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6526Y1 -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526Y1
KR200226526Y1 KR2019990000434U KR19990000434U KR200226526Y1 KR 200226526 Y1 KR200226526 Y1 KR 200226526Y1 KR 2019990000434 U KR2019990000434 U KR 2019990000434U KR 19990000434 U KR19990000434 U KR 19990000434U KR 200226526 Y1 KR200226526 Y1 KR 200226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lever
faucet
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865U (ko
Inventor
심종원
Original Assignee
심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종원 filed Critical 심종원
Priority to KR2019990000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52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8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8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52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일측으로는 사용하고자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에 의해 온도조절이 이루어진 물을 분출시켜 세면과 양치칠, 식수 취음시 그 사용이 용이하며 절수효과를 극대화하도록 된 수도꼭지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조절레버에 의하여 물의 출수방향을 상부로 전환하되 분수와 같이 비산되어 출수되도록하여 기존의 수도 물량의 약 1/5정도면 세면이 가능하도록함과 세면시 분수와 같이 비산되어 출수되는 물이 직접 안면에 붙이쳐 세면을 행하므로 세면시 물을 받는 용기가 필요없고 또한 세면하기가 용이하고 세면시간이 절약 및 양치질 할때 컵사용이 필요치 않으며 물이 상부로 출수됨으로 수도꼭지와 입의 접촉을 방지하여 위생적사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물의 사용을 극소화함으로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한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수도꼭지 {Fancet}
본 고안은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일측으로는 사용하고자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에 의해 온도조절이 이루어진 물을 상부로 분출시켜 세면과 양치칠 및 식수 흡음시 사용이 용이하고 절수효과가 극대화되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상적으로 가장 필수적인 것중 하나가 물이며, 이 물은 인간생활에서 불가결한 것이다. 인간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물을 사용하는데 있어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수도꼭지는 오래전에 개발되고 사용되어 왔었다.
근래 수년 동안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과학과 기술의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는 개발 때문에 수온과 급수를 조절할 수 있는 다품종 다기능의 수도꼭지 제품들이 광범위하게 널리 사용되어 왔었다.
첨부도면 도 5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97-02876호로써 종래 수도꼭지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써, 이는 벽면의 내측으로 매설되어져 있는 파이프에 연결되는 냉수도관과 온수도관이 몸통(200)의 후반부 양측으로 인입되어져 연결되며 핸들레버(300)저면부에는 카트리지 누르개를 매개로 하여 복수개의 링과 카트리지 상단의 레버를 구비하여 몸통(200)상부의 카트리지 케이스의 내부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밸브시터와 소음판및 밸브 그리고 레버가이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온수 혼합 수도전은 수도관 상단에 풀업핸들이나 몸체정면에 셔워센터핸들(400)을 설치하여 냉수도관과 온수도관에서 공급된 물의 흐름을 이들 핸들의 조작으로 절환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며 일단 수도와 셔워기능이 일차로 선택된 다음에 비로서 핸들레버(300)를 작동하여 냉온수혼삽기능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종래 수도꼭지는 세면을 하고자 할때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에 소정량의 물을 받아 세면을 하거나 수도꼭지를 계속적으로 틀어놓아 흐르는 물을 손으로 받아서 세면을 하였다.
