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456Y1 - A bridge for long spans - Google Patents
A bridge for long spa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6456Y1 KR200226456Y1 KR2020000035782U KR20000035782U KR200226456Y1 KR 200226456 Y1 KR200226456 Y1 KR 200226456Y1 KR 2020000035782 U KR2020000035782 U KR 2020000035782U KR 20000035782 U KR20000035782 U KR 20000035782U KR 200226456 Y1 KR200226456 Y1 KR 2002264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piers
- cable
- circular frame
- cable grou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고안은 부유 교각을 이용하여 매우 긴 거리를 연결할 수 있는 장대 교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 bridge that can connect a very long distance using a floating bridge.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장거리에 걸쳐 안정되게 구축될 수 있는 장대 교량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ovide a long bridge that can be built stably over a long distance.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고안은, 상부에 원형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교각(5)과, 상기 교각(5)에 지지되며 관형으로 설치되는 수개 조의 케이블 그룹(1,2,3)과, 상기 교각(5)과 상기 케이블 그룹(1,2,3)들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는 상판(6)을 구비하여, 다수의 케이블 그룹(1,2,3)이 형성하는 관의 중심으로 힘이 모여져 좌우요동이나 상하요동, 전후요동의 영향이 극소화되고, 상판(6)이 주요 부재로서 작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교적 가벼운 중량을 가지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iers 5 having a circular frame formed thereon, a plurality of sets of cable groups 1, 2, 3 supported by the piers 5 and tubularly installed, and the piers 5 And a top plate 6 having a lower end supported by the cable groups 1, 2, and 3, the force is gathered to the center of the tube formed by the plurality of cable groups 1, 2, and 3 The influence of the up and down fluctuations and back and forth fluctuations is minimized, and the upper plate 6 does not have to act as a main member, so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 relatively light weight.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장대 교량으로서 사용된다.Used as a pole bridge.
Description
본 고안은 부유 교각을 이용하여 매우 긴 거리를 연결할 수 있는 장대 교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 bridge that can connect a very long distance using a floating bridge.
통상, 장대 교량으로 사용하는 교량은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현수교이다.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바다를 횡단하는 장대교량의 경우 여러 개의 교각을 필요로 하게 되며, 때로는 심해에 교각을 설치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런데 심해에 교각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공사비와 공사기간이 매우 많이 소요될 분만아니라 조류나 수압에 의해 교각을 설치하는데 있어 고난도의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교각을 부교위에 설치하게 되면 교각의 거치에 필요한 심해 구조물이나 인공섬의 건설비용은 줄일수 있다.Typically, a bridge used as a long bridge is a suspension bridge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Long bridges crossing several kilometers of seas require multiple bridges, sometimes requiring deep piers. However, in order to install a pier in the deep sea, it is not only a very expensive construction period, but also requires a high level of technology to install the pier by tidal current or water pressure. In this case, if the pier is installed at the pier, the construction cost of deep sea structures or artificial islands required for the pier can be reduced.
그러나 부교의 부력을 통해 교량의 무게는 지지할 수 있다 하더라도 교량의 교각으로서 필요한 조건인 고정된 기초로서의 역할은 불가능하다. 부교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고정점이 없을 경우 두 교각 사이에 가설된 구조물, 즉 현수교의 경우에는 메인케이블 및 상판등이 교각의 상하요동, 좌우요동, 전후요동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큰 강성과 강도를 필요로 하게 된다.However, although the weight of the bridge can be supported by the buoyancy of the bridge, it cannot play its role as a fixed foundation, which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bridge bridges. If there is no fixed point, such as using an pontoon bridge, a structure constructed between two piers, that is, a suspension bridge, has a stiffness and strength large enough to support the up, down, left, and right swings of the bridge. Needed.
