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4657Y1 - 유액화장품용 디스펜서의 반환장치 - Google Patents

유액화장품용 디스펜서의 반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657Y1
KR200224657Y1 KR2020000029899U KR20000029899U KR200224657Y1 KR 200224657 Y1 KR200224657 Y1 KR 200224657Y1 KR 2020000029899 U KR2020000029899 U KR 2020000029899U KR 20000029899 U KR20000029899 U KR 20000029899U KR 200224657 Y1 KR200224657 Y1 KR 200224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dispenser
connecting pipe
fluid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두코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두코무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두코무역
Priority to KR2020000029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6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65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액화장품용 디스펜서의 반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용기내의 유액화장품이 디스펜서를 통해 토출구로 일정액이 토출된 후 토출구내에 맺혀 있는 잔액을 안내관과 이 안내관 하단부에 삽입 연결되어 있는 축밸브의 피스톤 로드가 피스톤 작용을 하게되어 유액이 토출할 때는 토출압을 증가시켜주어서 유액토출을 원활히 하도록하고 또 토출후에는 흡인 반환(Feed back) 작용을 하므로 토출구에 맺혀 있는 유액을 흡인 반환시키도록 하여 유액이 토출구내에서 굳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유액화장품용 디스펜서의 반환장치 {Feed back device of a dispenser for latex cosmetic}
본 고안은 유액화장품용 디스펜서의 반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용기에 담긴 유액화장품이 디스펜서의 버튼을 눌렀을 때 토출구로 일정액의 유액화장품이 토출구로 부터 토출된 후 토출구내에 맺혀있는 잔액을 내부로 흡인 반환(Feed back) 하도록 하여 토출구에 잔류액이 말라 굳어있지 않도록 할 목적에 있다.
종래 유액화장품의 디스펜서는 실린더 내에 금속스프링을 내장시키고 상부 버튼으로 승강하도록 된 금속스프링에 의한 승강봉 하단에 금속원구가 유액 상승입구의 변좌를 개폐시키도록 구성시킨 것으로 이는 상부버튼을 눌러서 유액토출구로 유액화장품이 토출된 후는 잔류유액이 토출구에 그대로 맺혀있을 뿐아니라 토출구 내부에 유액이 계속 잔존하므로 장시간 후에는 굳어져서 막히는 폐단이 있고 또 유액의 오염이 있는 등의 폐단이 있었으며 또 스프링과 승강봉이 분리 조립되므로 제작과 조립시 인품이 많이 소요되므로 고가로 생사케되고 또 스프링과 원구(볼)가 금속으로 되어있어 장기간 사용시 산화되므로 유액화장품의 변질 및 품질을 손상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그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디스펜서의 내부 구조를 달리 개선한 것으로 디스펜서의 상부버튼으로 상,하작용하게 된 안내관 하부에 경사원형 변좌를 같이 형성함과 동시에 받침스프링을 안내관과 동일 합성수지재로서 단일체로 형성하여 병마개와 결합시킨 몸통내의 삽입 설치하고 그 몸통내의 받침스프링 중심부로 축밸브를 삽입 설치하되 축밸브 상단 피스톤로드가 안내관 내부로 삽입 연결되어져서 유액 토출을 위한 버튼을 눌렀을 때는 받침스프링의 수축과 함께 안내관 하부가 축밸브의 피스톤로드에 깊게 삽입되어지는 피스톤작용으로 토출구에서의 유액토출압을 증가하도록 하고 또 유액토출후에는 눌렀던 버튼을 놓으면 수축되었던 받침스프링의 탄발작용으로 안내관이 상승과 동시에 축밸브의 피스톤로드가 안내관에서 빠져나오는 흡인작용으로 토출구 및 토출구내에 잔존한 유액을 흡인 반환(Feed back)시키므로 토출구로 배출되고 남은 잔류 유액이 잔존하지 않게할 목적으로 개선시킨 구조일 뿐더러, 안내관은 변좌 및 받침스프링과 합성수지재로 단일체로 구조를 형성하므로 취급과 조립이 간단하고 또 산화성이 없어 유액화장품의 변질 및 품질손상이 없는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착안한 것인바 이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 상부 버튼을 눌러 유액화장품이 토출되는 상태의 작용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 내부 부품 안내관 축밸브 실린더밸브를 꺼내 전개시킨 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병마개 1′: 기복부 2 : 관통공