그로인하여 물이 불필요하게 많이 소모되었으며, 또한 용기에 물을 받아 사용시에는 용기에 일정량의 물이 받아질 때까지 기다려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다른 문제점으로는 양치질을 할때 통상적으로 컵에 물을 받아 사용하므로 컵을 별도로 구입하여 보관하여야만 하였고 컵이 없을 때에는 수도꼭지에 입을 대고 직접 물을 들이켜 입안을 행구므로 위생상에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전술한 문제점은 가정 및 일반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되는 수도꼭지에 관한 문제점이며, 공원과 같은 야외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수도꼭지는 통상적으로 나비형의 손잡이를 작동시켜 ㄱ자형의 몸통에서 물이 출수되도록하는 것이 보편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다른 종류의 수도꼭지는 절수효과를 얻고자 작동레버에 인위적으로 힘을 가할때만 물이 출수되도록하는 것이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이 야외에 설치된 수도꼭지에서 물을 먹기위해서는 별도의 용기가 없기 때문에 손으로 직접 받아 물을 먹게 되거나 전자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수도꼭지에 입을 대고 물을 들이켜 위생상에도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조절레버에 의하여 물의 출수방향을 상부로 전환하되 분수와 같이 출수되도록 하여 기존의 수도 물량의 약 1/5정도면 세면이 가능하도록함과 세면시 분수와 같이 비산되어 출수되는 물이 직접 안면에 붙이쳐 세면을 행하므로 세면시 물을 받는 용기가 필요없고 또한 머리를 감는 것과 세면하기가 용이하고 세면시간 절약 및 양치질 할때 컵사용이 필요치 않으며 물이 상부로 출수됨으로 수도꼭지와 입의 접촉을 방지되며 물의 사용을 극소화함으로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냉수공급공, 온수공급공 및 출수공을 형성하되 상부 내면에는 나선을 형성한 케이싱에 냉수조절공 및 온수조절공, 배출공이 형성된 절환밸브가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배출공과는 연통되면서 작동레버의 회동방향에 따라 냉수/온수조절공과 연통되는 유출구를 형성한 디스크밸브체가 설치되며, 고정홈에 삽착되는 고정편을 형상한 본체에는 레버고정부를 구비한 밸브조절구가 설치되되, 본체에 형성된 걸림편이 삽착되어 회전시 일정각도만 회동되도록하는 가이드홈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이 설치되며, 케이싱의 나선에 결합 고정되는 덮개 및 조절레버로 구성된 온도조절수단과; 공급공 및 제1유출공과 제2유출공을 저면에 형성하고 공간부를 갖는 케이싱에는 공급공 및 제1.2절환공을 형성한 절환밸브가 설치고, 제1.2절환공의 닫힘/열림을 조절하며 통공과는 항상 연통되게 형성된 배출공을 디스크밸브체가 내삽입 설치되되, 상부로는 본체에 레버고정부를 형성한 밸브조절구가 설치되고, 내측의 공간으로는 본체에 형성된 걸림편이 삽착되어 회전시 일정각도만 회동되도록하는 가이드홈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이 설치되며, 케이싱의 나선에 결합 고정되는 덮개 및 조절레버로 구성된 분사밸브스단과; 저면에 물줄기를 가늘게 분출하는 유입공과 굵게 분출하는 유입공을 형성하며 내측에 공간부를 구비하되 내주면에는 나선을 형성한 하우징에는 중앙으로는 개구공을 형성하되 내측으로는 단턱을 형성한 고정체가 고정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과 고정체 사이에는 물줄기를 가늘게 분출하는 제1노즐이 동일 중심원상에 다수 형성되고 물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압력감소면을 형성하며 중앙으로는 유입공과 연통되어 공급되는 물이 굵게 분출되도록하는 제2노즐이 형성된 노즐형성부가 상기 개구공에 끼워 설치되되 단턱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하는 걸림테를 형성한 노즐부재로 구성된 분사장치와; 상단의 양측으로 온도조절수단과 분사밸브수단이 설치되는 설치홈을 형성함과 그 사이에는 물을 하부로 토출시킴과 아울러 분사밸브수단으로 공급하도록하는 온/오프조절레버가 설치되되 내측으로는 제1유로, 제2유로,제3유로 및 제4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수도꼭지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인 수도꼭지의 유로를 보여주는 평면예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인 수도꼭지의 유로를 보여주는 측면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수도꼭지의 요부인 분사밸브수단를 보여주는 단면도.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예시도.
도 5는 종래 수도꼭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온도조절수단 3 : 분사밸브수단 4 : 몸체
6 : 분사장치 20,30 : 케이싱 23,32 : 절환밸브
25,35 : 디스크밸브체 26,36 : 밸브조절구 42 : 제1유로
43 : 제2유로 44 : 제3유로 45 : 제4유로
61 : 공간부 61a,61b : 유입공 62 : 하우징
64 : 고정체 65 : 노즐부재 65a : 제1노즐
65b : 제2노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인 수도꼭지의 분해 사시도로써, 이에 의하면 본 고안은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2)과, 공급된 물의 출수방향을 조절하는 분사밸브수단(3)과, 다수의 유로를 내부에 형성한 몸체(4)와, 상기 몸체(4)로 부터 물을 출수시키는 출수레버(5)와, 상기 분사밸브수단(3)에 의하여 분사방향이 조절된 물을 출수시키는 분사장치(6)로 대별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조절수단(2)은 벽면에 매립되어 있는 냉수의 물과 온수의 물을 공급하는 냉수파이프, 온수파이프와 연결되어 냉수/온수공급공(21a,21b)에 의하여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공(21c)과 고정공을 저면에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부의 내면에는 나선을 형성한 케이싱(20)이 몸체(4)의 설치홈(4a)에 입설된다.
