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8535Y1 -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 - Google Patents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535Y1
KR200228535Y1 KR2020000032584U KR20000032584U KR200228535Y1 KR 200228535 Y1 KR200228535 Y1 KR 200228535Y1 KR 2020000032584 U KR2020000032584 U KR 2020000032584U KR 20000032584 U KR20000032584 U KR 20000032584U KR 200228535 Y1 KR200228535 Y1 KR 200228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binet
sides
opened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숙
Original Assignee
강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은숙 filed Critical 강은숙
Priority to KR2020000032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5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53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린터, 모니터, 본체,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세트 등을 보관하는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고, 받침대를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전방으로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여러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 다용도 수납장은 단순하게 수납하는 기능만을 가질 뿐 그 이상의 기능을 갖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를 다수의 층으로 구획하여 수납물을 보관하도록 하되,
수납장의 전면에 위치하는 도어는 양측이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고,
전방으로 인출되는 받침대의 양측으로 보조 받침대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의 한쪽만 열거나 닫아도 양측이 동시에 개폐되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 인출되는 받침대의 양측에 보조 받침대가 펼쳐지므로 필요한 기구를 올려놓을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A accepted furniture with open-close function of door}
본 고안은 프린터, 모니터, 본체,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세트 등을 보관하는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고, 받침대를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전방으로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여러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장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다수로 구획되어 있는 각각의 수납부에 가전제품이나 사무용기기와 같은 수납물을 보관하면서 필요한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프린터, 모니터, 본체 및 키보드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세트를 잘 보관하면서 필요할 때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거나 텔레비전과 브이시알(VCR)을 근거리에서 잘 보관하면서 필요할 때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거나 또는 라디오, 카세트 플레이서, CD 플레이어, 전축 및 스피커 등의 음향기기 세트를 적절히 보관하면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납장을 사용하는 경향이 많으며, 이들 가정이나 직장에서 사용하는 수납물들의 사용상태나 구조가 상이하여 하나의 수납장을 구입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수납장을 컴퓨터나 비디오 또는 오디오 등을 수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수납장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구나 수납장에 보관중인 수납물이 먼지나 다른 이물이 유입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수납장의 전면 개구부에 도어를 결합하였다.
상기 수납장의 전면에 결합되는 도어는 2쪽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양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에 개폐되도록 하는 회전식 도어를 설치하거나, 또는 수납장의 내벽 일측 또는 양측에 가이드레일을 고정한 상태에서 1쪽이나 2쪽의 도어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중에 개폐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납장용 도어는 모두 사용에 불편을 주었다.
즉, 전자인 회전식 도어의 경우에는 도어를 양쪽으로 잡아당기면서 열어야 하므로 전면에 도어의 개방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함은 물론,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열려진 도어에 사람이나 기물이 부딪치는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많아짐은 물론, 후자인 슬라이딩 도어의 경우에는 도어를 양쪽으로 밀거나 당겨야만 도어가 개폐되므로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도어를 양쪽으로 밀어주거나 당겨야 하므로 도어를 열기 위해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후면에 조명 기능을 갖추고 있는 수납장의 전면판에 선반 삽입 홈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취향과 필요에 따라 상기 선반 삽입 홈에 장식 선반을 삽입하여 수납장을 형성함으로써, 장식성과 조명 기능을 갖춘 수납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은 내부를 다수의 층으로 구획하여 수납물을 보관하도록 하되,
수납장의 전면에 위치하는 도어는 양측이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고,
전방으로 인출되는 받침대의 양측으로 보조 받침대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한쪽만 열거나 닫아도 양측이 동시에 개폐되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 인출되는 받침대의 양측에 보조 받침대가 펼쳐지므로 필요한 기구를 올려놓을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장의 외관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부를 나타낸 배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수단을 나타낸 전체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수단을 나타낸 일부사시도,
도 5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납장 2 : 가이드 레일
3 : 와이어 4 : 받침대
6, 8 : 보조 받침대 10, 20 : 도어
11, 21 : 로울러 22 : 권취 로울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로 구획되어 형성된 각각의 수납부(A)에 책이나 장식품 등을 수납시켜 보관하는 수납장(1)에 있어서,
수납장(1)의 전면 하단에는 가이드 레일(2)을 설치하여 도어(10)(20)의 로울러(11)(21)가 얹혀진 채 원활하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도어(10)에 일측이 고정된 와이어(3)의 타측은 도어(20)의 권취 로울러(22)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고,
상기 도어(10)의 로울러(11)와 동일한 직경으로 동일한 속도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20)의 로울러(21)에는 로울러(21)의 직경에 비해 2배의 직경을 갖는 상기의 권취로울러(22)가 동일한 축(23)에 축착되어 같이 회전하도록 하고,
전면을 개구시킨 수납장(1)의 내부 소정 높이에는 받침대(4)를 형성하면서 일반적인 가이드 레일과 로울러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고,
상기 받침대(4)의 양측에는 축(5)(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보조 받침대(6)(8)를 형성하여 작업에 필요한 물품을 선택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은 다수로 구획된 수납부(A)를 형성하여 책이나 장식품 등을 수납시켜 보관하도록 하되,
수납장(1)의 전면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에 의해 도어(10)(20)의 로울러(11)(21)가 얹혀진 채 원활하게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0)에는 와이어(3)의 일측을 고정하여 도어(10)와 같이 이송하도록 하는 한편, 와이어(3)의 타측은 도어(20)의 권취 로울러(22)에 지지된 상태에서 감기거나 풀리도록 한다.