3 : 몸통 3′: 플랜지부 4 : 체결관
5 : 연결관 6 : 버튼 7 : 토출구
8 : 상부원형홈 8′: 하부원형홈 10 : 안내관
11 : 경사원형변좌 12 : 받침스프링 13 : 받침턱
16 : 걸림턱 17 : 유액유통로 20 : 축밸브
21 : 유액유입공 22 : 피스톤로드
유액화장품용기(30)의 병구에 나사식 체결하게 된 병마개(1) 중간의 기복부 (1′)내에 관통공(2)을 형성한 저면에 유액화장품용기(30) 내로 주입케 되는 몸통 (3) 상부 플랜지부(3′)를 밀착 고정하고 또 기복부(1′)내의 관통공(2)에는 체결관(4)을 끼워 몸통(3) 내에 삽입 설치하여 체결관(4) 내에 연결관(5)을 삽입 설치하고 연결관(5) 상단에는 토출구(7)를 관통 형성시킨 버튼(6)을 체결 연결한 디스펜서(D)에 있어서, 상,하부에 원형홈(8)(8′)을 가진 실린더밸브(9)를 체결관(4) 하단내에 삽입 설치하여 연결관(5) 하단이 실린더밸브(9)의 상부 원형홈(8)에 삽입 승강될수 있게하고, 연결관(5)의 관내 및 몸통(3) 하부내에는 안내관(10) 하부에 경사원형변좌(11)를 같이 형성함과 동시에 받침스프링(12)을 길게 동일 합성수지재로서 단일체로 형성하여 몸통(3) 하부 받침턱(13)에 걸리게 삽입 설치하여 경사원형변좌(11)가 실린더밸브(9) 하부면에 접촉과 이탈되어 개폐되게 하고 또 안내관 (10) 상단은 연결관(5)의 내벽에 다수 돌출형성시킨 걸림턱(16)에 걸려서 상부 버튼(6)을 눌렀을때 연결관(5) 및 안내관(10)이 동시 하강작용 하도록 구성하고 또 이로 인하여 연결관(5)과 안내관(10) 사이와 실린더밸브(9)와 안내관(10) 외면 사이에 유액유통로(17)가 구성되어져서 연결관(5) 내의 걸림턱(16) 길이방향과 버튼 (6)내의 유액실(18)을 따라 토출구(7)로 배출 될수 있게 구성하였다.
또한 몸통(3)내의 받침스프링(12) 중심부에는 축밸브(20) 하부가 몸통(3) 저면의 유액유입공(21)을 개폐할 수 있게 세워 설치하여 축밸브(20) 상단 피스톤로드 (22)가 안내관(10) 하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연결구성하여 버튼(6)을 눌렀다 놓으면 피스톤로드(22)가 안내관(10) 내에서 피스톤 작용을 할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3은 유액흡인호오스, 24는 패킹, 25는 기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디스펜서(D) 상부 버튼(6)을 통상의 방법으로 눌렀다 놓으면 유액화장품용기(30) 내의 유액이 유액흡인호오스(23)을 따라 축밸브 (20)가 약간 들리면서 몸통(3) 내로 유입되어지고 또 안내관(10) 하부에 형성된 경사원형변좌(11)가 실린더밸브(9) 하부면에 접촉시는 막히고 이탈될시는 열여져서 유액이 유통상승하여 유액유통로(17)를 따라 연결관(5)내 상부와 버튼(6)내의 유액실(18)과 토출구(7)을 따라 토출케 되는데, 본 고안은 유액화장품을 일정양식 토출시키기 위하여 상부 버튼(6)을 누르면 지압에 의하여 버튼(6) 하부에 연결시킨 연결관(5)과 그 내부의 걸림턱(16)에서 걸리게 연결 설치시킨 안내관(10)이 하부의 받침스프링(12)을 수측시키므로 하강하고 동시에 경사원형변좌(11)가 실린더밸브 (9) 하부에서 이탈케되므로 개변케되어서 유액이 상승 토출케 됨과 동시에 축밸브 (20) 상부의 피스톤로드(22)는 안내관(10) 내부에서 상승하여 피스톤 작용을 하게되므로 토출구(7)에서의 유액배출이 원활한 효과가 있고 또 눌렀던 버튼(6)을 놓으면 위에서 수축되었던 받침스프링(12)의 탄발작용에 의하여 안내관(10) 연결관(5) 및 버튼 (6)이 원상복귀 되면서 상승하므로 이때 경사원형변좌(11)가 실린더밸브 (9) 하부에 접촉 폐변시키므로 유액상승이 중단됨과 동시에 안내관(10) 하부에 끼워져 있는 축밸브(20)의 상부 피스톤로드(22)가 안내관(10)의 상승으로 빠지면서 유액을 흡인시켜 토출구(7) 내의 잔류유액이 흡인반환(Feed back) 되어지므로 토출구(7)에 잔류유액이 남아 있지 않게 되므로 유액이 굳어 막히거나, 오염이 없고 유액토출이 원할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안내관(10) 하부 경사원형변좌(11) 밑에 받침스프링(12)이 동일 합성수지재의 단일체로 형성시킨 구조이므로 조립제작이 간단하고 또 합성수지재로 되므로 산화성이 없어 유액화장품의 변질이 없는 이점도 있다.