상기 케이싱(20)의 고정공에 삽지되는 고정돌기를 형성한 플레이트(22)에는냉수/온수조절공(22a,22b)으로부터 공급된 냉/온수에 의하여 사용자가 구유하는 온도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공(22c)이 형성된 절환밸브(23)가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23)의 상부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원형의 플레이트(24) 상부에는 요홈을 형성하며 외주면에는 대향되게 복수개의 고정홈(24a)을 형성하고 중앙부로는 배출공(23c)과 항상 연통되면서 조절레버(29)의 회동방향에 따라 냉수/온수조절공(23a,23b)과 연통되어 배출하는 유출구(24b)를 형성한 디스크밸브체(25)가 내삽입된다.
한편, 상기 디스크밸브체(25)의 상부로는 요홈에 끼워 슬립을 방지하도록하는 요철부를 하부면에 형성하고 고정홈(24a)에 삽착되는 고정편(26b)을 형상한 본체(26)에는 고정홈과 같은 위치에서 상부로 걸림편을 형성하되 본체로부터 수직되게 형성되어 조절레버(29)가 고정되는 레버고정부(26c)를 형성한 밸브조절구(26)가 설치된다.
상기 레버조정구(26c)가 관통하여 돌출되게 삽지되는 개구공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공간을 갖고 내측 상면에는 밸브조절구(26)의 본체(26a)에 형성된 걸림편이 삽착되어 회전시 일정각도만 회동되도록하는 가이드홈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27)이 설치되며, 케이싱(20)의 나선에 결합 고정되는 덮개(28) 및 조절레버(29)로 구성되어 있다.
분사밸브수단(3)은 온도조절수단(2)으로부터 몸체(4)내의 유로를 통해 전달된 물을 공급받는 공급공(31c)과 이 공급공을 통해 유입된 물의 출수방향 즉, 분사장치(6)로 전달하여 분수와 같이 가는 물줄기를 출수하는 유로로 공급하는 제1유출공(31a)과 물줄기를 크게하여 일시에 출수하는 제2유출공(31b) 및 고정공을 저면에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부 내면에는 나선을 형성한 케이싱(30)이 몸체(4)의 설치홈(4b)에 입설된다.
상기 케이싱(30)의 고정공에 삽지되는 고정돌기를 형성한 플레이트(32)에는 공급된 물의 분출방향을 절환하며 각각의 유출공(31a,31b)과 연통되는 제1.2절환공(32a,32b)을 형성하며 배출공(31c)과 연통된 통공(32c)을 형성한 절환밸브(33)가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32)의 상부에 밀착 설치되는 원형의 플레이트(34) 상부에는 요홈을 형성하며 외주면에는 대향되게 복수개의 고정홈(34a)을 형성하고 조절레버(39)의 회동방향에 따라 제1.2절환공(32a,32b)을 닫힘/열림을 조절하며 통공(32c)과는 항상 연통되게 형성된 배출공(34b)를 형성한 디스크밸브체(35)가 내삽입 된다.
한편, 상기 디스크밸브체(35)의 상부로는 요홈에 끼워 슬립을 방지하도록하는 요철부를 하부면에 형성하고 고정홈(34a)에 삽착되는 고정편(36b)을 형상한 본체(36a)에는 고정홈과 같은 위치에서 상부로 걸림편을 형성하되 본체(36a)로부터 수직되게 형성되어 조절레버(39)가 고정되는 레버고정부(36c)를 형성한 밸브조절구(36)가 설치된다.