그런데, 종래의 현수교는 강성이 부족하여 본질적으로 교각의 요동을 지지할 수 없는 형태이다. 또한, 현수교는 고정된 교각에 가설된다 하더라도 교량 상판의 두께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하중에 대한 구조적 성능이 부족하게 된다.However, conventional suspension bridges are incapable of supporting the fluctuation of the piers due to the lack of rigidity. In addition, even if the suspension bridge is installed in a fixed bridge piers, if the thickness of the bridge deck is not sufficient, the structural performance against dynamic loads is insufficient.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장대 교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유 교각을 이용하여 장거리에 걸쳐 안정되게 구축될 수 있도록 여러 조의 케이블을 관형으로 설치한 장대 교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long bridge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providing a long bridge that is installed in a tubular group of several cables to be stably built over a long distance using a floating bridge. have.
도1은 종래 장대 교량인 현수교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spension bridge which is a conventional long bridge.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장대 교량의 일부 사시도.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pol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장대 교량의 전체 측면도.Figure 3 is an overall side view of a pol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메인 케이블 그룹 2 : 우측 나선형 케이블 그룹1: Main cable group 2: Right spiral cable group
3 : 좌측 나선형 케이블 그룹 4 : 고정 구조물3: left spiral cable group 4: fixed structure
5 : 원형 교각 6 : 상판5: round piers 6: top plat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주를 따라 다수의 홀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원형 프레임을 상부에 구비하는 다수의 교각과, 단부가 지상의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다수 설치된 교각의 원형 프레임의 홀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메인 케이블 그룹과, 단부가 지상의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교각의 원형 프레임의 우견부에 지지되며 상기 메인 케이블 그룹을 오른 나사 방향으로 외측에서 감싸면서 설치되는 제1 나선형 케이블 그룹과, 단부가 지상의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교각의 원형 프레임의 좌견부에 지지되며 상기 메인 케이블 그룹을 왼 나사 방향으로 외측에서 감싸면서 설치되는 제2 나선형 케이블 그룹, 및 상기 다수 설치되는 교각의 원형 프레임의 하부 내주면과 상기 메인 케이블 그룹의 하부 케이블과 상기 제1 및 제2 나선형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상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iers having a circular frame formed on top of the plurality of hole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ce, the end is fixed to the ground fixed structure and the circular of the plurality of piers installed The main cable group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hole of the frame, and the end is fixed to the fixed structure of the ground and suppor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ircular frame of the piers, while wrapping the main cable group from the outside in the direction of the right screw A first spiral cable group, and a second spiral cable group, the end of which is fixed to a ground fixed structure, is supported on the left shoulder portion of the circular frame of the piers, and is installed while wrapping the main cable group from the outside in a left screw direction; and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frame of the plurality of piers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cable group And a top plate supported by the cable and the first and second spiral cables.
이하, 첨부된 도2 이하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장대 교량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장대 교량의 전체 측면도이다.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pol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overall side view of the pol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1은 메인 케이블 그룹, 2는 우측 나선형 케이블 그룹, 3은 좌측 나선형 케이블 그룹, 4는 지상의 고정 구조물, 5는 원형 교각, 6은 상판을 각각 나타낸다.In the figure, 1 represents a main cable group, 2 represents a right spiral cable group, 3 represents a left spiral cable group, 4 represents a fixed structure on the ground, 5 represents a circular piers, and 6 represents a top plate.
본 고안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원형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교각(5)과, 상기 교각(5)에 지지되며 관형으로 설치되는 3조의 케이블 그룹(1,2,3)과, 상기 교각(5)과 3조의 케이블 그룹(1,2,3)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는 상판(6)을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bridges 5 having a circular frame formed thereon, and three sets of cable groups 1, 2 and 3 supported on the bridges 5 and installed in a tubular shape. And an upper plate 6 whose lower end is supported by the piers 5 and three sets of cable groups 1, 2, 3.
