 위한 결합공(38)이 형성된다. 이 결합공(38)은 일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체결공(39)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9)은 체결공(39)을 록킹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공(39)의 직경과 동일직경 내지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고, 상기 결합공(38)은 체결공(39)이 삽입되거나 해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공(39)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판(30)에는 누름편(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편(40)은 상기 고정판(30)을 용이하게 눌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누름편(40)을 누를 때 손이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하기 위한 안내홈(42)을 상기 지지판(10)에 수직벽(12)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안내홈(42)은 반원형상으로 형성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b와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봉(22)에 서류 또는 속지의 구멍을 일치시켜 끼우고 제1힌지핀(26)을 중심으로 체결판(20)을 내측으로 회전시킨 후, 고정판(30)을 제2힌지핀(34)을 중심으로 수직벽(12)측으로 회전시키면 제2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해 돌기(32)가 안내홈(18)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봉(22)이 결합공(38)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체결공(39)에 고정되어 록킹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록킹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바인더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록킹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일정 매수의 서류 또는 속지를 바인더에 철하여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체결봉(22)에 철하여진 서류를 빼내거나 새로운 서류 또는 속지를 철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판(30)의 누름편(40)을 도 2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주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서류 또는 속지를 갈아 끼울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판(30)의 누름편(40)을 눌러 주게 되면 체결공(39)에 의해 록킹되어 있던 체결봉(22)이 결합공(38)으로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2힌지핀(34)에 끼워져 일단이 체결판(20)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지지판(10)에 고정되어 압축력을 받고 있던 제2스프링(36)에 의해 상기 체결판(20)은 제2힌지핀(3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3b와 도 4와 같은 상태로 됨으로 체결봉(22)에 끼워진 서류 또는 속지를 빼내거나, 새로운 서류 또는 속지를 끼울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바인더에 의하면, 충격에 의해서도 바인더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서류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고정판을 누르는 것에 의해 쉽게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또 고정판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쉽게 록킹시킬 수 있음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표지의 중앙에 설치되어 서류 또는 속지 등을 철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인더에 있어서,
    상단부에 홈부들을 구비한 수직벽이 일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에 탄성력을 가지면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면에는 서류등을 철할 수 있는 체결봉들이 고정되어 있는 체결판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본체;
    상기 체결봉을 록킹시키기 위한 결합공들이 형성되고 수직벽에 탄성력을 가지면서 전후로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판과 수직벽의 절곡된 부위에는 걸림공들을 형성하고 그 걸림공들의 일측으로는 안내홈들을 내측으로 절곡 형성하며, 상기 고정판의 하단에는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안내홈과 걸림공에 작동되면서 고정판이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에는 누름편을 형성하고 그 누름편이 위치되는 상기 지지판의 수직벽에는 반원형상의 안내홈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KR2020000033318U 2000-11-28 2000-11-28 바인더 Expired - Fee Related KR200228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318U KR200228857Y1 (ko) 2000-11-28 2000-11-28 바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318U KR200228857Y1 (ko) 2000-11-28 2000-11-28 바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857Y1 true KR200228857Y1 (ko) 2001-07-19

Family

ID=7306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31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8857Y1 (ko) 2000-11-28 2000-11-28 바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8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8616A (en) Cutter blade dispenser and disposer with slide biasing means and side located dispensing slot
KR930004498B1 (ko) 여행용 옷가방의 옷걸이 체결용 트롤리장치
US5092473A (en) Hang rail
KR950004912B1 (ko) 옷걸이 지지장치
KR200228857Y1 (ko) 바인더
KR200175314Y1 (ko) 옷걸이
KR101890032B1 (ko) 액자용 받침대
KR200285425Y1 (ko) 옷걸이
KR200164109Y1 (ko) 키홀더
KR200185089Y1 (ko) 옷걸이
KR200221875Y1 (ko) 바인더용 접철장치의 잠금구조
KR200488864Y1 (ko)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KR200164892Y1 (ko) 바인더용접철구
KR200337959Y1 (ko) 자동 열림 케이스를 구비한 펜세트
KR200183395Y1 (ko) 집게의 시건 장치
JP3905612B2 (ja) ハンガー支持棒
KR19980065954U (ko) 다기능 티슈 디스펜서
JP3453458B2 (ja) シート状物の保持具
KR200171213Y1 (ko) 포리백용 손잡이
KR200396185Y1 (ko) 보석함
KR100401413B1 (ko) 낚시릴의 핸들 절첩장치
KR200149514Y1 (ko) 바인더 장식
KR200315088Y1 (ko) 키홀더
JP3031706U (ja) 衣服用ハンガー
KR0114302Y1 (ko) 수첩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11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4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1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1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