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8226Y1 - 체인식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체인식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226Y1
KR200228226Y1 KR2020000033874U KR20000033874U KR200228226Y1 KR 200228226 Y1 KR200228226 Y1 KR 200228226Y1 KR 2020000033874 U KR2020000033874 U KR 2020000033874U KR 20000033874 U KR20000033874 U KR 20000033874U KR 200228226 Y1 KR200228226 Y1 KR 200228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a hoop
fitting body
connection
chain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덕
Original Assignee
이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덕 filed Critical 이병덕
Priority to KR2020000033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2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22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인식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훌라후프를 통한 운동효과를 배가시키고,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지압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에 일체로 형성한 상,하 연결체와 타측의 끼움체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간과 연결간을 결합부재로서 연결하여 체인식으로 훌라후프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훌라후프를 회전할 시 연결간과 연결간의 조립부분 전,후 및 상, 하 동작에 의해 훌라후프 전체가 마치 타원형으로 어느 일측으로 몰리면서 회전되어 회전 시 힘이 어느 일측으로 쏠려 사용자의 허리운동을 늘리게 되므로 운동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고, 어느 일측으로 몰리는듯한 훌라후프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및 배 부분에 가해지는 힘이 강해져 지압효과를 크게 향상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체인식 훌라후프{Chain style hulahoop}
본 고안은 체인식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훌라후프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둥근테를 말하며, 사용자의 허리 움직임을 통해 허리둘레를 회전시켜 운동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 및 복부의 군살을 제거하는데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훌라후프는 둥근테의 훌라후프가 허리를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게 되어 운동이나 유희를 즐길 수 있으나, 단순한 원운동이므로 회전 시 안정감은 있으나, 허리에 미치는 힘이 약하여 운동의 효과가 별로 없는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근래 소개된 훌라후프를 살펴보면, 조립식으로 훌라후프를 구성하되, 훌라후프 내측에 수개의 지압돌기를 돌출 시켜 사용 시 지압돌기에 의한 사용자의 복부 지압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훌라후프는 지압효과는 있을 수 있으나, 역시 단순한 원운동이므로 사용자의 운동효과를 크게 향상시키지는 못한다.
본 고안은 훌라후프를 통한 운동효과를 배가시키고,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지압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여러개의 연결간을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시켜 체인식으로 훌라후프를 구성하고자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이 체인식은 조립 및 분해를 간단히 할 수 있다는 장점을 통해 비 사용시 보관이 용이하고, 이동에 간편성을 준다는 점이 있다. 또한, 연결간과 연결간 2개를 이용하여 훌라후프 이외에 악력기 등으로도 사용할 할 수 도 있어 다용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간과 연결간의 결합된 상태에서 훌라후프가 사용자의 허리를 중심으로 동작할 때 그 움직임을 전, 후로 움직이게 하여 연결부위가 전,후 및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훌라후프의 회전 시 사용자의 허리를 중심으로 대향된 꼭지점으로 훌라후프를 구성하는 연결간 들이 쏠리게 되어 마치 허리중심으로 타원형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면서 허리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의 허리운동에 힘을 가할 수 있게 유도되고, 결합부분의 지압돌기부가 사용자의 복부 상,하로 면접되면서 눌러주어 지압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연결간의 구성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연결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부의 구성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끼움체와 상부 지지구의 상호 작동 상태도
도 6은 도 5에 의한 본 고안의 연결간 회전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도 7에 의한 연결간의 분리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타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연결간 11,12 : 상,하 연결체 11',12' : 구멍
13 : 끼움체 13' : 요입부 13' : 구멍
13A,B : 돌기부 13 : 지압 돌기 20 : 결합 부재
21 : 상부 케이스 22 : 하부 케이스 23 : 압축 스프링
24 : 상부 지지구 24' : 구멍 24' : 걸림턱
24A,B : 캠부 24A' : 요홈부 25 : 하부 지지구
25' : 하부 내주면 26 : 받침 스프링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1에서와 같이, 일측에 일체로 형성한 상,하 연결체(11)(12)와 타측의 끼움체(13)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간(10)과 연결간(10)을 결합부재(20)로서 연결하여 체인식으로 훌라후프를 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 연결체(11)(12)는 결합부재(20)가 끼워질 수 있는 각각의 구멍(11')(12')를 가지며, 상부 연결체(11)와 하부 연결체(12)사이의 공간부에 끼움체(13)가 위치되어 결합부재(20)에 의해 결합되게 구성한다.
상기의 끼움체(13)는 상부 내측에 요입부(13')가 형성되고, 이 요입부(13')에 서로 대향적으로 돌기부(13A)(13B)를 형성하되, 중앙의 구멍(13')에 결합부재(20)가 끼워지게 구성하고, 끼움체(13)의 외주면에 다수의 지압돌기(13C)를 돌설하여 구성한다.