상기 다수의 교각(5)은 교량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교각을 제외한 교각이 부유 구조물 위에 설치되며, 상부는 원형 프레임이 형성되고, 원형프레임의 원주를 따라 케이블이 관통되기 위한 홀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홀은 그 간격이 원형 프레임의 상부에서 최소이고, 하부에서 최대가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 프레임의 좌견부(左肩部)와 우견부(右肩部) 각각에는 케이블이 지지되기 위한 홈이 다수개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bridges (5) is a bridge other than the bridges installed on both ends of the bridge is installed on the floating structure,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 circular frame, the hole for the cable through the circumference of the circular frame is formed spaced apart . The holes are formed such that their spacing is minimum at the top of the circular frame and maximum at the bottom. In addition, a plurality of grooves for supporting the cable are forme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houlder portions of the circular frame.
상기 3조의 케이블 그룹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메인 케이블 그룹(1)과 나선형으로 진행하며 설치되는 우측 및 좌측 나선형 케이블 그룹(2,3)으로 이루어진다.The three sets of cable groups consist of the main cable group 1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ight and left spiral cable groups 2, 3 installed in a spiral manner.
상기 메인 케이블 그룹(1)은, 단부가 지상의 고정 구조물(4)에 고정되고 상기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된 교각(5)의 원형 프레임 원주를 따라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우측 나선형 케이블 그룹(2)은, 단부가 지상의 고정 구조물(4)에 고정되고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된 교각(5)의 원형 프레임의 우견부 홈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 케이블 그룹(1)을 오른 나사 방향으로 외측에서 감싸면서 설치되고, 상기 좌측 나선형 케이블 그룹(3)은, 단부가 지상의 고정 구조물(4)에 고정되고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된 교각(5)의 원형 프레임의 좌견부 홈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 케이블 그룹(1)을 왼 나사 방향으로 외측에서 감싸면서 설치된다.The main cable group 1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a hole formed along a circular frame circumference of a plurality of piers 5, the ends of which are fixed to the ground fixing structure 4 and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right helical cable group 2 is supported by a right groove of a circular frame of a plurality of piers 5, the ends of which are fixed to the ground fixing structure 4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reby supporting the main cable group 1. The left helical cable group 3 is installed while enclosing from the outside in the right screw direction, and the left lateral groove of the circular frame of the piers 5, the ends of which are fixed to the ground-fixed structure 4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tervals. It is supported on and installed while wrapping the main cable group (1) from the outside in the direction of the left screw.
여기서 상기 메인 케이블 그룹(1)을 구성하는 케이블들은 교각(5)의 원형 프레임의 홀을 관통하면서 설치되기 때문에, 교각(5)의 원형프레임 상부에서 그 간격이 최소로 되며, 원형프레임의 하부에서 최대가 되도록 설치되게 된다.Here, since the cables constituting the main cable group 1 are instal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oles of the circular frame of the piers 5, the spacing is minimized at the upper part of the circular frames of the piers 5, and at the bottom of the circular frames. It will be installed to the maximum.
모든 케이블 그룹(1,2,3)은 장력에 의해 긴장되므로 나선형 케이블 그룹(2,3)에 도입된 장력은 도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케이블에 의해 형성되는 관의 형태를 중앙이 잘록한 형태로 만들며 이로 인해 경간의 중앙부에서 나선형 케이블그룹(2,3)의 정점이 최소가 된다.Since all cable groups 1, 2 and 3 are tensioned by tension, the tension introduced into the helical cable groups 2 and 3 has a centrally shaped shape of the tube formed by the cable as shown in FIG. This minimizes the peaks of the helical cable groups (2, 3) at the center of the span.
상판(6)은 상기 교각(5)의 원형 프레임 하부 내주면과 상기 메인 케이블 그룹(1)의 하부 케이블과 상기 나선형 케이블 그룹(2,3)에 의해 형성되는 관의 바닥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심해에 위치하는 교각(5)은 부유 구조물 위에 설치된다.The upper plate 6 is positioned at the bottom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frame of the piers 5 and at the bottom of the tube formed by the lower cable of the main cable group 1 and the spiral cable groups 2, 3. And the pier 5 located in the deep sea is installed on the floating structure.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의 건설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as follows.
