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2439Y1 -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 - Google Patents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439Y1
KR200222439Y1 KR2020000033457U KR20000033457U KR200222439Y1 KR 200222439 Y1 KR200222439 Y1 KR 200222439Y1 KR 2020000033457 U KR2020000033457 U KR 2020000033457U KR 20000033457 U KR20000033457 U KR 20000033457U KR 200222439 Y1 KR200222439 Y1 KR 200222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plate
lower plate
side block
brid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대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알
Priority to KR2020000033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43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판에 이동 제한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제한부의 이동제한 거리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일체화된 사이드 블럭을 설치한 것으로 상기 사이드 블럭은 하부판에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체결을 위한 탭구멍과 결합하여 고정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11)에 앵커볼트(12)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상부판(1)과 교각에 앵커볼트(8)을 개재하여 안착되는 하부판(7) 및 상기 상부판(1)과 하부판(7) 사이에 개재되어 압축력과 변형력을 지지하는 고무 패드(6)로 구성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의 양측면에자형으로 이동제한부(5)를 형성하고, 단면이

Description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Bridge Bearing equipped with deck restrainer}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는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판의 하중과 변형을 받아주는 교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진 등으로 인하여 낙교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가진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교좌장치에는 베어링을 사용하는 포트베어링(Pot Bearing)타입과 탄성 고무재의 패드내 스틸 플레이트을 삽입한 패드슈(Pad shoe) 타입 및 기타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고안은 특히 패드슈 타입 교좌장치를 개량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판과 교량 사이에 진동이나 충격력을 흡수하면서 수평 및 회전 변위를 받아주는 기능을 가지는 교좌장치를 설치하여 상판에 작용되는 외력이 교각에 미치지 않게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지진등으로 인하여 교각이나 교량상판의 변위가 큰 경우에 대비한 낙교방지 장치가 일반화 되지 않아, 지진 등이 일어날 경우 낙교 가능성이 높은 실정이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 가이드 부재를 사용되기는 하나, 쐐기편(cleat)(12)(13)을 상하판에 용접해야 하므로 상하판이 열변형 되기 쉽고, 제작공수와 제작비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판에 이동 제한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제한부의 이동제한 거리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일체화된 사이드 블럭을 설치한 것으로 상기 사이드 블럭은 하부판에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체결을 위한 탭구멍과 결합하여 고정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구성으로 지진 등으로 인하여 교각이나 교량상판의 변위가 클 경우를 대비한 낙교방지 장치을 제공하고, 일체화된 사이드 블럭을 사용함으로서 제작이 간편하고 제작비가 저렴하게 한 교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의 구성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의 조립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를 교량에 장착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고무패드의 단면도
도 5는 종래기술의 교좌장치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판 2 : 앵커볼트
3 : 사이드 블럭 4 : 볼트
5 : 이동제한부 5': 슬라이딩 부재
6 : 고무패드 7 : 하부판
8 : 앵커볼트 9 : 탭구멍
10 : 교각 또는 교대 11 : 교량 상판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 전개도로서 그 내부 구성을 알 수 있도록 상,하부판을 펼친 상태로 전개한 전개도이고, 도 2는 사용상태인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11)에 앵커볼트(12)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상부판(1)과 교각에 앵커볼트(8)을 개재하여 안착되는 하부판(7) 및 상기 상부판(1)과 하부판(7) 사이에 개재되어 압축력과 변형력을 지지하는 고무 패드(6)로 구성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의 양측면에자형으로 이동제한부(5)를 형성하고, 단면이자형상이고 그 하단부에 볼트공이 형성된 일체형 사이드 블럭(3)을 하부판(7)의 양측면에 고정하여 상기 상부판(1)과 하부판이 서로 맞물리게 한 것이다. 또 상기 상기 이동제한부(5) 내면에 슬라이딩 부재(5')를 개재하고, 상기 사이드 블럭(3)에는 상부판과 접촉부위에도 슬라이딩 부재(3')를 개재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3은 교각(10)과 교량 상판에 본 고안의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를 장착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고무패드(6)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무패드(6)는 그 내부에 스틸 플레이트(12)를 몇 겹으로 탄성고무 내부 사이에 쌓아 놓은 형상으로 성형된 것이고 상부판(1)과 하부판(7) 사이에 개재되어 압축력과 변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단면이자형상으로 되어 하부판(7)에 볼트(4)로 체결하여 견고히 고정되는 일체형의 사이드 블럭(3)을 설치함으로서 지진 등으로 인하여 교각이나 교량상판의 변위가 클 경우 사이드 블럭(3)이 교축방향 교축직각방향으로 변위를 제한하게 할 수 있게되어 낙교를 방지할 수 있는 방지장치를 제공하고, 낙교 방지 장치인 사이드 블럭(3)을 이동제한부(5)의 일면과 접촉하면서 하부판(7)에 볼트 체결로 고정하도록 일체화 함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가 저렴하게 된다.
또한 사이드 블럭(3)에는 상부판(1)과의 접촉부위에는 슬라이딩 부재(3')를 개재하고, 이동제한부(5) 내면에도 슬라이딩 부재(5')를 개재함으로서 사이드 블럭(3)과 상부판(1)의 접촉면 및 이동제한부(5)의 내면과의 마찰력을 저감시키게 되어 원활하게 수평 및 회전 변위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교좌장치에 사이드 블럭(3)을 설치함으로서 지진 등으로 인한 교각이나 교량상판의 과도한 변위에 따른 낙교방지가 가능하고, 또한 사이드 블럭(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수평이동 가이드부재로 쇄기편을 상하편에 용접하지 않아도 되어 상하판의 용접으로 인한 열변형을 없게되고, 설치가 용이하며 제작비가 저렴한 잇점이 있다. 또한, 사이드 블럭(3)에는 상부판(1)과의 접촉부위 및 이동제한부 내면에 슬라이딩 부재(5')를 개재함으로서 사이드 블럭(3)의 마찰력을 저감시키게 되어 원활하게 수평 및 회전 변위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교량의 상판(11)에 앵커볼트(12)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상부판(1)과 교각에 앵커볼트(8)을 개재하여 안착되는 하부판(7) 및 상기 상부판(1)과 하부판(7) 사이에 개재되어 압축력과 변형력을 지지하는 고무 패드(6)로 구성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의 양측면에자형으로 이동제한부(5)를 형성하고, 단면이자형상이고 그 하단부에 볼트공이 형성된 일체형 사이드 블럭(3)을 하부판(7)의 양측면에 고정하여 상기 상부판(1)과 하부판(7)이 서로 맞물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5) 내면에 슬라이딩 부재(5')를 개재하고, 상기 사이드 블럭(3)에는 상부판과 접촉부위에도 슬라이딩 부재(3')를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
KR2020000033457U 2000-11-29 2000-11-29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22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457U KR200222439Y1 (ko) 2000-11-29 2000-11-29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457U KR200222439Y1 (ko) 2000-11-29 2000-11-29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439Y1 true KR200222439Y1 (ko) 2001-05-02

