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20700Y1 - 장식겸용 토기 방향제 - Google Patents

장식겸용 토기 방향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700Y1
KR200220700Y1 KR2020000030453U KR20000030453U KR200220700Y1 KR 200220700 Y1 KR200220700 Y1 KR 200220700Y1 KR 2020000030453 U KR2020000030453 U KR 2020000030453U KR 20000030453 U KR20000030453 U KR 20000030453U KR 200220700 Y1 KR200220700 Y1 KR 200220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earthenware
product
container
deco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4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경
Original Assignee
김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경 filed Critical 김서경
Priority to KR2020000030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7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70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통적인 토기소지 제품에 특수 투명유약을 입혀 소성한후 향료를 첨가하여 장식을 겸한 방향제로 사용할 수 있는것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방향제품은 용기에 향료를 담아서 사용하거나 향이나는 꽃이나 잎을 용기나 천 주머니에 넣어 사용하는것을 상기 토기제품은 향료를 제품에 흡수 시킨후 향냄새가 나도록 개선한 것이며 일정기간 사용후 필요에따라 개개인이 좋아하는 향을 본인이 직접 선택하여 제품에 흡수 시켜 사용할 수 있고 우리의 전통색상과 질감 그리고 전통문양의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제공된다.

Description

장식겸용 토기 방향제{EARTHEN WARE AROMATIC WITH DECORATION.}
본고안은 토기제품 자체에 향료를 흡수시켜 만든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기제품 소성시 소성온도 차이에 의해서 향료의 흡수율을 높이고 향료의 흡수하는 면적을 조절하여 향 냄새가 나는 시간을 길게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의 용기 형태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기안에 향료를 담아 향 냄새가 나오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본 토기제품은 토기흙을 소성하여 흙을 유리화 시키지 않고 유약으로 얇은 피막을 만들고 일부분은 피막을 입히지 않아 그 부분으로 향료를 흡수시켜 향이 나오며 증발되는 시간을 연장 시켰고(6개월) 또 장시간 경과되어 향이 증발되어 향냄새가 나지 않을때 다시 향료를 흡수시키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개개인의 기호에 따라 향을 선택하여 향료를 흡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향료용기는 용기안에 향료를 담아 사용 하므로 향기가 나는 시간이 짧고 교체할 때 용기까지 바꾸어야 하는 경제적 낭비와 용기를 벽에 걸거나 할때 또다른 포장용기가 필요한 단점과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토속적인 토기 제품에 한국의 전통적인 문양으로 제작되어 모든공간과 장소에 쉽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 향냄새가 나는 시간을 최대한 길게한 토기향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방향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고안에 따른 장식겸용 토기방향제의 사시도
도3은 상기 실시예의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토기소지 4. 투명한 유약
6. 향료 8. 용기
본 고안에 따르면 토기향 제품의 전통적인 문양을 양각으로 양면 조각하여 토기원료로 주입 성형하여 초벌구이를 한후 토기 원료의 색을 변하지 않게 투명한 유약을 특수한 방법으로 입히고 한쪽의 양각 조각면만 닦아내고 재벌구이를 하여 닦아낸 부분으로 향료를 흡수 시키면 다른 부위는 투명한 유약으로 막이 형성되어 향냄새가 오래동안 지속되는 토기향제품이 제공된다.
이하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토기향 제품을 도시한 것으로써 제품 제작시 토기 원료를 60목으로 분쇄하여 물 25%와 규산소다 1.5%를 첨가하여 해교를 시킨후 소지를 24시간 숙성 시킨다음 석고틀에 소지를 부어 1시간후 석고틀에서 탈형시켜 습식 건조 시킨후 750℃에 초벌구이를 한다.
이어 토지소지의 특수한 색상을 살리기 위하여 유약을 보매 농도 15%로 얇게 입히는데 이때 유약은 장석·프리티·규석·석회석·백토등 특별히 특수 제작한, 원료 배합으로 1,200℃에 재벌구이를 하면 토기소지의 색상이 변하지 않고 원래의 토석적인 색을 완벽하게 나타내어 향료를 흡수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에 의하면 토기향 제품은 토속적인 토기 소지의 자연 스러움과 전통적 문양의 은은함을 이용하여 벽걸이용 향. 타일용 향. 목걸이용 향. 욕실의 장식향. 자동차용 장식향 등. 다양한 공간과 장소에 어울리는 디자인과 향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전통적인 토기 색상에 유약을 입힌후 유약 색상이 기존의 토기 색상에 변화를 주지않고 전통적인 문양을 양각 조각하여 유약을 입히고 한쪽의 양각 조각면만 닦아내고 재벌구이를 하여 한쪽면 으로만 향료가 흡수되어 향내가 나는 특징을 가진 토기향 제품.
KR2020000030453U 2000-10-31 2000-10-31 장식겸용 토기 방향제 Expired - Fee Related KR200220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453U KR200220700Y1 (ko) 2000-10-31 2000-10-31 장식겸용 토기 방향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453U KR200220700Y1 (ko) 2000-10-31 2000-10-31 장식겸용 토기 방향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700Y1 true KR200220700Y1 (ko) 2001-04-16

Family

ID=7308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45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20700Y1 (ko) 2000-10-31 2000-10-31 장식겸용 토기 방향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7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099A (ko) * 2002-04-24 2003-11-01 윤병인 발향(發香) 순화 활성제 제조 및 이용방법
KR101375296B1 (ko) 2013-11-04 2014-03-24 (주)디오티큐 겔형 탈취제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099A (ko) * 2002-04-24 2003-11-01 윤병인 발향(發香) 순화 활성제 제조 및 이용방법
KR101375296B1 (ko) 2013-11-04 2014-03-24 (주)디오티큐 겔형 탈취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0700Y1 (ko) 장식겸용 토기 방향제
CA1144074A (en) Vapor-control agent with perfume absorbed on substrate
JP2009184918A (ja) スリップ注型により得られたセラミック物品の釉掛け方法
US6165590A (en) Method for glazing ceramics
KR19990007578A (ko) 황토제품 제조방법
WO1984004459A1 (en) Porous clay pottery container with volatile fluid
KR101548878B1 (ko) 흡착중화제를 함유한 기능성 자연벽지
KR200155378Y1 (ko) 내부가 투과되는 도자기
KR101060102B1 (ko) 한지를 이용한 탈 제조방법
KR20200000692U (ko) 자동차용 방향제
KR200426679Y1 (ko) 야광 비누 꽃
KR950023628A (ko) 다색상과 다중문양을 함유한 도자기 및 토기질의 생활용기구 타일제조법
JPH044614Y2 (ko)
KR102703598B1 (ko) 친환경 세라믹이 코팅된 식품 포장 용기용 종이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49662A (ko) 판체로된 자연물의 장식부재가 외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도자(陶瓷) 제품
KR100624347B1 (ko) 항균성, 음이온 방사 및 발향성을 갖는 장식용 시트의제조방법
JP3147146U (ja) 干支置物
DE60115378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eife enthaltend lufteinschluesse
KR200300604Y1 (ko) 장식면이 형성된 장식타일
KR200200593Y1 (ko) 방향제 용기
CN114224153A (zh) 一种双层香及其制作方式
JP4698157B2 (ja) 花器
KR100344348B1 (ko) 냉장고용 김치통 및 그 제조 방법
KR200167928Y1 (ko) 냉장고용 김치통
KR200171593Y1 (ko) 향기와 형광을 발하는 장식용 조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103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2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0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2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28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