우선, 다수의 교각(5)을 임시로 구속하여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메인 케이블 그룹(1)을 상기 교각(5)들의 원형 프레임 홀을 관통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교각들(5)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그 우견부 또는 좌견부의 홈에 지지되게 하면서 하나의 나선형 케이블 그룹(2 또는 3)을 설치하고, 그 다음으로 동일한 방법에 의해 다른 하나의 나선형 케이블 그룹(3 또는 2)을 설치한다. 이때, 각각의 교각에서 나선형 케이블에 인장력을 도입하여 하부의 메인 케이블을 끌어 올리고 동시에 하부의 메인 케이블의 인장력을 조절하여 중앙이 잘록한 관 형상을 형성한다.First, a plurality of pier 5 is temporarily restrained and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main cable group 1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circular frame holes of the pier 5. Then, one spiral cable group 2 or 3 is installed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piers 5 and supported in the groove of the right shoulder or left shoulder, and then the other spiral cable group ( Install 3 or 2). At this time, by introducing a tensile force to the spiral cable in each pier to pull up the lower main cable at the same time to adjust the tensile force of the lower main cable to form a concave tube shape.
다음으로 교량 상판(6)을 설치하되 연속적으로 하지 않고 경간 전체에 균일하게 하중이 분포되도록 설치하고, 바닥 부분의 케이블에서 다소의 인장력을 제거하여 교량 상판(6)의 재하되는 부가하중과의 균형을 유지시킨다.Next, the bridge top plate 6 is installed but not continuously, so that the load is distributed evenly over the span, and some tension is removed from the cable at the bottom to balance the load applied to the bridge top plate 6 Keep it.
최종적으로 케이블의 위치를 세부 조정하여 고정시키고 교각들(5)의 임시 구속 상태를 해제한다.Finally, the position of the cable is fine-tuned to fix and release the temporary restraint of the piers 5.
이렇게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교량은 과도한 하중에 의해 케이블들의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으나, 케이블들의 미끄러짐은 나선형 케이블 그룹(2,3)의 방향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는 케이블 그룹의 배치에 최소한의 변경만을 가져올 뿐이고 관 형상의 기하하적인 구조에는 거의 영향을 미지치 않는다.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us installed may cause slippage of cables due to excessive loads, but slippage of cables may occur in the direction of the spiral cable groups 2 and 3, which may cause only minimal changes in the arrangement of the cable groups. It has only little effect on the tubular geometric structure.
또한, 동적 하중이 한계 범위 내에서 변할 경우에는 케이블 그룹(1,2,3) 간의 마찰력 만으로 교량 전체를 유지할 수 있으나, 환경적인 조건이 열악하게 되거나 특수 대형 차량이 통행하게 될 경우에는 부가적인 구속을 가하는 것으로 해결한다. 즉, 케이블 그룹(1,2,3)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서로 연결하여 주던가, 교량 상판(6)의 하부에 위치한 케이블의 교차 부분을 연결하여 준다.In addition, if the dynamic load changes within the limits, the entire bridge can be maintained only by the friction between the cable groups (1, 2, 3). However, i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poor or special heavy vehicles pass, additional restraints Solve by adding In other words, at the point where the cable groups (1, 2, 3) intersect each other, or connect the intersection of the cable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ridge upper plate (6).
그러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고안은, 종래의 현수교에 비해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acting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technical effects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uspension bridge.
다수의 케이블 그룹(1,2,3)이 관체 형상으로 설치되어 관의 중심으로 힘이 모여져 좌우요동이나 상하요동, 전후요동의 영향이 극소화되고, 상판(6)이 주요 부재로서 작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교적 가벼운 중량을 가지게 할 수 있다.A large number of cable groups (1, 2, 3) are installed in the shape of a tubular body so that the force is gathered to the center of the pipe, minimizing the influence of left and right fluctuations, vertical fluctuations and back and forth fluctuations, and the upper plate 6 does not have to act as a main member. This makes it possible to have a relatively light weight.
