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5671Y1 - 은행껍질 탈피기 - Google Patents

은행껍질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671Y1
KR200215671Y1 KR2020000025905U KR20000025905U KR200215671Y1 KR 200215671 Y1 KR200215671 Y1 KR 200215671Y1 KR 2020000025905 U KR2020000025905 U KR 2020000025905U KR 20000025905 U KR20000025905 U KR 20000025905U KR 200215671 Y1 KR200215671 Y1 KR 200215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
drum
shell
ginkgo
discharg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중호
Original Assignee
아산시(관리부서:아산시농업기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산시(관리부서:아산시농업기술센터) filed Critical 아산시(관리부서:아산시농업기술센터)
Priority to KR2020000025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6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67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은행을 수용하는 드럼과 이 은행을 탈피시키는 스크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토록 하여 은행의 정체상태를 방지하므로서 은행의 탈피효과를 높일 수 있고, 드럼에 껍질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여 탈피된 껍질이 드럼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껍질과 은행알을 분리시킴으로서 순수한 은행알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은행껍질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은행껍질 탈피기는 프레임; 어느 일측면이 개방되고 외주연에 은행껍질이 배출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구동모터에 따라 회전하는 드럼; 은행을 공급하고 탈피된 은행알이 배출될 수 있도록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드럼의 개방된 측면을 밀폐시키는 덮개; 길이방향에 은행껍질을 탈피시키는 날개가 고정되고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따라 상기 드럼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은행껍질 탈피기{Apparatus for peeling off gingko nuts}
본 고안은 은행껍질을 탈피시키는 은행껍질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은행을 수용하는 드럼과 이 은행을 탈피시키는 스크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토록 하여 은행의 정체상태를 방지하므로서 은행의 탈피효과를 높이고, 드럼에 통로를 형성하여 이 통로를 통해 탈피된 껍질이 드럼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순수한 은행알을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과실인 은행은 기호식품 또는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바깥의 부드러운 과즙부분과, 중간의 딱딱한 견과부분 그리고 상기 견과부분 내부에 위치하여 식용으로 사용되는 은행알로 구분된다.
따라서 내부의 은행알을 식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껍질부분에 해당되는 과즙부분과 견과부분을 탈피시켜야 한다.
종래에 은행껍질을 탈피시키는 방법은 망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탈피시켰으나 이는 수작업에 의한 탈피공수의 증가로 탈피능률이 저하되고, 도구 사용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으며, 또한 은행의 과즙부분은 탈피시 심한 악취와 피부염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탈피 작업자는 악취와 피부염의 고통을 감수하면서 탈피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도 은행탈피기가 생산되었으나, 종래 은행탈피기는 스크류장치가 은행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은행들을 회전하는 원통체가 가압식으로 파쇄하여 탈피시키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스크류장치를 대형으로 제작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많은 은행들을 탈피시키기가 불가능하여 탈피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탈피된 껍질과 은행알이 함께 다음공정으로 이송된 후 배출되기 때문에 은행알이 손상되어 양질의 은행알을 양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은행을 수용하는 드럼과 이 은행을 탈피시키는 스크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토록 하여 은행의 정체상태를 방지하므로서 은행의 탈피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은행껍질 탈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드럼에 껍질이 배출되는 통로을 형성하여 탈피된 껍질이 드럼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껍질과 은행알을 분리시킴으로서 순수한 은행알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은행껍질 탈피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은행껍질 탈피기는 프레임; 어느 일측면이 개방되고 외주연에 은행껍질이 배출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구동모터에 따라 회전하는 드럼; 은행을 공급하고 탈피된 은행알이 배출될 수 있도록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드럼의 개방된 측면을 밀폐시키는 덮개; 길이방향에 은행껍질을 탈피시키는 날개가 고정되고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따라 상기 드럼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은행껍질 탈피기 외부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은행껍질 탈피기 내부를 보인 정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A-A선을 단면하여 은행껍질 탈피기의 내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샤프트와 드럼의 동력전달 체계를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은행껍질 탈피기 2 : 제 1 구동모터
3 : 샤프트 4 : 드럼
6 : 제 2 구동모터 7 : 날개
11 : 원형부재 13 : 통로
16 : 덮개 19 : 지지대
20 : 탈피부재 21 : 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은행껍질 탈피기 외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은행껍질 탈피기 내부를 보인 정단면도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은행껍질 탈피기(1)는 제 1 구동모터(2)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3)가 드럼(4)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프레임(5)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드럼(4)은 제 2 구동모터(6)에 의해 상기 샤프트(3)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1,2 구동모터(2)(6)는 정,역회전 가능하는 것으로, 상기 샤프트(3)와 드럼(4)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드럼(4) 내부에 수용된 은행이 드럼(4)의 회전에 따라 정체되지 않도록 하여 탈피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의 길이방향에는 은행과 부딪쳐 은행의 껍질을 탈피시키는 날개(7)가 고정된다.
