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1139Y1 - 지중선로표시기 - Google Patents

지중선로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139Y1
KR200221139Y1 KR2019990000398U KR19990000398U KR200221139Y1 KR 200221139 Y1 KR200221139 Y1 KR 200221139Y1 KR 2019990000398 U KR2019990000398 U KR 2019990000398U KR 19990000398 U KR19990000398 U KR 19990000398U KR 200221139 Y1 KR200221139 Y1 KR 200221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head
fixing
indicator
wash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806U (ko
Inventor
백해일
Original Assignee
백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해일 filed Critical 백해일
Priority to KR2019990000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139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8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13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선로 또는 관로의 매설 위치 및 매설 방향을 보여 지중선로표시기(地中線路標示器)에 관한 것으로, 지중 선로를 표시하는 머리부, 머리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머리부를 보호하는 보호와셔(washer)로 이루어진 지중선로표시기에 있어서, 머리부와 고정부를 일체로 성형하고 보호와셔 가운데 부분 저면에 요철을 형성시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머리부가 회전하거나 고정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고정부에 단면형상이 삼각형인 다수개의 세로돌기를 형성시키고 세로돌기 아래에 다수개의 가로돌기를 형성시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고정부가 회전하거나 빠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초기에 설정한 선로의 매설 위치 및 매설 방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한 지중선로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선로표시기{UNDERGROUND LINE MARKER}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선로 또는 관로(이하 “선로 또는 관로” 를 “선로”라 함)의 매설 위치 및 매설 방향을 보여주는 지중선로표시기(地中線路標示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선로를 표시하는 머리부, 머리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머리부를 보호하는 보호와셔(washer)로 이루어진 지중선로표시기에 있어서, 머리부와 고정부를 일체로 성형하고 보호와셔 가운데 부분 저면에 요철을 형성시키며 고정부에 단면형상이 삼각형인 다수개의 세로돌기를 형성시키고 세로돌기 아래에 다수개의 가로돌기를 형성시킨 지중선로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건축물의 지하에 매설된 각종 선로의 매설 위치 및 매설방향을 지상에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로 매설 공사가 완료된 지면에 지중선로표시기를 설치한다.
그 설치방법을 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로(11)가 매설된 지면(12)에 홈(13)을 파고 홈(13)에 지중선로표시기(10)를 넣고 지중선로표시기(10) 주위에 시멘트몰타르 등 고정재(14)를 넣어 고정시킨다.
도 2 내지 도 5로부터 이러한 지중선로표시기의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지중선로표시기의 도면으로, 지중 선로를 표시하는 머리부(20), 머리부(20)를 고정하는 고정부(40) 및 머리부(20)를 보호하는 보호와셔(30)로 이루어진 지중선로표시기를 보인다.
이러한 지중선로표시기는 보호와셔(30) 가운데 부분의 결합공(31)에 머리부(20)를 끼워 넣은 후, 머리부(20) 하단면의 결합홈(22)에 고정부(40)의 상단 원형부분(41)을 밀어 넣고 핀홀들(23,44)을 나란하게 맞춘 다음, 핀홀들(23,44)에 고정핀(45)을 체결하여 조립한다. 이때 머리부(20) 상단면에는 지중 선로를 표시하는 표시부(21)가 양각되어 있고, 고정부(40)에는 세로돌기(42)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40) 세로돌기(42) 하단에는 갈고리부분(43)이 형성되어 있고, 보호와셔(30) 라운드(32) 하단면에는 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지중선로표시기는 도로에 설치될 경우 통행 차량의 타이어 등으로부터 큰 충격을 반복적으로 받게 되는데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머리부(20)와 고정부(40)를 체결한 고정핀(45)이 쉽게 파손되고 보호와셔(30)라운드(32) 하단면에 듬성듬성 있는 돌기(33)도 쉽게 파손되어 표시부(21)가 양각된 머리부(20)가 망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지중선로표시기의 머리부(20)가 망실된 경우에는 지중 선로의 매설 위치를 찾지 못하게 되어 차후의 굴착 공사시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지중선로표시기는 고정부(40)에 단면형상이 사다리꼴인 세로돌기(42)가 4개 있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고정부(4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부(40) 세로돌기(42) 하단에 갈고리부분(43)이 4개 있어 고정부(40)가 고정재(14)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고정부(40)의 세로돌기(42) 및 갈고리부분(43)은 고정재(14)와의 접촉면적이 작아 고정부(40)의 회전이나 빠짐을 방지하는 힘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다른 지중선로표시기의 도면으로, 지중 선로를 표시하는 머리부(50), 머리부(50)를 고정하는 고정부(60) 및 머리부(50)를 보호하는 보호와셔(51)로 이루어진 지중선로표시기를 보인다. 