또한, 메인 케이블은 종래 현수교의 메인 케이블에 비해 직경이 작아도 되고 설치가 용이하고, 각 부분에서 케이블 그룹에 의한 구조적 과잉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한 경간에서 케이블 하나 또는 수개의 손실이 있어도 기본 구조적 성능이 유지된다.In addition, the main cable may be smaller in diameter or easier to install than the main cable of the conventional suspension bridge, and the structural excess force due to the cable group is applied at each part, so that even if there is a loss of one cable or several cables in one span, the basic structural performance is improved. maintai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5782U KR200226456Y1 (en) | 2000-12-20 | 2000-12-20 | A bridge for long spa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5782U KR200226456Y1 (en) | 2000-12-20 | 2000-12-20 | A bridge for long span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6456Y1 true KR200226456Y1 (en) | 2001-06-15 |
Family
ID=7309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5782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6456Y1 (en) | 2000-12-20 | 2000-12-20 | A bridge for long spa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6456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0988B1 (en) * | 2007-11-20 | 2008-03-11 | (주)신흥이앤지 | Hypothesis for the connection of main cables using turn-barkles |
KR101161657B1 (en) | 2003-10-14 | 2012-07-02 | 아아스-자콥슨 에이 에스 | Bridge structure comprising tower, bridge beam, main/suspension cable, suspending bars, and diagonal cable-stays |
-
2000
- 2000-12-20 KR KR2020000035782U patent/KR20022645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1657B1 (en) | 2003-10-14 | 2012-07-02 | 아아스-자콥슨 에이 에스 | Bridge structure comprising tower, bridge beam, main/suspension cable, suspending bars, and diagonal cable-stays |
KR100810988B1 (en) * | 2007-11-20 | 2008-03-11 | (주)신흥이앤지 | Hypothesis for the connection of main cables using turn-barkl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359959B2 (en) | Shore side connection system of underwater tunnel, its underwater tunnel, construction method of underwater tunnel | |
US9712108B2 (en) | Corded lattice based floating photovoltaic solar field with independently floating solar modules | |
CN114915240A (en) |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upport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
KR20120042141A (en) | Submerged floating tunnel with cable-stayed super long-spa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13521170A (en) | Tension mooring platform with improved hydrodynamic performance | |
KR102463990B1 (en) | The mooring system for the floating offshore wind power that can reduce the platform yaw motion | |
CN111483552B (en) | Anchoring structure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station and installation method | |
JPWO2018096650A1 (en) | Floating structure | |
EP0179776B1 (en) | Offshore multi-stay platform structure | |
KR200226456Y1 (en) | A bridge for long spans | |
WO2024030032A1 (en) | Mooring system | |
JP5114443B2 (en) | Underground structures that cross the active fault zone | |
KR20140120154A (en) | Truss Type Lower Structure of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 |
KR102260350B1 (en) | Submerged floating tunnel mooring device and its mooring method | |
US6385928B1 (en) | Tension member | |
CN219382741U (en) | Horizontal cable anchor structure of showy square matrix and photovoltaic system on water | |
CN219382742U (en) | Anchoring mooring structure of floating square matrix and water photovoltaic system | |
JP4807771B2 (en) | Floating structure | |
KR102713691B1 (en) | Combined mooring device for the maintance of effective mooring force, creation of a relaxation area and monitoring of mooring lines of floating structure | |
KR101664989B1 (en) | Structure for suspension bridge without constructing anchor block | |
CN211571354U (en) | Structure for improving transverse rigidity of bridge girder and bridge thereof | |
TW202313403A (en) | A mooring system | |
KR20130124104A (en) | Cable-stayed bridge construction method | |
CN113235391B (en) | Multi-tower self-anchored suspension bridge | |
RU2374731C1 (en) | Byte crossing of high-voltage power line through natural obsta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1220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103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22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 ||
UT0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19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