상기 샤프트(3)는 프레임(5) 양측에 설치된 베어링(8)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되고, 일측단부에는 풀리(9)가 장착되어 상기 제 1 구동모터(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 드럼(4)은 드럼(4) 내부로 은행을 공급하고 또한 탈피된 은행알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구되고, 외주연에 탈피된 은행껍질들이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로(10)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10) 형성을 위해 상기 드럼(4) 의 외주연이 소정두께를 가지고 원환형상을 갖는 원형부재(11)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배치된 원형부재(11) 외부에는 복수개의 리브(12)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원형부재(11)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드럼(4)의 통로(10)는 탈피에 의해 노출되는 은행알이 배출되지 않도록 적당한 폭을 갖는데, 은행알의 직경이 대략 7-10mm가 되므로 폭이 5mm정도가 된다. 상기 드럼(4)의 측면에는 상기 제 2 구동모터(6)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풀리(13)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구동모터(6)에 의해 상기 샤프트(3)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4)의 개구된 일측면은 은행을 공급하는 투입구(14)와 탈피된 은행알이 배출되는 배출구(15)를 가진 덮개(16)가 밀폐시키게 되는데, 상기 덮개(16)는 투입구(14)와 배출구(15)에 호퍼(17)와 안내판(18)이 설치되어 은행공급을 편리하게 하고 탈피되어 배출되는 은행알을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덮개(16)는 상기 드럼(4)의 개구부에 고정되지 않고 근접되게 프레임(5)에 설치되어 드럼(4)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 샤프트(3)에 고정되어 은행과 부딪쳐 은행껍질을 탈피시키는 날개(7)는 도 2 와 같이 상기 샤프트(3)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되고 사방으로 고정되는 지지대(19)와, 상기 각 지지대(19) 단부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샤프트(3)에 의해 회전하면서 은행껍질을 탈피시키는 나선형의 탈피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각 지지대(19)의 고정위치는 상기 탈피부재(20)를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되고 샤프트(3)를 동심으로 하여 도 3 과 같이 방사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측단부에는 은행껍질과 부딪쳐 탈피시키는 복수개의 돌기(21)가 형성된다.
상기 탈피부재(20)는 나선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지지대(19)에 고정되어 은행을 탈피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탈피부재(20)는 드럼(4)이 회전할 때 은행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너무 많은 피치를 갖지 않는 것이 좋은며 바람직하게는 2-3피치를 갖는 것이 좋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은행껍질 탈피기가 은행을 탈피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2 구동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샤프트(3)와 드럼(4)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16)의 호퍼(17)를 통해 은행을 드럼(4)내부로 공급하게 되면, 드럼(4)이 회전하기 때문에 내부로 공급된 은행은 드럼(4) 내측벽을 따라 이동하여 정체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이와 같이 이동하는 은행에 회전하는 날개(7)가 부딪쳐 은행의 껍질을 탈피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탈피된 은행껍질은 잘게 부서져 드럼(4)의 통로(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샤프트(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7)에 의해 은행알은 배출구(15)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은행알이 상기 배출구(15)를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은행껍질 탈피기는 은행을 수용하는 드럼과 이 은행을 탈피시키는 스크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은행의 정체상태를 방지 은행의 탈피효과를 높이고, 드럼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탈피된 껍질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거의 순수한 은행알을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3)

  1. 프레임;
    어느 일측면이 개방되고 외주연에 은행껍질이 배출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구동모터에 따라 회전하는 드럼;
    은행을 공급하고 탈피된 은행알이 배출될 수 있도록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드럼의 개방된 측면을 밀폐시키는 덮개;
    길이방향에 은행껍질을 탈피시키는 날개가 고정되고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따라 상기 드럼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탈피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소정두께를 갖는 원환형상을 갖는 원형부재 복수개가 일정으로 배치되어 통로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탈피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되고 사방으로 고정되며, 자유단부에 은행껍질을 탈피시키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는 지지대;
    나선형 몸체가 상기 각 지지대 단부에 연결되어 샤프트에 의해 회전하여 은행껍질을 탈피시키는 탈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탈피기.
