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5953Y1 - 공책용 주머니가 형성된 책표지 - Google Patents

공책용 주머니가 형성된 책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953Y1
KR200225953Y1 KR2020010001565U KR20010001565U KR200225953Y1 KR 200225953 Y1 KR200225953 Y1 KR 200225953Y1 KR 2020010001565 U KR2020010001565 U KR 2020010001565U KR 20010001565 U KR20010001565 U KR 20010001565U KR 200225953 Y1 KR200225953 Y1 KR 200225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notebook
book
book cover
sid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증호
Original Assignee
조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증호 filed Critical 조증호
Priority to KR2020010001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9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95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 중, 고등학생용 교과서(1)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포장하는 책 표지(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책 표지(10)는 펼쳐진 상태에서 양측에 교과서(1)의 표지가 삽입되도록 대향하는 'ㄷ'자로 형성된 표지삽입부(110)와, 상기 표지삽입부(110)의 중간에 소정의 두께가 형성되어 포장되는 책의 두께만큼 접히도록 형성된 절곡선(111)으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표지삽입부(110) 중 어느 한쪽의 이면에 접착되어 상기 본체에 의해 포장되는 과목의 공책(2)을 꽂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공책주머니(200)와;
상기 표지삽입부(11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학습중인 쪽과 쪽 사이에 구비시키도록 하는 책갈피(30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해당과목의 교과서와 공책을 동시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여 분실을 방지하고, 주위력이 산만한 초, 중, 고 학생들에게 항상 정리하는 습관을 길러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책용 주머니가 형성된 책표지{BOOK COVER FORMED THE NOTE POCKET}
본 고안은 초, 중, 고교 학생들의 책, 즉, 교과서의 외부를 포장하도록 하는 책표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상기 책 표지의 외부 일측에 공책꽂이를 형성하여 해당 교과서와 관계되는 과목의 공책을 꽂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책을 찾는 불편을 해소하고, 대체적으로 주위가 산만한 초, 중, 고교생들에게 항상 정리하는 습관을 길러 주도록 한 공책용 주머니가 형성된 책표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의 외부를 포장하도록 하는 책 표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공개번호 특1999-0064905호로 '교과서 커버 및 그 제조방법'으로 개시된 바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면(5)에는 다양한 그림이 도시되고, 그 양단부는 책의 겉표지안으로 접혀지는 교과서 커버에 있어서,상기 전면(5)에는 청소년들에게 좋은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각종 인물이나 캐릭터등에 대한 보조그림(2)이 도시되고, 이와 함께, 상기 보조그림(2)과 관련된 기사나 인터뷰 내용중 교훈적 내용을 선택하여 구성한 기본 소재부(1)가 기재되어 있으며 책의 겉표지 안쪽으로 접혀진 양측 배면(6)(6')에는 상담내용 상담방법, 및 연락처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되어진 상담지도 내용(3)과, 청소년들에게 각종 도움을 줄 수 있는 단체들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진 광고내용(4)이 기재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책표지는 교과서의 겉표지와 쉽게 분리되어 단 시간내에 파손이 되면 사용이 불가능하여 버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교과서등의 외부를 포장하는 것은 가능하였으나, 관련된 공책과 일체로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학생들이 가방을 정리 하는데, 공책을 찾느라 많은 시간을 허비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책과 공책이 분리됨으로써 대체로 주위가 산만한 학생들에 의해 관련한 책과 공책이 정리가 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책 표지는 한정된 용도로 인하여 학생들 이외에는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용도가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학생들이 책가방을 챙길 때, 해당 교과서와 같이 구비된 공책에 의해 책 따로 공책 따로 챙기는 시간을 절약하여 한결 여유있는 등교를 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대체적으로 주위가 산만한 초, 중, 고생들에게 정리하는 습관을 길러 주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의 책 표지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편 사무용으로도 사용하여 그 용도를 광범위하게 확대하여 학교 또는 사무실에서도 사용이 꼭 필요한 용품을 공급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교과서를 싸도록 하는 책 표지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가)는 본 고안 책표지가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나)는 접합이 완료되기 전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가)는 본 고안의 책 표지로 싼 교과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도 3 가)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의 가)는 본 고안 책 표지의 외측에 구비된 공책꽂이에 공책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전면에 표찰 꽂이를 형성하여 사무용 결재판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교과서 2;공책
10; 책 표지 100;본체
110;표지삽입부 111;절곡선
200;공책 주머니 300;책갈피
본 고안은 초, 중, 고등학생용 교과서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포장하는 책 표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책 표지는 펼쳐진 상태에서 양측에 교과서의 표지가 삽입되도록 대향하는 'ㄷ'자로 형성된 표지삽입부와, 상기 표지삽입부의 중간에 소정의 두께가 형성되어 포장되는 책의 두께만큼 접히도록 형성된 절곡선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표지삽입부중 어느 한쪽의 이면에 접착되어 상기 본체에 의해 포장되는 과목의 공책을 꽂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공책주머니와;
상기 표지삽입부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학습중인 쪽과 쪽 사이에 구비시키도록 하는 책갈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가)는 본 고안 책표지의 전개된 사시도이고, 나)는 접합이 완료되기 전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가)는 본 고안의 책 표지로 싼 교과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도 3 가)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의 가)는 본 고안 책 표지의 외측에 구비된 공책꽂이에 공책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전면에 표찰 꽂이를 형성하여 사무용 결재판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책 표지(이하, '표지'라 칭한다.)(10)는 펼쳐 놓은 상태에서 양측으로 교과서 또는 다른 서적의 겉장, 즉, 표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표지삽입부(110)가 형성된 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표지삽입부(110)의 상측에는 보던 쪽에 꽂기 용이하도록 책갈피(300)가 구비된다.