결합부재(20)는 상부 케이스(21)와 하부 케이스(22)내에 압축 스프링(23)을 설치하여 결합시키고, 상부 케이스(21)의 걸림환턱(21')을 상부 지지구(24)의 중앙에 뚫은 구멍(24')내 상단의 걸림턱(24')에 걸려지게 하며, 하부 케이스(22)의 걸림환턱(22')에 하부 지지구(25)의 하부 내주면(25')이 걸려지게 한 다음, 상부 지지구(24)의 외주면과 끼움체(13)의 내주면 사이에 받침 스프링(26)을 설치하며, 상기 받침 스프링(26)이 하부 지지구(25)의 상부 환턱(25')에 위치하게 구성하고, 끼움체(13) 상부 내측의 요입부(13')에 상부 지지구(24) 하방에 형성한 캠부(24A)(24B)를 안치하되, 상기 캠부(24A)(24B)가 요입부(13')에 서로 대향적으로 형성한 돌기부(13A)(13B)에 면접되게 끼워 맞춰 구성한다.
상기에서, 상부 지지구(24)의 캠부(24A)(24B)는 요입부(13')에 형성한 돌기부(13A)(13B)에 면접되지만 끼움체(13)회전 시 상기 캠부(24A)(24B)이외의 요홈부(24A')도 상기 돌기부(13A)(13B)에 면접됨과 동시에 캠부(24A)(24B)도 끼움체(13)의 요입부(13')에 면접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20)에 의해 연결간(10)의 상, 하 연결체(11)(12)와 끼움체(13)가 결합되면 상부 케이스(21)의 걸림환턱(21')이 상부 지지구(24)의 걸림턱(24')에 걸려짐과 동시에 압축 스프링(23)의 탄발에 의해 상,하부 케이스(21)(22) 각각의 외주면이 상,하 연결체(11)(12) 내주면에 면접되어 조립되게 된다.
만일, 상기 상, 하 연결체(11)(12)와 끼움체(13)를 분리할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상하부 케이스(21)(22)를 눌러 압축 스프링(23)을 압축시키면 상부 케이스(21)의 걸림환턱(21')이 상부 지지구(24)의 걸림턱(24')으로부터 이격되고, 상하부 케이스(21)(22) 각각의 외주면이 상,하 연결체(11)(12) 내주면으로 부터 벗어나 상,하 연결체(11)(12)와 끼움체(13)는 쉽게 분리된다.
첨부 도면 8에서와 같이, 상,하 연결체(11)(12)와 끼움체(13)가 분리되면 각 연결간(10)이 분리되고, 도 10에서와 같이 상하 연결체(11)(12)와 끼움체(13)를 서로 대향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므로 악력기로 사용 가능하다. 즉, 도 10에서 연결간(10)과 연결간(10)을 사용자의 손에 잡고 연결간(10)을 누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받침 스프링(26) 및 캠부(24A)(24B)/돌기부(13A)(13B)의 연동작용에 의해 눌려지는 운동이 이루어져 악력기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간(10)이 만곡지도록 구성하여 다수개의 연결간(10)과 연결간(10)이 연결되었을 경우 전체적으로 훌라후프가 원형이 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 하 연결체(11)(12)와 끼움체(13)를 가지는 연결간(10)과 연결간(10)을 결합부재(20)에 의해 도 1과 같이 결합시켜 대체적으로 원형상으로 훌라후프를 구성하게 되는데,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므로 훌라후프의 원의 직경을 사용자가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게되며, 훌라후프를 사용자가 허리둘레에 걸고 회전시키면 상, 하 연결체(11)(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끼움체(13)가 회전하거나, 끼움체(13)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연결체(11)(12)가 회전되어지므로 이 결합부분에서 상,하 연결체(11)(12) 및 끼움체(13)가 전, 후 움직임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훌라후프의 전체 움직임은 사용자의 허리를 중심으로 대향된 꼭지점을 향하여 훌라후프를 구성하는 연결간(10) 들이 쏠리게 되어 마치 허리중심으로 타원형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면서 허리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9 참조).
특히, 끼움체(13)의 회전 시 상부 지지구(24)의 캠부(24A)(24B)가 끼움체(13)의 돌기부(13A)(13B)에 면접되거나 상부 지지구(24)의 요홈부(24A')가 끼움체(13)의 돌기부(13A)(13B)에 위치하거나 하면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부 지지구(24)가 끼움체(13)를 하방으로 눌러주어 받침 스프링(26)을 압축시키게 되고, 끼움체(13)의 회전이 좌 또는 우로 회전되어 상부 지지구(24)의 캠부(24A)(24B)가 끼움체(13)의 돌기부(13A)(13B)로부터 벗어나 캠부(24A)(24B)의 하부면이 끼움체(13)의 요입부(13')에 면접되거나, 상부 지지구(24)의 요홈부(24A')가 끼움체(13)의 요입부(13')에 위치하거나 하면 상부 지지구(24)의 눌림이 해제되어 받침 스프링(26)이 다시 탄발 되게 되므로 끼움체(13)는 상, 하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훌라후프의 회전시 훌라후프가 전체적으로 상, 하 운동을 하면서 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끼움체(13)의 외주면에 돌설한 돌기부(13C)는 사용자의 복부의 상, 하부면을 눌러주게 되어 사용자의 복부 지압이 간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여러개의 연결간을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시켜 체인식으로 훌라후프를 구성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를 간단히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 사용시 보관이 용이하고, 이동에 간편성을 주며, 사용자의 운동량 또는 사용자 특성(나이 등)에 다라 훌라후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간과 연결간 2개를 이용하여 훌라후프 이외에 악력기 등으로도 사용할 할 수 도 있어 다용도 운동기구로 적합하다.
