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6088Y1 - 차량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088Y1
KR200226088Y1 KR2019990002090U KR19990002090U KR200226088Y1 KR 200226088 Y1 KR200226088 Y1 KR 200226088Y1 KR 2019990002090 U KR2019990002090 U KR 2019990002090U KR 19990002090 U KR19990002090 U KR 19990002090U KR 200226088 Y1 KR200226088 Y1 KR 200226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vehicle
auxiliary
platform
auxiliary li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651U (ko
Inventor
박영수
Original Assignee
박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수 filed Critical 박영수
Priority to KR2019990002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08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7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6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08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이 편리하며, 사용중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측에 보조리프트(2)가 설치되며 컨트롤박스(8)가 연결된 차량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리프트(2)의 일측면에는 상기 컨트롤박스(8)에 연결되어 이 보조리프트(2)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된 별도의 조작스위치(2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리프트{lift}
본 고안은 차량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며, 사용중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정비시 사용되는 차량용 리프트는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리프트는 상면이 차량의 하측면에 접촉되는 브라켓을 상승시켜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브라켓식과, 플랫폼에 차량을 올려놓은 후, 이 플랫폼을 상승시켜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플랫폼식이 있다.
상기 브라켓식 리프트는 상기 브라켓이 차량의 하측면에 접촉되므로, 차량을 들어올렸을 경우, 차량의 휠은 공중에 떠있게 된다. 따라서, 손쉽게 타이어를 교체하거나, 타이어의 휠일리어먼트를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브라켓이 차량의 하측면에 접촉될 때 차량의 하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브라켓이 접촉되는 부분을 정확히 세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렛폼식은 상기 플렛폼의 상면에 차량을 주차시켜놓으면 상기 프렛폼이 차량의 타이어를 지지하여 차량을 들어올리게 되므로, 리프트의 세팅이 손쉽고 차량의 하측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없는 장점이 있으나, 차량의 타이어가 플렛폼의 상면에 밀착되므로, 타이어를 교체하거나, 타이어 및 휠일리어먼트를 점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플렛폼식 리프트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하측면에 접촉되어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한쌍의 보조리프트(2)가 별도로 설치된다. 이 보조리프트(2)는 상기 플랫폼(4)에 전후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차량을 들어올리므로써, 차량의 타이어가 플랫폼(4)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리프트(2)는 그 상면이 차량의 하측면에 직접 접촉되므로, 차량의 하측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비사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보조리프트(2)의 간격을 조절한 후, 보조리프트(2)의 상면에 별도의 고무판을 올려놓고, 보조리프트(2)를 조금씩 승강시키면서 리프트의 상면이 차량의 하측면에 닿는 위치를 조절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플랫폼(4)식 리프트는 보조리프트(2)를 조작하는 조작스위치(6)가 리프트의 일측에 설치된 컨트롤박스(8)나, 이 컨트롤박스(8)에 연결된 유선리모컨(10)에 설치되므로, 상기 보조리프트(2)를 조작하기 위하여는 차량의 하측에서 차량을 정비하는 정비사의 지시에 따라, 조수가 컨트롤박스(8)의 조작스위치(6)를 조작하거나, 정비사가 상기 리모콘을 플랫폼(4)의 하측으로 끌고 들어가 조작스위치(6)를 조작하여야 하며, 특히, 정비사가 직접 리모콘을 조작할 경우, 한손으로는 리모콘을 붙잡고, 다른 한손만으로 보조리프트(2)의 간격과 이 보조리프트(2)의 상면에 놓여지는 고무판의 위치를 조절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비사가 직접 리모콘을 조작할 경우, 리모콘조작에 집중을 하지 못하므로, 리모콘을 오조작하여 플랫폼(4)을 하강시켜 부상을 입는 경우가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리프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리프트에 설치된 보조리프트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차량의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조작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전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보조리프트 8. 컨트롤박스
28. 조작스위치
본 고안에 따르면, 상측에 보조리프트(2)가 설치되며 컨트롤박스(8)가 연결된 차량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리프트(2)의 일측면에는 상기 컨트롤박스(8)에 연결되어 이 보조리프트(2)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된 별도의 조작스위치(2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를 도시한 것으로, 지주(12)에 설치된 플랫폼(4)을 승강시켜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지주식 리프트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주식 리프트는 내부에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도시안된 슬라이드가 구비된 4개의 지주(12)를 지면에 수직설치하고, 이 지주(12)의 슬라이드에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상면에 차량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플랫폼(4)의 각 모서리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지주(12)에 설치된 슬라이드는 상호 동조와이어로 연결되어, 유압실린더로 하나의 슬라이더만 승강시키면 모든 슬라이드가 동시에 승강되어 상기 플랫폼(4)을 평행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랫폼(4)은 양단이 상기 슬라이드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바(14)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양단이 상기 지지바(14)에 결합되어 상면에 차량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한쌍의 상판(1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랫폼(4)의 상판(16)에 차량을 올려놓은 후,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플랫폼(4)과, 이 플랫폼(4)의 상면에 놓인 차량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정비사가 상기 상판(16)의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18)를 통해 차량의 하측면을 정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랫폼(4)에는 한쌍의 보조리프트(2)가 설치된다. 이 보조리프트(2)는 X자링크기구(20)와 이 X자링크기구(20)에 장착된 유압실린더(22)와, 상기 X자링크기구(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차량의 하측면에 접촉되는 지지대(24)로 구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22)의 신축에 따라 상기 지지대(24)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그 양단이 상기 플랫폼(4)의 상판(16)의 인접면에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차량의 크기에 따라 보조리프트(2)의 간격을 조절하므로써,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12)의 일측에는 지주(12) 내부의 유압실린더와 보조리프트(2)를 조작하는 컨트롤박스(8)와 이 컨트롤박스(8)에 연결된 리모컨(10)이 설치된다. 