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6647Y1 - 당면 제조기 - Google Patents

당면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647Y1
KR200226647Y1 KR2020000037007U KR20000037007U KR200226647Y1 KR 200226647 Y1 KR200226647 Y1 KR 200226647Y1 KR 2020000037007 U KR2020000037007 U KR 2020000037007U KR 20000037007 U KR20000037007 U KR 20000037007U KR 200226647 Y1 KR200226647 Y1 KR 200226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ylinder
cutter
frame
vermicelli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밭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밭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밭식품
Priority to KR2020000037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6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64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Nood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련의 자동화 공정으로 제품이 규격화되고, 제품의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당면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13)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5)와, 상기 구동모터(15)의 구동풀리(17)에 체인(18)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풀리(19)와, 상기 종동풀리에(19)에 일단이 끼워지는 수평 샤프트(21)와, 상기 수평 샤프트(21)의 타단에 배치되는 베벨기어(23)와, 상기 베벨기어(23)의 수직축(29) 하단에 장착되는 커터(31)와, 상기 프레임(13)에 제 1 지지대(33)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지지통(35)과, 상기 프레임(13)에 제 2 지지대(37)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지지통(39)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당면 제조기{MACHINE FOR MANUFACTURING CHINESE NOODLES}
본 고안은 고구마 전분 등을 원료는 하는 당면을 제조하는 당면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련의 자동화 공정으로 제품이 규격화되고, 제품의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당면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출원 제83-1468호에 기술된 당면제조장치는 호퍼에서 전분이 반죽되고 반죽된 반죽물이 열탕조에서 증숙되며 사출기에서 사출된 후 사출된 성형물들이 열탕조나 스팀장치에 의해 증숙되고, 일련의 열풍 건조장치, 자연풍건조장치, 냉풍건조장치를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어 건조 응고된 후, 로울커터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포장된다. 이러한 당면제조장치는 일련의 자동화에 의해 제품생산비용이 절감되나, 반죽물이 사출기를 통과하기 전에 반죽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지 않음으로써 사출기에서 사출된 면가닥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면가닥이 절단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증숙할 때 곡분에 의해 면이 코팅되지 않기 때문에 냉동시 흰반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건조후 로울커터로 면을 절단하기 때문에 부서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 제95-12432호에 기술된 당면제조방법은 2차 냉각하는 단계에서 18℃ 미만의 지하수를 이용하고 1000㎖의 냉각수에 대하여 0.25 ∼ 1%의 곡분을 첨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에는 면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0.25 ∼ 1%의 곡분을 냉각수에 첨가하여 면을 코팅한다고 기술되어 있을 뿐 곡분이 첨가된 냉각수를 이용한 면의 코팅 방법에 대한 설명이 없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16981호에 기술된 직선형 당면 제조장치는 건조 후 컨베이어 위에 설치된 회전칼날로 당면을 절단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이러한 당면의 절단방법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면을 작업자가 절단된 면을 용기에 넣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면을 코팅하는 방법이 기술되지 않았기 때문에 동결시 흰반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당면 제조기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공정을 개선하여 면에 흰반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련의 자동화 시스템으로 당면을 제조함으로서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면의 절단을 자동화하고 절단된 면을 자동으로 용기에 넣을 수 있어 작업인원을 절감하고, 적절한 용기에 포장되어 유통 및 소비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당면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풀리에 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일단이 끼워지는 수평 샤프트와, 상기 수평 샤프트의 타단에 배치되는 베벨기어와, 상기 베벨기어의 수직축 하단에 장착되는 커터와, 상기 프레임에 제 1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지지통과, 상기 프레임에 제 2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지지통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이용한 당면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고안의 당면 절단장치가 적용된 당면 제조기의 정면도
