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5685Y1 - 양초등 - Google Patents

양초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685Y1
KR200215685Y1 KR2020000026630U KR20000026630U KR200215685Y1 KR 200215685 Y1 KR200215685 Y1 KR 200215685Y1 KR 2020000026630 U KR2020000026630 U KR 2020000026630U KR 20000026630 U KR20000026630 U KR 20000026630U KR 200215685 Y1 KR200215685 Y1 KR 2002156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windshield
pedestal
holder
cand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석
Original Assignee
조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석 filed Critical 조정석
Priority to KR2020000026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6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6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68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초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초의 촛불이 바람에 의해 소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외 등의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양초가 균등하게 연소되어 촛농의 흘러내림이 현저히 줄어들므로 경제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양초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그 상면에 양초(5)가 설치되는 홀더(12)가 구비된 받침대(20)와, 그 내부에 상기 양초(5)가 수납되도록 받침대(20)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며 투명재질의 통형상으로된 바람막이(25)와, 이 바람막이(25)의 상단부에 구비된 상부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상부캡(30)에는 촛불(2)의 열이 배출되도록 배기공(35)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20) 또는 바람막이(25)에는 양초(5)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공급되도록 흡기공(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양초등{candle light}
본 고안은 양초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 내부에 양초를 수납하여 바람에 의해 촛불이 꺼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실내외 등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양초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바아 형상의 파라핀 왁스 중앙부에 그 상하 방향으로 심지를 매입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정전된 가정에서 조명용으로 사용하거나 종교적 의식 또는 야외 행사 등과 같이 다양한 곳에 사용된다. 이때, 이 양초는 촛대 등과 같은 받침대에 그 하단을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사발 등과 같은 용기에 양초의 하단부를 소정 길이 녹인 후 부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양초의 촛불은 바람에 의해 쉽게 꺼지게 되므로 실외에서 사용할 때는 촛불이 꺼지지 않도록 소정의 바람막이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양초는 바람의 방향이나 세우는 각도 등에 따라 촛농이 흘러내려 균등하게 연소되지 않으며, 따라서 흘러내린 촛농의 양만큼 연소시간이 단축되는 등 비경제적이었으며, 흘러내린 촛농에 의해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그 내부에 양초가 밀착설치된 통형상의 용기와, 그 둘레면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개수 절개부가 형성되어 이 절개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필요한 높이로 거치되는 통형상의 바람막이로 구성된 양초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양초등은 연소시 공기의 대류를 고려하여 촛불 하부에 별도의 공기 흡기공을 형성하지 않아 양초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의 공급이 원활치 않으므로, 균일하게 연소되지 않으며, 양초가 연소되면서 촛불의 높이가 낮아질 때는 사용자가 수시로 상기 외통의 거치 높이를 조절하여 그나마 산소가 상단의 개방부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지만, 사용자가 깜빡해서 외통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촛불에 의해 더워진 공기의 상승기류로 인하여 바람막이 상단의 개방부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매우 희박하게 되므로, 양초가 소등되는 등 사용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양초의 촛불이 바람에 의해 소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외 등의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양초가 균등하게 연소되어 촛농의 흘러내림이 현저히 줄어들므로 경제적이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양초등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양초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양초 12. 홀더
14. 지지판 13. 하부캡
20. 받침대 25. 바람막이
30. 상부캡 35. 배기공
40. 흡기공
본 고안에 따르면, 그 상면에 양초(5)가 설치되는 홀더(12)가 구비된 받침대(20)와, 그 내부에 상기 양초(5)가 수납되도록 받침대(20)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며 투명재질의 통형상으로된 바람막이(25)와, 이 바람막이(25)의 상단부에 구비된 상부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상부캡(30)에는 촛불(2)의 열이 배출되도록 배기공(35)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20) 또는 바람막이(25)에는 양초(5)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공급되도록 흡기공(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등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양초(5)등은 받침대(20)와, 이 받침대(20) 상부에 설치되는 바람막이(25)와, 이 바람막이(25)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에 양초(5)의 하단부가 끼움결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홀더(12)가 구비되고, 그 중간 높이에는 상기 홀더(12)를 둘러 싸도록 상향 연장되어 그 내주면에 상기 바람막이(25)와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하부캡(13)이 구비되며, 그 하단에는 지면에 접촉 설치되는 지지판(14)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람막이(25)는 투명재질의 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받침대(20)의 하부캡(13)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되어 그 내부에 양초(5)를 수납하게 된다. 상기 상부캡(30)은 그 내주면 하단부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전술한 바람막이(25)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며, 그 중앙부에는 촛불(2)의 열이 배출되는 배기공(3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20)의 하부캡(13)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공(40)이 형성되어 양초(5)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기공(35) 및 흡기공(40)은 그 개수나 사이즈 혹은 위치 등을 서로 맞추어 제작함으로써, 상부로 배출되는 더운 공기와 하부에서 흡입되는 찬 공기의 혼합비가 정확한 밸런스를 이루도록 한다. 이처럼 정확한 밸런스를 이룬 혼합비에 의해 연소시 촛불(2)이 거의 흔들림없이 수직으로 연소되며, 이에 따라 촛불(2)의 고온이 상기 배기공(35)으로만 빠져나가므로 상부캡(30)이나 바람막이(25)가 눌거나 타는 등의 부작용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양초등은 투명한 통형상의 바람막이(25) 내부에 점화된 양초(5)가 수납되어 외부의 바람을 차단해 주므로, 실내외 등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초등은 촛불(2)이 거의 흔들림없이 수직을 이루어 양초(5)가 균일하게 연소되며 이에 따라 양초(5)를 따라 흘러내리는 촛농의 양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양초(5)를 따라 흘러내리면서 대부분 경화되어 바닥에 흘러내리는 촛농의 양이 현저히 줄어들므로,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양초등은 실내외 등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촛불을 밝힐 수 있고,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그 상면에 양초(5)가 설치되는 홀더(12)가 구비된 받침대(20)와, 그 내부에 상기 양초(5)가 수납되도록 받침대(20)의 상부에 수직 설치되며 투명재질의 통형상으로된 바람막이(25)와, 이 바람막이(25)의 상단부에 구비된 상부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상부캡(30)에는 촛불(2)의 열이 배출되도록 배기공(35)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20) 또는 바람막이(25)에는 양초(5)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공급되도록 흡기공(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등.
KR2020000026630U 2000-09-22 2000-09-22 양초등 Expired - Fee Related KR2002156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630U KR200215685Y1 (ko) 2000-09-22 2000-09-22 양초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630U KR200215685Y1 (ko) 2000-09-22 2000-09-22 양초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685Y1 true KR200215685Y1 (ko) 2001-03-15