상기 레버조정구(36c)가 관통하여 돌출되게 삽지되는 개구공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공간을 갖고 내측 상면에는 밸브조절구(36)의 본체(36a)에 형성된 걸림편이 삽착되어 회전시 일정각도만 회동되도록하는 가이드홈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37)이 설치되며, 케이싱(30)의 나선에 결합 고정되는 덮개(38) 및 조절레버(3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장치(6)는 저면에 물줄기를 분수와 같이 가늘게 분출하는 유입공(61a)과 굵게 분출하는 유입공(61b)을 형성하며 내측에 공간부(61)를 구비하되 내주면에는 나선을 형성한 하우징(62)에는 외주면으로는 하우징의 나선과 나합되는 나선을 구비하고 중앙으로는 개구공을 형성하되 내측으로는 단턱(63)을 형성한 고정체(64)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62)을 몸체(4)에 일체로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62)과 고정체(64) 사이에는 물줄기를 가늘게 분출하는 제1노즐(65a)이 동일 중심원상에 다수 형성됨에 있어 소정의 평면부를 구비케하여 유입공(61a)으로부터 하우징(62)내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압력감소면(65c)을 형성하고 중앙으로는 유입공(61b)과 연통되어 공급되는 물이 굵게 분출되도록하는 제2노즐(65b)이 형성된 노즐부재(65)가 상기 개구공에 끼워 설치되되 단턱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하는 걸림테를 형성한 노즐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며, 상기 고정체(64)와 노즐부재(65)를 일체화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또한, 상기 분사장치(6)의 구조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제1노즐(65a)와 제2노즐(65b)을 하나의 노즐부재(65)에 형성시켜 사용하는 것이 기본이나 사용 편리성을 구유하고자 각각의 노즐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다시말하여 분사장치를 2개로 나누어 하나의 분사장치는 물줄기가 높고 굵게 분출되는 것과 다른 하나는 물줄기가 낮고 가늘게 분출되는 것으로 나누어 설치함을 말하는 것이다.
한편 몸체(4)는 상단의 양측으로 온도조절수단(2)과 세면 수조용수도콕크(3)가 설치되는 설치홈(4a,4b)을 형성함과 그 사이에는 물을 몸체(4)의 하부로 토출시킴과 아울러 분사밸브수단(3)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출수레버(5)가 설치되되, 몸체(4)내의 유로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매립되어 있는 냉수/온수를 공급하는 파이프와 연결되어 온도조절이 이루어진 물을 분사밸브수단(3)로 이동시키는 제1유로(42)의 소정부위에는 출수레버(5)에 의하여 물을 하부로 출수하는 제2유로(4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분사밸브수단(3)에 의하여 배출시키는 물줄기를 분사장치(6)로 이송시키는 제3유로(44) 및 제4유로(45)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며 각각의 조절레버(29,39)를 원형에서 통상의 바형으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첨부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예시도로써 몸체(4)의 양측으로 온도조절수단(2)과 분사밸브수단(3)이 수평의 중심선을 가상으로 긋었을 때 이 중심선상에 위치하게 된다.다시 말하여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조절레버(29,39)가 몸체(4)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설치위치를 90도 회전시켜 몸체(4)의 측면부에 설치된다.이때, 상기 조절레버(29,39) 사이에 설치되어 통상적으로 물을 하부로 출수시키는 출수레버(5)의 위치를 분사장치(6)이 설치된 부분의 후미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이 출수레버(5)는 제2유로(43)상에 설치하여 물의 양을 조절하며 기타 유로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일한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인 수도꼭지의 작동설명은 벽면에 매립되어 기 설치된 냉수/온수공급 파이프에 의해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갖도록 온도조절수단(2)의 조절레버(29)를 회동시키면 그 회동방향에 따라서 밸브조절구(26)도 회동한다.
상기 밸브조절구(26)의 회동은 하우징(27)의 내측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미도시됨)에 삽착된 걸림편이 회동하다가 소정 각도 예컨데 90°만 회동되도록 하는 가이드홈에 의하여 회동이 제한되며, 하우징(27)은 하단의 고정홈에 절환밸브(23)의 고정편이 삽지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이 방지되어 있다.
한편, 밸브조절구(26)가 회동과 동시에 요홈과 요철부에 의하여 1차적으로 미끄럼이 방지되면서 힘을 받아 회동하지만 본체(26a)에 형성된 고정편(26b)이 디스크밸브체(25)의 고정홈(26b)에 끼워져 있어 2차적으로 힘을 받아 회동한다.
한편, 디스크밸브체(25)의 회동으로 냉수/온수공급공(21a,21b) 및 배출공(21c)과 연통되는 유출구(22a,22b)가 배출구(22c)를 중심점으로 하여 회동되어 온수/냉수공급공(21a,21b)을 닫힘/열림을 행하도록하거나 냉온수공급공 두개 모두 소정량만 열도록하여 온도를 조절하며 유출공(22a,22b)이 중앙에 위치하게 되면 공급공이 모두 폐하여 배출되는 물이 없게 된다.
상기 온도조절이 이루어져 배출공(21c)을 통하여 배출된 물은 제1유로(42)를 따라 이송되다가 출수레버(5)를 작동시키면 온도조절이 이루어진 물이 제1유로(42)를 따라 이송되어 몸체(4)의 하부로 직접 출수되거나 상기 출수레버(5)가 닫혀 있을 때에는 제2유로(43)를 통과하여 분사밸브수단(3)으로 이송된다.