Claims (2)

  1. 병마개(1) 중간 기복부(1′)에 관통공(2)을 형성한 저면에 몸통(3) 상부 플랜지부(3′)를 밀착 고정하고 관통공(2)에 체결관(4)을 끼워 설치한 내부로 연결관 (5) 하부를 삽입 설치하고 연결관(5) 상단에는 토출구(7)를 관통형성시킨 버튼(6)을 체결결합한 디스펜서(D)에 있어서, 상,하부에 원형홈(8)(8′)을 가진 실린더밸브(9)를 체결관(4) 하단내에 삽입 설치하여 연결관(5) 하단에 실린더밸브(9)의 상부원형홈(8)에 삽입되게하고 경사원형변좌(11)와 받침스프링(12)을 안내관(10) 하부에 단일체로 형성하여 안내관(10) 상단은 연결관(5) 내벽에 돌출 형성시킨 걸림턱(16)에 걸리고 받침스프링(12) 하부는 몸통(3) 하부 받침턱(13) 위에 지지되어져서 연결관 (5) 내면과 안내관(10) 외면사이에 유액유통로(17)를 구성함과 동시에 경사원형변좌(11)는 실린더밸브(9) 하부를 개폐할 수 있게하고 몸통(3) 하부 유액유입공(21) 내부에는 받침스프링(12) 중심부로 축밸브(20)를 세워 상부 피스톤로드 (22)가 안내관(10) 하부내에 삽입되어 연결 결합한 유액화장품용 디스펜서의 반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안내관(10)은 안내관(10) 하부에 경사원형변좌(11)과 받침스프링(12)을 합성수지 단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액화장품용 디스펜서의 반환장치.
KR2020000029899U 2000-10-26 2000-10-26 유액화장품용 디스펜서의 반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24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899U KR200224657Y1 (ko) 2000-10-26 2000-10-26 유액화장품용 디스펜서의 반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899U KR200224657Y1 (ko) 2000-10-26 2000-10-26 유액화장품용 디스펜서의 반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657Y1 true KR200224657Y1 (ko) 2001-05-15

Family

ID=7305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89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4657Y1 (ko) 2000-10-26 2000-10-26 유액화장품용 디스펜서의 반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65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9966A (zh) * 2019-11-27 2020-04-10 中山市联昌喷雾泵有限公司 一种带回吸结构的乳液泵
CN111169800A (zh) * 2020-02-28 2020-05-19 浙江晟祺实业有限公司 一种揿压式乳液喷头
CN112353687A (zh) * 2020-11-09 2021-02-12 湖南乐福地医药包材科技有限公司 一种免穿刺输液瓶盖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9966A (zh) * 2019-11-27 2020-04-10 中山市联昌喷雾泵有限公司 一种带回吸结构的乳液泵
CN111169800A (zh) * 2020-02-28 2020-05-19 浙江晟祺实业有限公司 一种揿压式乳液喷头
CN112353687A (zh) * 2020-11-09 2021-02-12 湖南乐福地医药包材科技有限公司 一种免穿刺输液瓶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816B1 (ko) 내용물 정량 토출과 누액방지 및 변질방지 기능을 갖는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AU717120B2 (en) Liquid jet pump
FI76712B (fi) Handmanoevrerad sprayanordning.
JP4099327B2 (ja) 物質分配ポンプ
US20030223881A1 (en) Manual/pneumatic oil pumping device
CN109661276B (zh) 防水型泵分配器
KR20180111365A (ko) 디스펜서 펌프
KR200224657Y1 (ko) 유액화장품용 디스펜서의 반환장치
KR102125725B1 (ko) 펌프 디스펜서
KR20200118548A (ko)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는 백플로우 펌핑장치
KR200428943Y1 (ko) 디스펜서
KR20100022603A (ko) 펌핑 노즐을 일체로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332098Y1 (ko) 화장품 배출장치
JP4265018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霧容器
KR20200052204A (ko) 방수 기능을 가진 액체용기용 펌핑장치
JP4305756B2 (ja) 塗布容器
CN112575543B (zh) 一种可减少滴液量的抽液结构
JPH03182688A (ja) 手動ポンプ
CN114789850A (zh) 一种超级防水按压泵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200241101Y1 (ko) 용기의 펌핑 장치용 밸브
JP3765293B2 (ja) ディスペンサーポンプ
JP2005271924A (ja) 液吐出器
CN207157873U (zh) 一种防污染的真空泵头
KR200205301Y1 (ko) 용기의 펌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102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3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0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2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