Family

ID=7305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63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5685Y1 (ko) 2000-09-22 2000-09-22 양초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68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799B1 (ko) * 2007-06-13 2008-06-11 김진영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
KR100982657B1 (ko) * 2009-09-04 2010-09-17 정헌구 촛대
KR20150003328U (ko) * 2014-02-28 2015-09-07 공소애 다용도 수용 홀더
CN108552590A (zh) * 2018-04-12 2018-09-21 卫修华 一种可收集焦油调节烟量延长燃烧的环保节约型吸烟壶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799B1 (ko) * 2007-06-13 2008-06-11 김진영 양초의 완전연소를 도와주는 촛대
KR100982657B1 (ko) * 2009-09-04 2010-09-17 정헌구 촛대
WO2011028040A3 (ko) * 2009-09-04 2011-07-07 Jung Hun Gu 촛대
KR20150003328U (ko) * 2014-02-28 2015-09-07 공소애 다용도 수용 홀더
KR200479111Y1 (ko) 2014-02-28 2015-12-21 공소애 다용도 수용 홀더
CN108552590A (zh) * 2018-04-12 2018-09-21 卫修华 一种可收集焦油调节烟量延长燃烧的环保节约型吸烟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3687B2 (en) PIR motion detector for a decorative lantern
EP1419345B1 (en) Imitation candle
DK0725914T3 (da) Lysholder
US6929380B2 (en) Candle holder adapter for an electric lighting fixture
KR102173270B1 (ko) 친환경 양초의 구조체
US5228771A (en) Transparent table lamp
KR200215685Y1 (ko) 양초등
US5909954A (en) Reflective shade for electric table lamp
KR101158787B1 (ko) 양초의 완전연소 및 촛불흐름 방지용 양초캡
KR200316338Y1 (ko) 양초대
US20060072307A1 (en) Lantern
JPS634332Y2 (ko)
CN209672221U (zh) 一种led蜡烛灯泡
KR200355918Y1 (ko) 방풍 촛대
KR910000029Y1 (ko) 장식 촛대용 양초 절약 장치
KR200404498Y1 (ko) 스탠드형 무드 후레쉬
KR850001592Y1 (ko) 석유 버너용 분화망
JPH0524089Y2 (ko)
JP3009792U (ja) 香 炉
KR200310533Y1 (ko) 사찰용 유등
JP3029834U (ja) 仏壇の内部照明器具
KR200210829Y1 (ko) 양초 비바람막이 기구
KR20250000216U (ko) 전기식 촛대
KR20000018572U (ko) 양초등
KR200200373Y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92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9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1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7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1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