한편, 두 도어(10)(20)의 로울러(11)(21)는 모두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여 동일한 속도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도어(20)의 로울러(21)에 형성된 축(23)에는 로울러(21)에 비해 2배의 직경을 가진 권취로울러(22)가 축착되어 같이 회전하므로 로울러(11)(21)에 비해 권취로울러(22)가 2배의 와이어(3)를 감거나 풀어주도록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도어(10)(20) 중 하나를 열어도 로울러(11)(21)에 의해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이동하는 도어(10)의 일측이 고정된 와이어(3)가 풀리게 되면서 권취 로울러(22)에 감기게 되고, 이때에는 로울러(11)(21)의 속도에 비해 2배속으로 회전하는 권취 로울러(22)에 의해 와이어(3)가 로울러(11)(21)의 이동거리에 비해 2배 만큼 풀리게 되어 도어(10)(20)가 양측으로 동시에 열리게 된다.
또한 도어(10)(20)가 닫히는 경우에는 상기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하나의 도어를 닫게 되면 양측이 동시에 닫히게 된다.
한편, 전면을 개구시킨 수납장(1)의 내부 소정 높이에는 일반적인 가이드 레일과 로울러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받침대(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컴퓨터의 키보드나 다른 수납물을 올려놓을 수 있고, 상기 받침대(4)를 인출시킨 상태에서는 양측에 형성된 보조 받침대(6)(8)를 축(5)(7)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면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에 필요한 물품을 선택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수납장(31)의 전면의 하단 양측에는 로울러(32)(33)와 가이더(34)(35)를 설치하고,
상기 로울러(32)(33)에는 양단을 일체로 연결한 링형 와이어(36)를 권취하여 가이더(34)(35)에 지지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링형 와이어(36)의 상부쪽과 하부쪽의 대칭되는 지점에는 두 도어(37)(39)의 고정부(38)(40)를 결합하여 하나의 도어를 열거나 닫는 경우에도 두 도어가 동시에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은 수납장의 전면에 위치하는 도어는 양측이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고,
전방으로 인출되는 받침대의 양측으로 보조 받침대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의 한쪽만 열거나 닫아도 양측이 동시에 개폐되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 인출되는 받침대의 양측에 보조 받침대가 펼쳐지므로 필요한 기구를 올려놓을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다수로 구획되어 형성된 각각의 수납부(A)에 책이나 장식품 등을 수납시켜 보관하는 수납장에 있어서,
    수납장(1)의 전면 하단에는 가이드 레일(2)을 설치하여 도어(10)(20)의 로울러(11)(21)가 얹혀지도록 하고,
    상기 도어(10)에 일측이 고정된 와이어(3)의 타측은 도어(20)의 권취 로울러(22)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고,
    상기 도어(20)의 로울러(21)에는 축(23)을 통하여 로울러(21)에 비해 2배의 직경을 갖는 상기의 권취 로울러(22)가 축착되도록 하고,
    전면을 개구시킨 수납장(1)의 내부 소정 높이에 형성된 받침대(4)의 양측에는 축(5)(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보조 받침대(6)(8)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31)의 전면의 하단 양측에는 로울러(32)(33)를 설치하고,
    상기 로울러(32)(33)에는 양단을 일체로 연결한 링형 와이어(36)를 권취하여 상기 수납장(31)의 전면에 형성한 가이더(34)(35)에 지지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링형 와이어(36)의 상부쪽과 하부쪽의 대칭되는 지점에는 두 도어(37)(39)의 고정부(38)(40)를 결합하여 하나의 도어를 열거나 닫는 경우에도 두 도어가 동시에 열리거나 닫히도록 형성한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
KR2020000032584U 2000-11-21 2000-11-21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 Expired - Fee Related KR2002285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84U KR200228535Y1 (ko) 2000-11-21 2000-11-21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84U KR200228535Y1 (ko) 2000-11-21 2000-11-21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535Y1 true KR200228535Y1 (ko) 2001-06-15

Family

ID=7306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58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8535Y1 (ko) 2000-11-21 2000-11-21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5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226A (ko) 2018-05-01 2019-11-11 이영선 수납가구에 부착되는 도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226A (ko) 2018-05-01 2019-11-11 이영선 수납가구에 부착되는 도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6906A (en) Entertainment center for storing electronic components
US4669790A (en) Multipurpose cabinet
US20080169734A1 (en) Television stand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20078865A1 (en) Media storage table
GB2345630A (en) Rotary bedroom cabinet
US5820238A (en) Cabinet
KR200228535Y1 (ko) 도어의 개폐수단을 갖는 수납장
US5860717A (en) Drawer stop device
US20080067901A1 (en) Pivoting Drawer Face
JP2532877Y2 (ja) 作業台
JP2000197530A (ja) 箪 笥
KR20030044524A (ko) 신발장
KR200233996Y1 (ko) 회전 수납 서랍을 갖는 장식장
JPH0690831A (ja) 家 具
JP2603568Y2 (ja) クロゼット
KR960005595Y1 (ko) 오디오 장식장
JPH0984643A (ja) キャビネット構造
KR200168321Y1 (ko) 보조테이블이 설치된 수납장
US20040217679A1 (en) Drawer stop device with dual-side mountable roller
KR20150004477U (ko) 거실장의 라운드형 서랍 개폐장치
KR200192793Y1 (ko) 장의 장식 변경장치
JP2003235656A (ja) キッチン用収納庫およびキッチン用収納庫の設置構造
KR200288618Y1 (ko) 보관함이 설치된 장롱
KR20230000347U (ko) 오디오 시스템을 구비한 콘솔
KR200429087Y1 (ko) 앨범수납부가 구비된 거실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112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4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1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1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