또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지삽입부(110)의 이면(異面), 즉, 반대면에는 해당 교과서와 관련있는 공책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공책주머니(200)가 구비된다.
나)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상술한 본 고안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전개도로써, 본 고안 책 표지(10)의 재료로는 통상의 폴리 플로필렌(PP:Poly Propylen), 폴리에틸렌(PE:Poly Ethylen), 페트(Pet)등의 합성수지재의 시트(Seat)지를 사용함으로써, 색상이 다양한 투명, 불투명등의 재질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외곽으로 해칭된 부분이 후술할 접착부가 형성될 접착부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내측으로 절곡될 절곡선(111)을 표시한 것이다.
또한, 이점괘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본 고안의 공책주머니(200)가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될 외측절곡선(111a)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책표지(10)는 당 업계의 원재료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전개된 상태에서 각 부위를 일체로 절곡하여 접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부위를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고주파 용착(High-Frequency Welding). 초음파 접합(Supersonic-welding)의 전기적인 열에 의해 재료를 일정온도로 녹여서 접합하는 방법과 핫 멜트(Hot Melt)를 이용하여 고온으로 접착시키도록 하는 접합방법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측으로 책갈피(300)가 구비되는데, 도시한 바에 의하면 양측으로 2개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편의상 1개만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책갈피(300)는 상기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별도로 접합하도록 하는 것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할 경우 원재료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이고, 상기 책갈피(300)를 접합하는 방법은 상술한 접합방법중 어느 한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접합이 가능하다.
상술한 고주파접합(High - Frequency weld)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고주파접합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합성수지재의 표면에 고열을 발생하여 상호 녹이며 접합하도록 하는 것으로, 절대로 분리되지 않는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3의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지삽입부(110)는 상술한 절곡선(111)을 기준으로 절곡하여 상, 하, 양측을 접합(接合)함으로써, 통상의 교과서(1) 또는 책등의 겉장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표지삽입부(110)의 중심에 형성된 절곡선(111)에 의해 책을 덮으면 도 4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과서(1)와 공책(2)이 일체로 구비되어 학생들이 가방을 챙길 때,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또한, 성격적으로도 교과서(1)를 깔끔히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의 나)에 도시한 것은 가)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써, 가)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표지삽입부(110)에 겉장이 삽입되고, 상기 표지삽입부(110)의 이면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양측으로 접합이 완료된 공책주머니(200)에 공책(2)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수업중에는 교과서(1)를 펴고, 공책(2)을 준비하여 수업중 필기하고 수업이 완료되면, 상기 공책주머니(200)에 공책(2)을 삽입하고 교과서(1)를 덮으면 해당과목에 관련한 교과서(1)와 공책(2)의 정리는 간단하게 완료되는 것이다.
도 4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어진 교과서(1)의 외부에 포장된 본 고안의 책 표지(1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된 공책주머니(200)에 공책(2)을 삽입함으로써, 정리가 끝나는 것이다.