한편, 사용자가 세면 및 양치질을 하고자 할때 별도의 용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시에는 상기 출수레버(5)를 폐하여 이송되는 물이 분사밸브수단(3)으로 공급 이송되도록한 다음 분사밸브수단(3)의 조절레버(39)를 회동시켜 출수되는 물줄기가 가는것인지 굵은 것인지를 조정한다.
그 회동방향에 따라서 덮개(38)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레버고정구(36c)가 돌출되는 밸브조절구(36)도 회동하여 제1유로(42)를 따라 이송된 물이 공급공(31c)을 통해 케이싱(30)내의 공간부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밸브조절구(36)의 회동은 조절레버(39)에 의하여 회동되다가 하우징(37)의 내측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의하여 회동이 제한되며, 하우징(37)은 하단의 고정홈에 절환밸브(33)의 고정편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이 방지되어 있다.
한편, 밸브조절구(36)가 회동과 동시에 요홈과 요철부에 의하여 1차적으로 미끄럼이 방지되면서 힘을 받아 회동하지만 본체(36a)에 형성된 고정편(36b)이 디스크밸브체(35)의 고정홈(34a)에 끼워져 있어 2차적으로 힘을 받아 회동된다.
제 1 유로(42)을 따라 이송되어온 물이 계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공(31c)을 중심점으로 하여 디스크밸브체(35)가 회동되고 제1.2절환공 (32a,32b)을 닫힘/열림을 행하는 두개 모두 폐하여 배출되는 물이 없게 한다.
상기 절환공(32a,32b)을 통하여 제3,제4유로(44,45)를 따라 분사장치(6)로 이송된 물은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레버(39)에 의하여 공급된 물이 제4유로(45)를 따라 이송되면 유입공(32c)을 경유하여 중앙의 제2노즐(65b)을 통해 물이 공급된 압력에 의하여 높게 솟구쳤다가 떨어진다.
조절레버(39)에 의하여 공급된 물이 제3유로(44)를 따라 이송되면 유입공(32c)을 경유하여 하우징(62)의 내측으로 공급되면, 이 공급된 물은 노즐부재(65)에 형성된 압력감소면(65c)에 붙이쳐 하우징(62)의 내측으로 다시 떨어져 압력이 감소되고 제차 공간부(61)에 수용된 물의 압력에 의하여 분수와 같이 가는 물줄기를 출수하는 제2노즐(61a)을 통해 물이 출수되는 것이다.한편, 상기 몸체(4)가 세면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 사용방법이나 몸체(4)를 세면기에 매립 설치하고 물의 온도, 물의 양 및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레버(29,39)와 물을 출수시키는 출수레버(5)만을 돌출시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절레버(29,39)의 위치를 세면기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서 변형시킴과 동시에 각 레버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몸체(4)의 형상을 변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본체의 일측으로는 사용하고자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밸브와 이 온도조절이 이루어진 물을 상부로 분출시켜 세면과 양치칠 및 공원등 야외에 설치시 식수로 사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한 수도꼭지는 조절레버에 의하여 물의 출수방향을 상부로 전환하되 분수와 같이 비산되어 출수되도록하여 기존의 수도 물량의 약 1/5정도면 세면이 가능하도록함과 세면시 분수와 같이 비산되어 출수되는 물이 직접 안면에 붙이쳐 세면을 행하므로 세면시 물을 받는 용기가 필요없고 또한 세면하기가 용이하고 세면시간이 절약 및 양치질 할때 컵사용이 필요치 않으며 물이 상부로 출수됨으로 수도꼭지와 입의 접촉을 방지되며 물의 사용을 극소화함으로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냉수공급공, 온수공급공 및 출수공을 형성하되 상부 내면에는 나선을 형성한 케이싱에 냉수조절공 및 온수조절공, 배출공이 형성된 절환밸브가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배출공과는 연통되면서 작동레버의 회동방향에 따라 냉수/온수조절공과 연통되는 유출구를 형성한 디스크밸브체가 설치되며, 고정홈에 삽착되는 고정편을 형상한 본체에는 레버고정부를 구비한 밸브조절구가 설치되되, 본체에 형성된 걸림편이 삽착되어 회전시 일정각도만 회동되도록하는 가이드홈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이 설치되며, 케이싱의 나선에 결합 고정되는 덮개 및 조절레버로 구성된 온도조절수단과;
    공급공 및 제1유출공과 제2유출공을 저면에 형성하고 공간부를 갖는 케이싱에는 공급공 및 제1.2절환공을 형성한 절환밸브가 설치고, 제1.2절환공의 닫힘/열림을 조절하며 통공과는 항상 연통되게 형성된 배출공을 디스크밸브체가 내삽입 설치되되, 상부로는 본체에 레버고정부를 형성한 밸브조절구가 설치되고, 내측의 공간으로는 본체에 형성된 걸림편이 삽착되어 회전시 일정각도만 회동되도록하는 가이드홈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이 설치되며, 케이싱의 나선에 결합 고정되는 덮개 및 조절레버로 구성된 분사밸브수단과;
