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9087Y1 - 싱크대 다리 - Google Patents

싱크대 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087Y1
KR200219087Y1 KR2020000029109U KR20000029109U KR200219087Y1 KR 200219087 Y1 KR200219087 Y1 KR 200219087Y1 KR 2020000029109 U KR2020000029109 U KR 2020000029109U KR 20000029109 U KR20000029109 U KR 20000029109U KR 200219087 Y1 KR200219087 Y1 KR 200219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lower member
leg
height
upper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태오
Original Assignee
육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태오 filed Critical 육태오
Priority to KR2020000029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08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 다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싱크대 다리(1)는 싱크대 저면(2)에 조립되는 체결부(11)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 둘레에 나사(12)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筒狀)의 상부부재(10)와,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부(21)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외부 둘레에 나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부재(10)에 나사결합되는 통상의 하부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12, 22)는 그 나사결합깊이를 달리하여 상기 체결부(11)와 상기 지지부(21) 사이의 높이를 상기 싱크대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 높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부재(10)의 상단에는 상기 싱크대 저면(2)에 관통 형성된 조립구멍(4)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부재(10)의 내부를 통해 상기 하부부재(20)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조립돌기(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부재(20)에 내부에는 상기 조립돌기(14)를 통해 투입된 드라이버(5)가 작용되는 드라이버홈(25)이 구비된 드라이버홈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싱크대 다리{Leg of Sink}
(기술분야)
본 고안은 싱크대 다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 가능한 싱크대 다리로서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싱크대의 안쪽에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싱크대 다리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통상적으로 주방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싱크대에는 저면의 네 모서리에 다리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다리들에 의해 싱크대의 하중이 지지되고 있다. 또한, 싱크대 제작업체는 싱크대의 종류, 싱크대가 설치되는 장소, 소비자의 취향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높이로 싱크대 다리를 제조하고 있으며, 그 길이의 사이즈는 짧게는 120MM에서 길게는 210MM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런 이유로 싱크대 제작 업체는 새로운 싱크대를 개발할 때마다 개발된 싱크대에 맞는 높이를 가지는 새로운 다리를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 부담의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본 고안자는 지난 2000년 6월 24일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0018033호로 높이 조절식 싱크대 다리를 출원한 바 있으며, 본 싱크대 다리에 의하여, 충분한 길이에 걸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여러 가지 높이로 출고되고 있는 기존의 각종 싱크대 다리를 높이에 상관없이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자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0018033호의 높이 조절식 싱크대 다리(100)는, 내부 또는 외부 둘레에 나사(111)가 되어 있고 싱크대에 조립되는 통상의 상부부재(110)와, 외부 또는 내부 둘레에 나사(121)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에 지지되며 상기 상부부재(10)에 나사결합되는 통상의 하부부재(120)로 이루어지고, 상부부재(110)와 하부부재(120)에 형성된 나사(111, 121)의 나사결합깊이를 조절하여 싱크대 저면(130)에 대한 싱크대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본 높이 조절식 싱크대 다리(100)는 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부부재(110)에 대하여 하부부재(120)를 손으로 회전시켜야 하고 싱크대 본체의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손으로 하부부재(120)를 돌리는 것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하고, 특히 싱크대의 안쪽 구석에 위치한 싱크대 다리(100)의 경우 싱크대 다리(100)에 의해 싱크대 저면(130)과 바닥(140) 사이에 형성된 좁은 공간으로 작업자의 손을 넣어서 하부부재(120)를 돌려야 하지만, 싱크대 다리(100)까지 손을 접근시키기가 어려워 높이조절이 곤란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싱크대 다리를 싱크대의 종류, 싱크대가 설치되는 장소, 소비자의 취향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높이로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에 수반된 불편함과 비용증가의 문제를 싱크대 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소함과 아울러, 싱크대 다리의 높이조절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싱크대 다리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예시된 싱크대 다리의 단면도,
도3은 도1에 예시된 싱크대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싱크대 다리의 사시도,
도5는 도4에 예시된 싱크대 다리의 단면도,
도6은 종래 싱크대 다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싱크대 다리 2: 싱크대 저면
3: 바닥 4: 조립구멍
5: 드라이버 10: 상부부재
11: 체결부 12, 22: 나사
13, 23: 나사산 14: 조립돌기
15: 캡 20: 하부부재
21: 지지부 24: 드라이버홈부
25: 드라이버홈 26: 높이조절구
본 고안에 따라, 상호 나사결합되는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로 이루어진 싱크대 다리가 제공된다. 상기 상부부재는 싱크대 저면에 조립되는 체결부가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부재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에 형성된 높이조절 나사는 충분히 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의 결합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싱크대 다리의 높이를 싱크대에 요구되는 다양한 여러 가지 높이에 맞게 조절한다.