이때 머리부(50)와 보호와셔(51)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지중선로표시기는 일체로 성형된 보호와셔(51) 및 머리부(50)의 하단면 결합홈(54)에 고정부(60) 상단 원형부분(41)을 압착하여 조립한다. 이때 일체로 성형된 보호와셔(51) 및 머리부(50)의 상단면에는 표시부(53)가 양각되어 있고, 고정부(60)에는 세로돌기(62)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60) 세로돌기(62) 하단에는 갈고리부분(6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지중선로표시기는 도로에 설치될 경우 통행 차량 타이어 등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머리부(50)가 회전하거나 고정부(60)로부터 쉽게 빠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표시부(53)가 양각된 머리부(50)가 회전하여 표시부(53)의 지시방향이 잘못된 경우에는 오판으로 인한 대형 굴착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머리부와 고정부를 일체로 성형하고 보호와셔 가운데 부분 저면에 요철을 형성시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머리부가 회전하거나 고정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고정부에 단면형상이 삼각형인 다수개의 세로돌기를 형성시키고 세로돌기 아래에 다수개의 가로돌기를 형성시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한 고정부의 회전이나 빠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한 지중선로표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지중선로표시기의 설치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지중선로표시기의 조립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다른 지중선로표시기의 조립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지중선로표시기의 조립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및 DD′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중선로표시기 11 : 선로 12 : 지면
13 : 홈 14 : 고정재 20 : 머리부
21 : 표시부 22 : 결합홈 23 : 핀홀
30 : 보호와셔 31 : 결합공 32 : 라운드
33 : 돌기 40 : 고정부 41 : 원형부분
42 : 세로돌기 43 : 갈고리부분 44 : 핀홀
45 : 고정핀 50 : 머리부 51 : 보호와셔
53 : 표시부 54 : 결합홈 60 : 고정부
61 : 원형부분 62 : 세로돌기 63 : 갈고리부분
70 : 머리부 71 : 고정부 72 : 지주부
73 : 표시부 74 : 세로돌기 75 : 가로돌기
80 : 보호와셔 81 : 표면부 82 : 결합공
83 : 요철 84 : 라운드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지중선로표시기의 조립사시도 및 분리사시도로서, 지중 선로를 표시하는 머리부(70), 머리부(70)를 고정하는 고정부(71) 및 머리부(70)를 보호하는 보호와셔(80)로 이루어진 지중선로표시기를 보인다. 이때 머리부(70)와 고정부(71)는 일체로 성형되어 지주부(支柱部)(72)를 이룬다.
본 고안의 지중선로표시기를 구성하는 부품을 자세히 보면, 우선 머리부(70) 및 고정부(71)가 일체로 성형된 지주부(72)는 상단면에 지중 선로를 표시하는 표시부(73)가 양각되어 있고 중간 부분에 단면형상이 삼각형인 세로돌기(74)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세로돌기(74) 아래에 다수개의 가로돌기(75)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고, 보호와셔(80)는 가운데 부분에 결합공(82)이 형성되어 있고 외곽에 라운드(8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 부채살 모양의 요철(83)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의 지중선로표시기의 구성부품의 재질은 금속으로 지주부(72)의 재질은 황동이 바람직하고, 보호와셔(80)의 재질은 주철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지중선로표시기는 보호와셔(80)의 결합공(82)에 지주부(72)를 압착하여 조립한다.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및 DD′선 단면도로서, 머리부(70)와 고정부(71)가 일체로 성형된 지주부(72)에 보호와셔(80)가 조립되고 보호와셔(80) 저면에 요철(83)이 형성되며 고정부(71) 중간 부분에 단면형상이 삼각형인 다수개의 세로돌기(74)가 형성되고 세로돌기(74) 아래에 다수개의 가로돌기(75)가 형성된 본 고안의 지중선로표시기를 보여준다. 이때 머리부(70) 상단면에 있는 표시부(73)는 보호와셔(80)의 라운드(84) 표면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훼손, 마모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조립한 본 고안의 지중선로표시기는 종래의 지중선로표시기와 마찬가지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로(11)가 매설된 지면(12)에 홈(13)을 파고, 홈(13)에 본 고안의 지중선로표시기를 넣고 지중선로표시기 주위에 시멘트몰타르 등 고정재(14)를 넣어 고정, 설치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지중선로표시기는 머리부(70)와 고정부(71)를 일체로 성형하고 보호와셔(80) 가운데 부분의 저면에 요철(83)을 형성시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머리부(70)가 회전하거나 고정부(71)로부터 빠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초기에 설정된 표시부(73)의 위치 및 방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본 고안의 지중선로표시기는 고정부(71)에 단면형상이 삼각형인 세로돌기(74)를 다수개 형성시켜 종래의 단면형상이 사다리꼴인 세로돌기 4개를 가진 지중선로표시기에 비하여 고정재(14)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고정부(71)의 회전을 방지하는 힘을 강화시켰다.