도 3은 당면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 당면절단장치 13 : 프레임
15 : 구동모터 17 : 구동풀리
19 : 종동풀리 21 : 수평 샤프트
23 : 베벨기어 31 : 커터
35 : 상부 지지통 39 : 하부 지지통
도 1은 본 고안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당면 제조공정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고구마 전분을 지하수로 반죽하는 단계(S101)와, 750mmHg의 감압상태에서 반죽물에 함유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S102)와, 기포가 제거된 반죽물을 사출기에서 사출 성형하는 단계(S103)와, 성형된 면을 100℃ 이상의 뜨거운 물에서 약 23초 정도 호화하는 단계(S104)와, 호화된 면을 25℃ 정도의 지하수에서 1차 냉각시키는 단계(S105)와, 냉각된 면을 본 고안의 절단장치로 이송시켜 절단하는 단계(S106)와, 절단된 면이 자동으로 용기에 담겨지도록 용기를 면의 낙하지점으로 이송시켜 계량하는 단계(S107)와, 면이 담겨진 용기를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면서 면을 2차 냉각하는 단계(S108)와, 2차 냉각된 면을 -10℃ 이하의 저온냉동실에서 저온 냉동시키는 단계(S109)와, 저온 냉동시킨 면을 -25℃ 이하의 급속냉동실에서 급속냉동시키는 단계(S110)와, 급속냉동된 면을 10℃ 정도의 지하수로 해동하는 단계(S111)와, 용기를 기울여 용기의 물을 제거하는 단계(S112)와, 열풍과 냉풍을 이용하여 면을 건조시키는 단계(S113)와, 삼면포장기를 이용하여 건조된 면을 포장하는 단계(S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죽단계(S101)에서는 반죽시간이 6∼7분 정도가 바람직하며, 본 고안은 면의 절단 단계(S106)와 계량 단계(S107)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에의한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면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용기로 떨어져 용기에 담겨지게 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절단단계(S106)와 계량단계(S107)에 연관된 당면절단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당면절단장치(11)는 프레임(13)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5)와, 상기 구동모터(15)의 구동풀리(17)에 체인(18)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풀리(19)와, 상기 종동풀리에(19)에 일단이 끼워지는 수평 샤프트(21)와, 상기 수평 샤프트(21)의 타단에 배치되는 베벨기어(23)와, 상기 베벨기어(23)의 수직축(29) 하단에 장착되는 커터(31)와, 상기 프레임(13)에 제 1 지지대(33)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지지통(35)과, 상기 프레임(13)에 제 2 지지대(37)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지지통(39)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터(31)는 상부 지지통(35)과 하부 지지통(39) 사이에 배치되어 수직축(29)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므로서, 상부 지지통(35)을 통과하여 하부 지지통(39)의 하단에 이르는 면다발(도시하지 않음)을 절단한다. 이와같은 상기 커터(31)는 1분에 50∼52회 회전하면서 면다발을 일정한 길이(20cm∼30cm)로 절단하게 된다. 수평 샤프트(21)는 베어링(22)에 의해 프레임(13)에 지지된다.
상기 상부 지지통(35)과 하부 지지통(39)은 직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어, 커터(31)가 면다발을 절단할 때 하부 배출구가 면다발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구동모터(15)에 의해 구동풀리(17)가 회전하면 체인(18)에 의해 상기 구동풀리(17)에 연결된 종동풀리(19)가 회전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동력이 수평샤프트(21)를 통해 베벨기어(23)의 수평치차(25)로 전달되고, 상기 수평치차(25)에 맞물린 베벨기어(23)의 수직치차(27)가 회전하므로서 커터(31)가 수직축(29)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면다발이 제 1 컨베이어(41)에 의해 이송되어 상부 지지통(35)을 통과하여 하부 지지통(39)에 도달하게 되고, 면다발의 선단이 상기 하부 지지통(39)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었을 때 커터(31)에 의해 상부 지지통(35)과 하부 지지통(39) 사이의 면다발이 절단된다. 이와같이 절단된 면다발은 제 2 컨베이어(51)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개가 1 세트로 이루어진 각각의 용기(53)로 낙하하여 용기(53)에 담겨지게 된다. 상기 용기(53)는 높이가 낮고 폭이 넓게 4각형으로 형성되어 면을 받아들이기 용이하고, 용기에 담겨진 면이 뭉치지 아니하고 펼쳐진 상태로 놓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53)에 담겨진 면은 계속해서 제 2 컨베이어(51)에 의해 이송되어 본 발명의 샤워설비(55)에 도달하게 되어 샤워설비(55)에서 면의 2차 냉각 단계(S108)를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용기가 샤워설비를 20초내지 30초 정도에 걸쳐 컨베이어를 타고 통과하는 동안, 샤워설비(55)에서 분사되는 곡류가 혼합된 물에 의해 면이 완전 코팅된다. 곡류는 18∼25℃의 지하수에 1000㎖ 당 0.1∼0.25%가 포함되어 있어, 상기 용기에 담긴 당면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동안 각각의 면들이 20 내지 30 초 동안 지속적으로 고루 코팅되기 때문에 적은분량 이 함유된 곡분으로도 충분히 코팅되어 흰반점을 완전히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분량의 곡분 첨가에 따른 면발에 곡분이 뭉치지 아니하고 고르게 코팅된다.