이 컨트롤박스(8)와 리모컨(10)는 상기 지주(12) 내부의 유압실린더와 상기 보조리프트(2)를 조작하는 조작스위치(6)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리모컨(10)은 상기 지주(12)의 상단을 연결하는 와이어에 매달려 손쉽게 리모컨(1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리프트(2)의 일측면에는 보조리프트(2)를 조작하는 별도의 조작스위치(26)가 설치된다. 이 조작스위치(26)는 상기 컨트롤박스(8)에 연결되어 조작에 따라 보조리프트(2)를 승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호 이격배치된 한쌍의 보조리프트(2)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플랫폼(4)에 차량을 올려놓은 후, 컨트롤박스(8)나 리모컨(10)을 이용하여 플랫폼(4)을 들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정비사는 플랫폼(4)의 하측으로 들어가 플랫폼(4)의 상판(16)사이의 공간을 통해 차량의 하측면을 검사하거나 정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리프트(2)에 설치된 조작스위치(26)로 보조리프트(2)를 작동켜서, 차량과 타이어를 플랫폼(4)의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차량의 타이어를 교체하거나 타이어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휠일리어먼트를 점검할 경우, 타이어를 들어올릴 상태에서 타이어의 하측에 휠일리어먼트 점검장비를 배치하고, 상기 조작스위치(26)를 조작하여 차량과 타이어를 상기 검사장비에 올려놓은 후, 휠일리어먼트를 점검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차량용 리프트는 보조리프트(2)를 조작하는 스위치가 보조리프트(2)의 측면에 직접 설치되므로, 정비사 이외의 조수가 보조리프트(2)를 작동시키거나, 정비사가 플랫폼(4)의 하측으로 리모콘을 끌고 들어가 조작할 필요가 없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한손으로 리모콘을 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보조리프트(2)의 간격이나 보조리프트(2)의 상면에 놓여지는 고무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조작스위치(26)는 보조리프트(2)만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정비사가 실수로 플랫폼(4)을 하강시켜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없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리프트는 바닥면에 고정된 기대(28)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프레임(30)과, 하단이 상기 기대(28)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동프레임(30)에 힌지결합된 링크부재(32)와, 상기 회동프레임(30)과 링크부재(32)의 상단에 결합된 상판(34)과, 양단이 상기 링크부재(32)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상판(34)을 승강시키는 실린더(3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34)의 사이에 한쌍의 보조리프트(2)가 전후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보조리프트(2)의 측면에 보조리프트(2)를 조작하는 조작스위치(26)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스위치(26)를 조작하여 보조리프트(2)를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조리프트(2)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차량의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조작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리프트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보조리프트가 장착된 어떠한 종류의 리프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보조리프트(2)를 조작하는 조작스위치(26)를 보조리프트(2)의 측면에 설치하므로써, 리프트에 설치된 보조리프트(2)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차량의 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조작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리프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상측에 보조리프트(2)가 설치되며 컨트롤박스(8)가 연결된 차량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리프트(2)의 일측면에는 상기 컨트롤박스(8)에 연결되어 이 보조리프트(2)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된 별도의 조작스위치(2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
KR2019990002090U 1999-02-10 1999-02-10 차량용 리프트 Expired - Fee Related KR200226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090U KR200226088Y1 (ko) 1999-02-10 1999-02-10 차량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090U KR200226088Y1 (ko) 1999-02-10 1999-02-10 차량용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651U KR19990017651U (ko) 1999-05-25
KR200226088Y1 true KR200226088Y1 (ko) 2001-06-01

Family

ID=5475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09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6088Y1 (ko) 1999-02-10 1999-02-10 차량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0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920B1 (ko) * 2016-10-28 2019-03-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속 응답 액정표시장치
WO2020227248A1 (en) 2019-05-03 2020-11-12 Koehler Steven M Vehicle support assembly
KR102039937B1 (ko) * 2019-07-11 2019-11-04 심윤식 4주식 차량 정비용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651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0252A (en) Vehicle door and bumper lift
US4289298A (en) Hydraulic lifting jack having a safety lifting saddle
US4103376A (en) Safety side for hospital bed
US2777538A (en) Vehicle frame engaging accessory for automobile hoists
US2612355A (en) Vehicle hoist
KR200226088Y1 (ko) 차량용 리프트
EP2077972A1 (en) Car bench
US4086982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n automobile at an elevation
GB1183286A (en) Improvements in Hoists
KR100959753B1 (ko) 차량 정비용 리프트
KR102279631B1 (ko) 2주식 리프트의 승강받침장치
JP2509382Y2 (ja) 車両整備用リフト
EP0174709A1 (en) Lift truck
JP3713704B2 (ja) 貨物自動車用リフト装置
TWI646038B (zh) 頂車機
US3331470A (en) Two-post frame contact lift
TW202308932A (zh) 輔助移車設備
US2654443A (en) Method and device for raising vehicles
US2689022A (en) Detachable support platform for vehicle hoists
JP2514408Y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20200113968A (ko) 차량정비시 차종에 따른 리프팅 장치
JP2008105828A (ja) 高所作業車
KR102279630B1 (ko) 2주식 리프트의 승강받침장치
US3375905A (en) Lift frame adapter
JPS6012800Y2 (ja) 航空機に燃料を供給する車輛装備用テ−ブルリフ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2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9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3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3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2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09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