Family

ID=7308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457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2439Y1 (ko) 2000-11-29 2000-11-29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43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891A (ko) * 2001-10-15 2002-12-18 유니슨산업 주식회사 앵커가 함입되어 볼트결합된 사각 내진포트받침
KR100402954B1 (en) * 2002-08-12 2003-10-30 Anpoong Construction Co Ltd Bridge seat system for pulling and preventing fall of bridge bea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N108086142A (zh) * 2017-12-28 2018-05-29 中交公路养护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围挡式防落梁板式橡胶支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891A (ko) * 2001-10-15 2002-12-18 유니슨산업 주식회사 앵커가 함입되어 볼트결합된 사각 내진포트받침
KR100402954B1 (en) * 2002-08-12 2003-10-30 Anpoong Construction Co Ltd Bridge seat system for pulling and preventing fall of bridge bea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N108086142A (zh) * 2017-12-28 2018-05-29 中交公路养护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围挡式防落梁板式橡胶支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9586B2 (ja) 鋼製支承及び橋梁の支承装置
US7419145B2 (en) Friction damper
JP2002180418A (ja) 橋梁における免震構造系
JP4803455B2 (ja) 免震装置
KR100283782B1 (ko) 구조물의 지진격리용 마찰감쇠형 고무받침
KR200222439Y1 (ko)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
KR20060084173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용 면진교좌장치
JP4292127B2 (ja) 橋梁用支承装置
KR100577967B1 (ko) 구조물용 베어링장치
KR200402133Y1 (ko) 가동형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KR100992615B1 (ko)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
KR200272144Y1 (ko) 반원통형 교좌장치
KR200285855Y1 (ko) 탄성받침을 갖는 교량용 교좌장치
KR100448486B1 (ko) 교좌장치
US20030091247A1 (en) Bearing assembly for a bridge
JP2562945Y2 (ja) 可動支承
JP2662774B2 (ja) 構造物用免震支承構造
KR20030075361A (ko) 내진보강용 합성교좌장치
KR200228272Y1 (ko) 충격완화용 일방향 교좌장치
JP2004232367A (ja) 免震装置
JP3915036B2 (ja) 橋梁用伸縮継手の設置構造
JP2002194712A (ja) 橋梁用ゴム支承装置
JP2001131914A (ja) 橋桁の制震支持構造
KR200247423Y1 (ko) 앵커가 매입되고 부반력 저항 장치가 부착된 사각내진포트받침
KR20020094891A (ko) 앵커가 함입되어 볼트결합된 사각 내진포트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112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2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1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1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1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412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9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