상기 상부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싱크대의 저면에 관통 형성된 조립구멍에 삽입되는 조립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상부부재의 내부를 통해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하부부재에 내부에는 상기 조립돌기를 통해 투입된 드라이버가 적용되는 드라이버홈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드라이버를 상기 드라이버홈부의 드라이버홈에 삽입하여 돌리면 상기 하부부재가 상기 상부부재에 대하여 회전하여 나사결합깊이가 조절되고 결국 싱크대 다리의 높이가 조절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드라이버홈부는 아래로 오목한 깔때기 형상이다.
상기 하부부재의 하측에는 원둘레를 따라 다수의 높이조절구를 관통 형성하여, 지렛대를 삽입하여 싱크대 다리의 높이를 보조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에 형성된 나사의 나사산은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싱크대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톱니형 나사산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다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다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싱크대 다리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예시된 싱크대 다리의 단면도, 도3은 도1에 예시된 싱크대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싱크대 다리의 사시도, 도5는 도4에 예시된 싱크대 다리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다리(1)는 크게 싱크대 저면(2)에 체결되는 상부부재(10)와 하단이 바닥(3)에 접하는 하부부재(20)로 구성되고, 이들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20)는 통상적으로 모두 플라스틱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된다. 상부부재(10)의 상단에는 이를 싱크대 저면(2)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부재(20)의 하단에는 바닥(3)에 지지되는 지지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20)에는 상호 나사결합을 위한 암수의 나사(12, 22)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나사(12, 22)는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20)에 충분한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서 전체 싱크대 다리(1)의 높이, 즉 체결부(11)와 지지부(21) 사이의 높이를 싱크대에 요구되는 다양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부재(10)는 속이 빈 원형 통상(筒狀)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 둘레에 나사(12: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는 체결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11)는 상부부재(10)의 직경보다 더 큰 단면을 가지도록 수평으로 확장되어 있고 다수의 피스공(11A: 예 4개)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못(S)에 의해 싱크대 저면(2)에 밀착된 상태로 체결됨으로써 상부부재(10)를 싱크대 저면(2)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상부부재(10)의 상단, 즉 체결부(11)의 상측 중앙에는 조립돌기(1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본 조립돌기(14)는 싱크대 저면(2)의 싱크대 다리 장착위치에 관통 형성된 조립구멍(4)에 끼워진다. 조립돌기(14)는 그 상면이 개방되어 있어서 여기를 통해 상부부재(10)의 내부와 하부부재(20)의 내부로 드라이버(5)와 같은 공구가 접근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립돌기(14)의 돌출높이는 싱크대 저면(2)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진다.
상기 조립돌기(14)의 개방 상면에는 조립돌기(14)를 통해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20) 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싱크대 내부의 미관을 좋게 하는 캡(15)을 개폐 가능하게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부재(20)도 속이 빈 원형 통상(筒狀)으로 되어 있고, 그 외부 둘레에 나사(22: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지지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1)는 하부부재(20)의 직경보다 더 큰 단면을 가지도록 확장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지지부(21)의 중앙에는 바닥(3)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둥근 윤곽의 받침돌기(21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부재(20)에 내부에는 상부부재(10)의 조립돌기(14)를 통해 유입된 드라이버(5)가 적용되는 드라이버홈(25)이 구비된 드라이버홈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드라이버홈부(24)는 하부부재(20)의 내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십자 및/또는 일자 드라이버(5)가 물리는 드라이버홈(25)이 형성되어 있다. 드라이버홈부(24)는 유입된 드라이버(5)가 자연스럽게 드라이버홈(25)으로 미끄러져 유도될 수 있도록 아래로 오목한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부재(20)의 하측에는 원둘레를 따라 다수의 높이조절구(26)를 관통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높이조절구(26)는 드라이버홈부(24)에 보조하여 싱크대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즉, 드라이버와 같이 지렛대의 작용을 하는 긴 공구를 높이조절구(26)에 삽입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적은 힘으로 하부부재(20)를 상부부재(10)에 대해 회전시켜 싱크대 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다리(1)의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20)에 형성된 나사(12, 22)의 나사산(13, 23)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싱크대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톱니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톱니나사의 사용으로 위로부터 아래로 가해지는 싱크대의 하중을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20)의 나사결합부위가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됨으로써 싱크대 다리의 내구성이 현격하게 향상된다.
도4와 도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의 싱크대 다리(1)는, 하부부재(20)의 하측에 나사(22)가 형성되지 않은 긴 신장부(27)가 형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싱크대 다리의 길이가 길다는 것 이외에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싱크대 다리(1)와 그 기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다리(1)는 상기 조립돌기(14)를 싱크대 저면(2)에 형성된 조립구멍(4)에 삽입하고, 상기 체결부(11)의 피스공(11A)에 나사못(S)을 체결함으로써 싱크대 저면(2)에 조립된다. 싱크대 다리(1)의 높이는 조립돌기(14)의 캡(15)을 열고 드라이버(5)를 삽입하여 드라이버홈(25)에 삽입되도록 한 후 드라이버(5)를 좌우로 돌려 상부부재(10)에 대한 하부부재(20)의 나사결합깊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된다.