KR2020000025905U 2000-09-14 2000-09-14 은행껍질 탈피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15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05U KR200215671Y1 (ko) 2000-09-14 2000-09-14 은행껍질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05U KR200215671Y1 (ko) 2000-09-14 2000-09-14 은행껍질 탈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671Y1 true KR200215671Y1 (ko) 2001-03-15

Family

ID=7305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90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5671Y1 (ko) 2000-09-14 2000-09-14 은행껍질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671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874B1 (ko) 2006-07-12 2008-02-22 강성원 액즙 수거 과육 탈피기
KR100868533B1 (ko) 2008-04-22 2008-11-12 (주)세종이엔지 협잡물 제거용 이중 드럼스크린장치
KR100926582B1 (ko) 2007-09-06 2009-11-12 강성원 액즙 수거 과육 탈피기
KR200467716Y1 (ko) 2011-12-19 2013-06-28 서영춘 개량 과실껍질 탈피장치
KR101410908B1 (ko) 2012-06-20 2014-06-23 안정남 은행 껍질 자동탈피기
KR20180106760A (ko) * 2017-03-21 2018-10-01 박재명 은행 분리장치
KR101976712B1 (ko) * 2018-05-23 2019-05-09 차영태 은행껍질 탈피장치
KR101990898B1 (ko) 2018-02-27 2019-06-20 오세양 액화질소를 이용한 은행탈피장치 및 그 방법
KR102082968B1 (ko) * 2019-08-19 2020-02-28 김동기 견과류 껍질 까기 장치
KR20230083535A (ko) * 2021-12-03 2023-06-12 김상식 은행 껍질탈피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874B1 (ko) 2006-07-12 2008-02-22 강성원 액즙 수거 과육 탈피기
KR100926582B1 (ko) 2007-09-06 2009-11-12 강성원 액즙 수거 과육 탈피기
KR100868533B1 (ko) 2008-04-22 2008-11-12 (주)세종이엔지 협잡물 제거용 이중 드럼스크린장치
KR200467716Y1 (ko) 2011-12-19 2013-06-28 서영춘 개량 과실껍질 탈피장치
KR101410908B1 (ko) 2012-06-20 2014-06-23 안정남 은행 껍질 자동탈피기
KR20180106760A (ko) * 2017-03-21 2018-10-01 박재명 은행 분리장치
KR101950163B1 (ko) 2017-03-21 2019-02-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징코밀 은행 분리장치
KR101990898B1 (ko) 2018-02-27 2019-06-20 오세양 액화질소를 이용한 은행탈피장치 및 그 방법
KR101976712B1 (ko) * 2018-05-23 2019-05-09 차영태 은행껍질 탈피장치
KR102082968B1 (ko) * 2019-08-19 2020-02-28 김동기 견과류 껍질 까기 장치
KR20230083535A (ko) * 2021-12-03 2023-06-12 김상식 은행 껍질탈피장치
KR102709867B1 (ko) * 2021-12-03 2024-09-24 김상식 은행 껍질탈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5671Y1 (ko) 은행껍질 탈피기
KR101410908B1 (ko) 은행 껍질 자동탈피기
EP1781120A4 (en) APPARATUS FOR EPLUCHING
US8783171B2 (en) Juice extractor
KR100806874B1 (ko) 액즙 수거 과육 탈피기
KR100888151B1 (ko) 씨박피장치
KR20160032544A (ko) 회전 커터를 이용하는 탈피 장치
KR100991927B1 (ko) 씨 박피장치
JP2006345711A (ja) 銀杏の果肉取り装置
CN109701700A (zh) 一种液相机械剥离机
JPH05208300A (ja) スクリュウ式脱水機
KR100760372B1 (ko) 감자탈피기
US2569156A (en) Macerator for hulling pits or seeds
CN110959872A (zh) 一种弹性变隙进切-滚压式无患子脱壳装置
KR840000028B1 (ko) 통마늘 자동고속 탈피기
JP4007674B2 (ja) 電力回収機能を備えた遠心分離機
KR101712657B1 (ko) 계단식 농산물 껍질 탈피장치
KR200190117Y1 (ko) 구형야채박피기
CN110892993A (zh) 一种坚果脱皮机
KR102405713B1 (ko) 율피 미세 제거장치
KR20020043731A (ko) 감자 깎는 기계
CN214126925U (zh) 一种倾斜导槽式澳洲坚果螺旋开口机
KR101098577B1 (ko) 구근 탈피기
JPS625766B2 (ko)
US20020195507A1 (en) Variable-trim food ref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91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9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10807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1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