특히, 본 고안은 연결간과 연결간의 결합된 상태에서 훌라후프가 사용자의 허리를 중심으로 동작할 때 그 움직임을 전, 후로 움직이게 하여 연결부위가 전,후 및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써, 훌라후프의 회전 시 사용자의 허리를 중심으로 대향된 꼭지점으로 훌라후프를 구성하는 연결간 들이 쏠리게 되어 마치 허리중심으로 타원형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면서 허리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허리운동에 힘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운동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 결합부분의 지압돌기부가 사용자의 복부 상,하로 면접되면서 눌러주어 지압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일측에 일체로 형성한 상,하 연결체(11)(12)와 타측의 끼움체(13)를 일체로 형성한 연결간(10)과 연결간(10)을 결합부재(20)로서 연결하여 체인식 으로 훌라후프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식 훌라후프.
  2. 제 1항에 있어서, 결합부재(20)의 상부 케이스(21)와 하부 케이스(22)내에 압축 스프링(23)을 설치하여 결합시키고, 상부 케이스(21)의 걸림환턱(21')을 상부 지지구(24)의 중앙에 뚫은 구멍(24')내 상단의 걸림턱(24')에 걸려지게 하며, 하부 케이스(22)의 걸림환턱(22')에 하부 지지구(25)의 하부 내주면(25')이 걸려지게 한 다음, 상부 지지구(24)의 외주면과 끼움체(13)의 내주면 사이에 받침 스프링(26)을 설치하며, 상기 받침 스프링(26)이 하부 지지구(25)의 상부 환턱(25')에 위치하게 구성하고, 끼움체(13) 상부 내측의 요입부(13')에 상부 지지구(24) 하방에 형성한 캠부(24A)(24B)를 안치하되, 상기 캠부(24A)(24B)가 요입부(13')에 서로 대향적으로 형성한 돌기부(13A)(13B)에 면접되게 끼워 맞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식 훌라후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끼움체(13)외주면에 지압돌기(13C)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식 훌라후프.
  4. 제 1항에 있어서, 체인식 훌라후프를 악력기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식 훌라후프.
KR2020000033874U 2000-12-04 2000-12-04 체인식 훌라후프 Expired - Fee Related KR200228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874U KR200228226Y1 (ko) 2000-12-04 2000-12-04 체인식 훌라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874U KR200228226Y1 (ko) 2000-12-04 2000-12-04 체인식 훌라후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693A Division KR20020043658A (ko) 2000-12-02 2000-12-02 체인식 훌라후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226Y1 true KR200228226Y1 (ko) 2001-06-15

Family

ID=7306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87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8226Y1 (ko) 2000-12-04 2000-12-04 체인식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2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178A (ko) * 2001-09-08 2001-11-09 박지혜 훌라로프 후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178A (ko) * 2001-09-08 2001-11-09 박지혜 훌라로프 후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5972A (en) Flexible massager bar
US5628669A (en) Toy figure with spreading legs
KR200228226Y1 (ko) 체인식 훌라후프
US8025549B2 (en) Hula-hoop for pressing flesh of waist in vertical direction
KR20020043658A (ko) 체인식 훌라후프
KR200229715Y1 (ko) 훌라후프
KR20020076113A (ko) 날개형 지압돌기를 갖는 훌라후프
KR200232242Y1 (ko) 훌라후프
JP3081733U (ja) フラフープ
KR200220162Y1 (ko) 조립식 훌라후프
CN215779881U (zh) 一种开结球
CN219022173U (zh) 一种按摩器
JP3089623U (ja) 多機能の健康輪
KR100433501B1 (ko) 발지압판
KR100365570B1 (ko) 훌라후프
KR200187822Y1 (ko) 훌라후프
KR200207021Y1 (ko) 훌라후프
KR200188610Y1 (ko) 훌라후프 고정용 지압돌기의 끼움부재
KR200174915Y1 (ko) 지압구
KR200260801Y1 (ko) 지압구
KR200249112Y1 (ko) 발지압판
KR200328529Y1 (ko) 훌라후프를 이용한 지압장치
KR200210368Y1 (ko) 훌라후프
KR200188584Y1 (ko) 탈착가능한 압착돌기를 가진 훌라후프
KR200279987Y1 (ko) 지압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04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4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2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0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