싱크대의 바깥쪽에 위치한 싱크대 다리는 작업자의 손이 쉽게 미치게 됨으로 상기 드라이버홈(25)을 이용하지 않고 손으로 직접 하부부재(20)를 돌려 그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싱크대의 안쪽 구석에 위치한 싱크대 다리의 경우는 싱크대 저면(2)과 건물의 바닥(3)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손을 넣어서 하부부재(20)를 돌려야 함으로 실질적으로 높이 조절이 쉽지 않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싱크대 다리(1)의 경우에는 싱크대의 문을 열고 안쪽으로 접근하여 상기 조립돌기(14)의 캡(15)을 열고 드라이버(5)를 조립돌기(14)를 통해 삽입하여 그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므로 용이하게 싱크대 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5)와 같은 긴 공구를 높이조절구(26)에 삽입하여 회동시켜서 보조적으로 싱크대 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다리(1)는,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20) 사이의 나사결합깊이를 충분한 길이의 범위 내에서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높이로 다양하게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 업계의 거의 모든 싱크대 다리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싱크대 다리(1)는, 싱크대의 안쪽 구석에 위치한 싱크대 다리에 대해서 싱크대의 문을 열고 안쪽으로 접근하여 드라이버(5)를 사용하여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싱크대 저면과 바닥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작업자의 손을 밀어 넣어 높이조절을 해야하는 불편이 전혀 없으며, 도한 높이조절구(26)를 이용해 싱크대 다리의 높이를 보조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싱크대 다리(1)는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20)가 톱니형 나사산을 가진 나사(12,22)에 의해 상호 결합됨으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싱크대의 하중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결합나사의 망실로 인해 싱크대 다리의 높이조절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싱크대 저면(2)에 조립되는 체결부(11)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 둘레에 나사(12)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筒狀)의 상부부재(10)와,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부(21)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외부 둘레에 나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부재(10)에 나사결합되는 통상의 하부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12, 22)는 그 나사결합깊이를 달리하여 상기 체결부(11)와 상기 지지부(21) 사이의 높이를 상기 싱크대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 높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부재(10)의 상단에는 상기 싱크대 저면(2)에 관통 형성된 조립구멍(4)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부재(10)의 내부를 통해 상기 하부부재(20)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조립돌기(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부재(20)에 내부에는 상기 조립돌기(14)를 통해 투입된 드라이버(5)가 작용되는 드라이버홈(25)이 구비된 드라이버홈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홈부(24)는 아래로 오목한 깔때기 형상이고, 상기 하부부재(20)의 하측 둘레에는 다수의 높이조절구(2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다리.
KR2020000029109U 2000-10-19 2000-10-19 싱크대 다리 Expired - Fee Related KR200219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109U KR200219087Y1 (ko) 2000-10-19 2000-10-19 싱크대 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109U KR200219087Y1 (ko) 2000-10-19 2000-10-19 싱크대 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087Y1 true KR200219087Y1 (ko) 2001-04-02

Family

ID=7305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10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9087Y1 (ko) 2000-10-19 2000-10-19 싱크대 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0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89Y1 (ko) * 2008-12-15 2009-09-01 주식회사 리바트 가구의 수평조절장치
KR102569839B1 (ko) * 2022-03-29 2023-08-23 주식회사 명성산업개발 높낮이 조절용 받침다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89Y1 (ko) * 2008-12-15 2009-09-01 주식회사 리바트 가구의 수평조절장치
KR102569839B1 (ko) * 2022-03-29 2023-08-23 주식회사 명성산업개발 높낮이 조절용 받침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906B1 (ko) 가구용 높낮이 조절발
CN210472028U (zh) 马桶座组件和马桶
US12201235B2 (en) Curved curtain rod
CA2063024C (en) Screw hole plug
US10645903B2 (en) Bowl with freely adjustable height
KR200219087Y1 (ko) 싱크대 다리
US5505505A (en) Device for securing a closure such as a window
KR200212390Y1 (ko) 싱크대 다리
KR200459153Y1 (ko) 높낮이 조절과 샤워헤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샤워장치의 고정홀더부재
KR200433909Y1 (ko) 도어 스토퍼
KR20030066056A (ko) 현관도어용 정지 경첩
JPH11333193A (ja) 洗濯機
KR100547264B1 (ko) 저장고
KR200390297Y1 (ko) 가구의 글라이더
KR200177884Y1 (ko) 캐스터
KR200322544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화문 힌지
JP4025988B2 (ja) 吐水具スタンド
KR200474323Y1 (ko) 욕실 액세서리용 브래킷 조립체
JPS6142968Y2 (ko)
KR200390285Y1 (ko) 길이 가변형 주방가구용 지지대
JPS642090Y2 (ko)
JP4135805B2 (ja) 水抜栓の操作部
WO2021100589A1 (ja) 洗面器
JPH0326834Y2 (ko)
JPH02250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10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1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0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22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