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5761Y1 - 유동되게 끼워진 보석등이 고정된 장신용 체인 - Google Patents

유동되게 끼워진 보석등이 고정된 장신용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761Y1
KR200225761Y1 KR2019990004649U KR19990004649U KR200225761Y1 KR 200225761 Y1 KR200225761 Y1 KR 200225761Y1 KR 2019990004649 U KR2019990004649 U KR 2019990004649U KR 19990004649 U KR19990004649 U KR 19990004649U KR 200225761 Y1 KR200225761 Y1 KR 200225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jewelry
fixed
decorativ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238U (ko
Inventor
최상일
Original Assignee
최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일 filed Critical 최상일
Priority to KR2019990004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761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2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2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761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링 타입을 가압등의 방법으로 가공되어져 연결되어지는 장신용 체인의 일정간격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보석등이 외부의 손상이 없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고정토록 된 장식용 체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체인으로는 보석등의 양측에 중앙에 구멍이 관통된 금속제의 구슬을 끼워서 구슬을 가압함으로서 찌그러진 구슬이 체인에 고정되기 때문에 보석등이 일정간격으로 고정토록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보석의 사이에 찌그러진 금속등이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을 중시하는 장식용체인으로서의 값어치가 하락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판매나 수출이 만족한 만한 수준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금속성의 판재를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절단된 판재를 폭과 길이로 벤딩하여 일측이 개구된 환테로 구부려서 보석등의 좌우에 위치시킨 후 환테를 개구부가 오므라 들면서 밀착될 정도로 가압하면 환테의 가상자리가 요철형상으로 연결되어지는 체인에 걸려지도록 되면서 원형의 구슬모양이 유지토록 하면서 체인에 끼워진 보석등이 일정간격이 유지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보석등이 끼워져 고정되어진 장식용 체인

Description

유동되게 끼워진 보석등이 고정된 장신용 체인{Chain for decoration of jewelry is inserted moveble}
본 고안은 링타입을 가압등의 가공방법으로 연결되어지는 장신용 체인에 일정간격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보석등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고정토록 함에 있어서 보석등의 좌우에 환테를 이용하여 고정토록 되는 장식용 체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체인으로는 보석등의 양측에 중앙에 구멍이 관통된 금속제의 구슬을 끼워서 구슬을 가압함으로서 찌그러진 구슬이 체인에 고정되기 때문에 보석등이 일정간격으로 고정토록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보석의 사이에 찌그러진 금속등이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을 중시하는 장식용체인으로서의 값어치가 하락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판매나 수출이 만족한 만한 수준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체인이 연속되는 링의 연결방식에 의하여 연결된 후 가압공정에 의하여 가공되어져 제조되는 것이고 이러한 연결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요철부가 형성되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요철부에 걸려질 수 있도록 내부가 비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면서 일정폭으로 벌어져 있는 환테를 체인에 끼워진 보석등의 좌우로 위치토록 한후 벌어져 있는 환테를 가압하여 오무라트리면 환테의 가상자리가 체인의 요철부에 걸려지게 되면서 원형의 장식구가 보석등의 좌우에 위치토록 되면서 고정되어지게 한 것이다.
도 1은 체인에 보석등이 끼워져 장식구가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장식구의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환테 2: 개구부
3: 가상자리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명칭 및 부호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반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금속성 판재를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절단된 판재를 폭과 길이로 벤딩하여 일측이 개구되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토록 되는 환테(1)로 구부려서 체인(10)에 보석(11)등의 좌우에 끼어서 위치시킨 후 환테(1)를 가압하면 개구부(2)가 오므라 들게 되면서 환테(1)의 가상자리(3)가 요철형상으로 연결되어지는 체인(10)에 걸려지도록 되면서 체인(10)에 끼워진 보석(11)등이 일정간격이 유지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체인(10)에 끼여진 보석(11)등이 자전이 되면서 보석(11)등의 좌우에는 형태의 변형이 없는 원형의 장식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악세사리로서의 값어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체인이 요철형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환테(1)의 가상자리(3)가 체인(10)의 요철부에 걸려지게 되면서 환테(1)는 체인(10)의 손상을 입히지 않게 되면서 원형의 환테(1)가 보석(11)등의 좌우에 위치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환테(1)의 고정을 위하여는 고정을 위한 공구를 환테(1)가 오므라 들었을 경우에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요홈이 형성된 공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더욱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폭과 길이로 벤딩된 환테를 체인에 끼워진 보석등의 좌우에 고정토록 하??로서 보석등의 좌우에 고정된 환테가 원형의 형상을 유지토록 되면서 장신용 체인으로서의 제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금속성 판재를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절단된 판재를 폭과 길이로 벤딩하여 일측이 개구되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토록 되는 환테(1)로 구부려서 체인에 보석등의 좌우에 끼어서 위치시킨 후 환테(1)를 가압하면 개구부(2)가 오므라 들게 되면서 환테(1)의 가상자리(3)가 요철형상으로 연결되어지는 체인에 걸려지도록 되면서 체인에 끼워진 보석등이 일정간격이 유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체인.
KR2019990004649U 1999-03-23 1999-03-23 유동되게 끼워진 보석등이 고정된 장신용 체인 KR200225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649U KR200225761Y1 (ko) 1999-03-23 1999-03-23 유동되게 끼워진 보석등이 고정된 장신용 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649U KR200225761Y1 (ko) 1999-03-23 1999-03-23 유동되게 끼워진 보석등이 고정된 장신용 체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238U KR19990022238U (ko) 1999-06-25
KR200225761Y1 true KR200225761Y1 (ko) 2001-06-01

Family

ID=54755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649U KR200225761Y1 (ko) 1999-03-23 1999-03-23 유동되게 끼워진 보석등이 고정된 장신용 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76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462B1 (ko) * 2000-09-05 2003-09-13 이말용 금망사슬제 장식 액세서리용 구상 의장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238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772B1 (ko) 피어싱 결합구조를 갖는 장신용 구슬의 제조방법
KR200225761Y1 (ko) 유동되게 끼워진 보석등이 고정된 장신용 체인
KR100271609B1 (ko) 장신구의 스톤 고정 방법
US7665839B1 (en) Coupling device with breakawa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184156B1 (ko) 보석난집용 리드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보석난집 및 액세서리 제품
USD1044579S1 (en) Jewelry ornament
KR20020076968A (ko) 체인형 보석난집
JP5089937B2 (ja) 宝石用台座
KR200295868Y1 (ko) 장신구의 보석 고정구조
KR101878605B1 (ko) 절곡형 난집을 이용한 장신구용 칠보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
JPH08322615A (ja) 月甲丸の耳飾り
KR930007005Y1 (ko) 연결고리가 형성된 인조보석 홀더용 다이케스팅 후레임
KR200193482Y1 (ko) 치장품용 보석 고정구조
KR100451056B1 (ko) 장식용 보석하우징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N215776001U (zh) 一种流苏饰品
KR200248120Y1 (ko) 체인형 보석난집
KR20100035865A (ko) 귀걸이의 제조방법 및 그 귀걸이 구조
CN209915190U (zh) 一种饰品卡扣结构
KR100700202B1 (ko) 클립형 체결장치
KR200285962Y1 (ko) 장신구
KR200230658Y1 (ko)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KR200351597Y1 (ko) 장신구연결체
KR20010019597A (ko) 장신용 액세서리 체인의 제조방법
KR200229288Y1 (ko) 장식부재의 홀딩구조
JPH0657216U (ja) 留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3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3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3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