    저면에 물줄기를 가늘게 분출하는 유입공과 굵게 분출하는 유입공을 형성하며 내측에 공간부를 구비하되 내주면에는 나선을 형성한 하우징에는 중앙으로는 개구공을 형성하되 내측으로는 단턱을 형성한 고정체가 고정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과 고정체 사이에는 물줄기를 가늘게 분출하는 제1노즐이 동일 중심원상에 다수 형성되고 물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압력감소면을 형성하며 중앙으로는 유입공과 연통되어 공급되는 물이 굵게 분출되도록하는 제2노즐이 형성된 노즐형성부가 상기 개구공에 끼워 설치되되 단턱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하는 걸림테를 형성한 노즐부재로 구성된 분사장치와;
    상단의 양측으로 온도조절수단과 분사밸브수단이 설치되는 설치홈을 형성함과 그 사이에는 물을 하부로 토출시킴과 아울러 분사조절장치로 공급하도록하는 온/오프조절레버가 설치되되 내측으로는 제1유로, 제2유로,제3유로 및 제4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2. 제 1 항에 있어서, 노즐부재의 제1노즐을 통하여 출수되는 물줄기는 저면의 압력감소면에 붙이쳐 압력이 저감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충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하여 출수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에 의하여 물줄기가 몸체의 상부로 출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를 몸체의 측면부에 형성시킴과 출수레버는 하부로 출수시키는 제2유로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KR2019990000434U 1999-01-16 1999-01-16 수도꼭지 Expired - Fee Related KR200226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434U KR200226526Y1 (ko) 1999-01-16 1999-01-16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434U KR200226526Y1 (ko) 1999-01-16 1999-01-16 수도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865U KR19990038865U (ko) 1999-11-05
KR200226526Y1 true KR200226526Y1 (ko) 2001-06-15

Family

ID=5475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43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6526Y1 (ko) 1999-01-16 1999-01-16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5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943B1 (ko) * 2020-05-14 2020-11-18 이수인(주) 세면기 수도꼭지에 부착되는 필터 토수구
CN114198527B (zh) * 2020-09-18 2025-07-01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两个出水口的出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865U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1814B2 (en) Water supply valve cartridge
KR100878378B1 (ko) 분배기 일체형 레버구조
KR200226526Y1 (ko) 수도꼭지
KR101266654B1 (ko) 분배기 일체형 레버구조
KR20210050770A (ko)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JP2000170225A (ja) 止水機構付洗髪シャワーを備えた湯水混合栓
KR200457181Y1 (ko) 토수구 회전시 수량 조절되는 수전
CN116528987A (zh) 节水喷嘴和包括该喷嘴的淋浴头
KR200419784Y1 (ko) 수온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용 수전금구구조
JPH09133232A (ja) 吐水スパウト切換機構
KR200196207Y1 (ko) 보조 수도꼭지
JP4199346B2 (ja) 止水機構付シャワーヘッド
KR101188209B1 (ko) 세면/샤워 겸용 수전과 세면대의 설치구조
JP4415336B2 (ja) 吐水具
KR102483441B1 (ko) 배출부재가 결합되어 냉·온수 및 정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수전
KR200260321Y1 (ko)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CN216812986U (zh) 淋浴龙头主体及淋浴龙头
KR200376913Y1 (ko) 수전금구
KR200331663Y1 (ko) 절수용 플립형 샤워기
KR20100006187U (ko) 샤워기 절수기
JP3757869B2 (ja) 自動水栓
KR200173876Y1 (ko) 샤워기의 물 분배장치
KR20050113489A (ko) 수도밸브
KR200234025Y1 (ko) 절수기
CN114052615B (zh) 一种用于清洗机的洗涤剂投放结构及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1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8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3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3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