이러한 공정은 특허출원 제95-12432호의 당면제조방법에서 0.25 ∼ 1%의 곡류가 함유된 물이 담긴 욕조에 면을 넣어 코팅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기술로 상기 선행 기술에서 나타날 수 있는 면에 곡류가 뭉치는 현상 또는 면다발 내부에 위치하는 면이 완전히 코팅되지 않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분야에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외에 여러 가지 방식을 첨부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벗어남 없이 본 고안에 따른 당면제조장치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당면 제조기용 당면 절단장치는 일련의 자동화 시스템으로 당면을 제조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적절한 용기에 포장되어 유통이 편리하고, 적절한 길이로 절단되어 있어 요리할 때 소비자가 다시 당면을 절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Claims (5)

  1. 프레임(13)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5)와, 상기 구동모터(15)의 구동풀리(17)에 체인(18)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풀리(19)와, 상기 종동풀리에(19)에 일단이 끼워지는 수평 샤프트(21)와, 상기 수평 샤프트(21)의 타단에 배치되는 베벨기어(23)와, 상기 베벨기어(23)의 수직축(29) 하단에 장착되는 커터(31)와, 상기 프레임(13)에 제1지지대(33)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지지통(35)과, 상기 프레임(13)에 제2 지지대(37)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 지지통(3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면 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31)는 상부 지지통(35)과 하부 지지통(39) 사이에 배치되어 수직축(29)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므로서, 상부 지지통(35)을 통과하여 하부 지지통(39)의 하단에 이르는 면다발을 절단하도록 된 당면 제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31)는 분당 회전속도 50∼52로 면다발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도록 된 당면 제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통(35)과 하부 지지통(39)은 직경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어, 커터(31)가 면다발을 절단할 때 지지통(35, 39)의 하부 배출구가 면다발을 잡아주게 한 당면 제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53)는 다수개가 1 세트로 이루어지며, 높이가 낮고 폭이 넓게 4각형으로 형성되어 면을 받아들이기 용이하고, 용기에 담겨진 면이 직선형으로 놓이게 한 당면제조장치.
KR2020000037007U 2000-12-29 2000-12-29 당면 제조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26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07U KR200226647Y1 (ko) 2000-12-29 2000-12-29 당면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007U KR200226647Y1 (ko) 2000-12-29 2000-12-29 당면 제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040A Division KR100391927B1 (ko) 2000-11-02 2000-11-02 당면제조방법 및 당면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647Y1 true KR200226647Y1 (ko) 2001-06-15

Family

ID=7309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007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6647Y1 (ko) 2000-12-29 2000-12-29 당면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6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927B1 (ko) * 2000-11-02 2003-07-22 주식회사 한밭식품 당면제조방법 및 당면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927B1 (ko) * 2000-11-02 2003-07-22 주식회사 한밭식품 당면제조방법 및 당면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5652A (en) Method for forming an edible food container
CN110314604B (zh) 一种用于酱卤食品生产的即时调配、分拣系统
CN110959642B (zh) 一种夹心面饼生产设备
CN101214037A (zh) 红薯挂面及其制作方法
KR102111866B1 (ko) 스마트 교반부를 포함한 양념육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양념육
CA2657738A1 (en) Method of producing popcorn confectionery and machine for use with the method
KR20050040608A (ko)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가공장치 및 제조방법
WO2004010801A2 (fr) Produit alimentaire enrobe, composition, procede et appareil pour sa fabrication
CN107173711B (zh) 一种腊肉自动腌制系统
KR20090040503A (ko) 반제품 속재료를 포함한 식품재료 외피를 자동으로둘둘마는 식품기계
JP2578396Y2 (ja) 麺線処理装置
KR100391927B1 (ko) 당면제조방법 및 당면제조장치
KR200226647Y1 (ko) 당면 제조기
US4778685A (e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roducts
CN105532809B (zh) 一种鸡蛋薏米酥及其制作方法
KR101137914B1 (ko) 다중 구조의 속재료를 충진함과 동시에 외관을 땅콩 모양으로 성형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US4858524A (en) Apparatus for producing laminated products
US20070254077A1 (en) Extruded foodstuff and method of making
US5073393A (en) Automatic proportioning pasta system
AU2009228639A1 (en) Flexible depositing system
EP0749695B1 (fr) Aliment sec pour animal familier, son procédé d'obtention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édé
KR101837472B1 (ko) 쌀면 제조 장치
EP0310415A2 (en) Device for use in food product
KR20100007214A (ko) 메주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메주 제조장치
UA89730C2 (uk) Автоматизована лінія для виробництва тонкого вірменського лаваш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9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3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2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6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