또 본 고안의 지중선로표시기는 고정부(71)의 세로돌기(74) 아래에 다수개의 가로돌기(75)를 형성시켜 종래의 고정부 하단에 갈고리부분 4개를 가진 지중선로표시기에 비하여 고정재(14)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고정부(71)의 빠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지중선로표시기는 머리부(70)가 보호와셔(80)의 라운드(84)표면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훼손,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의 지중선로표시기는 상기한 장점들로 인하여 통행 차량의 타이어 등 외부로부터 반복적으로 전달되는 큰 충격에도 잘 견디도록 함으로써 차후의 굴착공사시 초기에 설정한 선로 매설 위치 및 매설 방향을 정확하게 찾아 안전한 굴착공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1)

  1. 상단면에 표시부(73)가 양각되어 있는 머리부(70)와 중간 부분에 단면형상이 삼각형인 다수개의 세로돌기(74)가 형성되어 있고 세로돌기(74) 아래에 다수개의 가로돌기(75)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71)가 일체로 성형된 지주부(72)가, 가운데부분에 결합공(82)이 형성되어 있고 외곽에 라운드(8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 요철(83)이 형성되어 있는 보호와셔(80)의 결합공(82)에 압착되어 조립된 지중선로표시기.
KR2019990000398U 1999-01-13 1999-01-13 지중선로표시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21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398U KR200221139Y1 (ko) 1999-01-13 1999-01-13 지중선로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398U KR200221139Y1 (ko) 1999-01-13 1999-01-13 지중선로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806U KR19990021806U (ko) 1999-06-25
KR200221139Y1 true KR200221139Y1 (ko) 2001-04-16

Family

ID=5475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39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1139Y1 (ko) 1999-01-13 1999-01-13 지중선로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1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603B1 (ko) * 2006-02-16 2006-05-26 제일설계(주) 건축 단지내 전력 케이블 표시장치 및 설치방법
KR101240625B1 (ko) * 2011-07-25 2013-03-11 한국전력공사 지중 선로 표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806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02694A1 (en) Post installation
US20040265056A1 (en) Road stud
US4908249A (en) Markers for hydrants and other underground utilities fixtures
KR200221139Y1 (ko) 지중선로표시기
KR200148427Y1 (ko) 지중 선로 표시기
KR200495483Y1 (ko) 가스 배관 표시용 라인 마크
JPS6027126Y2 (ja) 道路鋲
US2005170A (en) Traffic marker
KR200459342Y1 (ko) 라인마크
KR100413179B1 (ko) 도로표지병
EP3543404A1 (en) Road stud
KR200269962Y1 (ko) 지중선로 표시기
JPH11293634A (ja) ポール組立キット
KR910008139Y1 (ko) 차선 표시대
KR200223974Y1 (ko) 도로 표지병
KR200262349Y1 (ko) 지중선로표시기의 매설물 깊이 표시장치
KR19990004487U (ko) 지하매설물의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못
KR20030050537A (ko) 지중선로표시기
KR200395027Y1 (ko) 지중화된 케이블관 표시용 보조표지주
JPH11131429A (ja) 視線誘導標
KR200274085Y1 (ko) 측량경계 표시구
KR20030013859A (ko) 도로표지병
KR0115532Y1 (ko) 차선 표시기
KR200363943Y1 (ko) 자석이 내장된 지하매설관 탐지용 관로표지핀
KR200378138Y1 (ko) 도로의 차도 경계블럭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1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2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2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2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