한편 도 4의 나)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 책 표지(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학생들의 교과서(1)를 포장한 본 고안의 책표지 전면에 표찰꽂이(112)를 구비하여 학생들의 학년, 반 또는 이름, 과목명이 적힌 종이재의 표찰(112a)을 삽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표찰꽂이(112)에 삽입된 표찰(112a)에 의해 분실된 교과서(1)의 회수가 용이하고, 교과서(1)를 챙기는 학생들이 일일히 책의 내용을 살펴가며 교과서(1)를 챙기지 않고, 상기 표찰(112a)에 적힌 내용만 가지고도 확인이 가능하여 가방을 챙기는 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사무실에서도 갖가지 서류를 모아 보관이 가능한 서류철(書類綴) 또는 결재판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표찰꽂이(112)에 각 부서명이 적힌 표찰을 삽입하고, 결재서류를 본 고안의 책 표지(10)의 내부에 삽입한 후, 상기한 공책꽂이(200)에는 결재관련자료를 구비하여 결재할 때,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아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학생들이 책가방을 챙길 때, 해당 교과서와 같이 구비된 공책에 의해 책 따로 공책 따로 챙기는 시간을 절약하여 한결 여유있게 등교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대체적으로 주위가 산만한 초, 중, 고생들에게 정리하는 습관을 길러 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 고안의 책 표지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편 사무용으로도 사용하여 그 용도를 광범위하게 확대하여 학교나 사무 공간에서도 꼭 필요한 필수품을 공급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초, 중, 고등학생용 교과서(1)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포장하는 책 표지(10)에 있어서,
    상기 책 표지(10)는 펼쳐진 상태에서 양측에 교과서(1)의 표지가 삽입되도록 대향하는 'ㄷ'자로 형성된 표지삽입부(110)와, 상기 표지삽입부(110)의 중간에 소정의 두께가 형성되어 포장되는 책의 두께만큼 접히도록 형성된 절곡선(111)으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표지삽입부(110) 중 어느 한쪽의 이면에 접착되어 상기 본체에 의해 포장되는 과목의 공책(2)을 꽂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공책주머니(200)와;
    상기 표지삽입부(11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학습중인 쪽과 쪽 사이에 구비시키도록 하는 책갈피(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책용 주머니가 형성된 책표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와 공책주머니(200)와 책갈피(30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페트등의 합성수지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책용 주머니가 형성된 책표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와 공책주머니(200), 책갈피(300)의 접착은 고주파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 핫 멜트 접합중 어느것 한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책용 주머니가 형성된 책표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책주머니(200)의 반대편에는 표찰 꽂이(112)를 구비하여 이름 또는 부서명이 적힌 표찰(112a)을 끼워 넣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책용 주머니가 형성된 책표지.
KR2020010001565U 2001-01-19 2001-01-19 공책용 주머니가 형성된 책표지 Expired - Fee Related KR200225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65U KR200225953Y1 (ko) 2001-01-19 2001-01-19 공책용 주머니가 형성된 책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565U KR200225953Y1 (ko) 2001-01-19 2001-01-19 공책용 주머니가 형성된 책표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953Y1 true KR200225953Y1 (ko) 2001-06-01

Family

ID=7309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56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5953Y1 (ko) 2001-01-19 2001-01-19 공책용 주머니가 형성된 책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9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1681A (en) Method of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cardcarrier or menu
US6644697B1 (en) Integrated shopping list and coupon folder
US20060272185A1 (en) Greeting card holder
KR200225953Y1 (ko) 공책용 주머니가 형성된 책표지
US20060062494A1 (en) Bag with card holder
KR200349481Y1 (ko) 홀딩 기능을 포함하는 서적
KR20220074320A (ko) 문구 박스
JPS5943223Y2 (ja) 袋体
KR200391112Y1 (ko) 카드보관용 수첩
JP2515427Y2 (ja) 袋ファイル帳
JP3185375U (ja) 封筒兼用ファイル
JP2009214908A (ja) ポケット型レジ袋
JP2600153Y2 (ja) 袋ファイル帳
JPH1053291A (ja) ディスク収納ケース
JP2598342Y2 (ja) アルバム用ファイル帳
JP2025107116A (ja) スマートフォン用フォトフレーム
JP3111221U (ja) 書類整理用台紙
GB2093799A (en) Carrier bag
JP3173733U (ja) 名刺用紙並びに名刺
JP3117217U (ja) 書類整理用台紙
JP3047347U (ja) 眼鏡ケース
KR20030018213A (ko)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형성되어 학습과 보관이 용이한 책
KR20230115474A (ko) 책받침대
KR200313126Y1 (ko) 박스형 잡지
JP3027410U (ja) 書類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1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3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1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22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