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5460Y1 - 튜브형 조립 우산 - Google Patents

튜브형 조립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460Y1
KR200215460Y1 KR2020000024943U KR20000024943U KR200215460Y1 KR 200215460 Y1 KR200215460 Y1 KR 200215460Y1 KR 2020000024943 U KR2020000024943 U KR 2020000024943U KR 20000024943 U KR20000024943 U KR 20000024943U KR 200215460 Y1 KR200215460 Y1 KR 200215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tube
cylindrical handle
ai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학
Original Assignee
김대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학 filed Critical 김대학
Priority to KR2020000024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460Y1/ko

Link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형 조립 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손잡이 내부의 공간부에 보관된 조립 우산을 상기 원통손잡이의 하부에 결합된 뚜껑을 분리시켜 손으로 꺼낸 후 상기 원통손잡이의 상측에 형성된 요부홈에 튜브형 조립 우산을 결합하고,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공기주입구와 공기통로를 통해 공기를 튜브관으로 유입시키면 우산 형태로 완성되어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튜브형 조립 우산{A assembled umbrella of tube shape}
본 고안은 튜브형 조립 우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천시 원통 손잡이 내부에 보관된 튜브형 조립 우산을 상기 원통 손잡이의 하부에 결합된 뚜껑을 분리시켜 손으로 꺼낸 후 상기 원통 손잡이의 상측에 형성된 요부홈에 튜브형 조립 우산을 결합하고, 고정구에 형성된 공기주입구와 공기통로를 통해 공기를 튜브관으로 유입시키면 우산형태로 완성되어 사용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튜브형 조립 우산은 없었으며, 일반적으로 튜브는 어린이들의 물놀이용품과 함께 튜브형 용기, 튜브형 베개, 튜브형 침대 등의 용품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형 제품들의 재질은 비닐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제작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하게 형성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격이 저렴하고, 제작과 휴대가 간편한 튜브형 조립 우산을 만들고자 하는데 있다.
한편 종래에 널리 사용되었던 일회용 비닐우산은 거의 생산이 중단되어 있으며, 현재에는 2단 내지 3단으로 접을 수 있고, 방수천으로 형성된 휴대용 우산이 편리하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편리하게 사용하는 상기 우산은 일반 성인들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라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는 무게와 크기에 있어서, 맞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어린이들은 어린이용 우산을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어린이용 우산에 있어서, 2단 내지 3단으로 접을 수 있는 기능의 우산은 아직까지 시중에서 크게 보급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의 어린이용 우산은, 통상 보통의 우산 크기와 지지대 보다 작게 제작하고 있으나, 나이가 어린 유치원생이나 초등학교 저학년들은 상기의 어린이용 우산 이용에 있어서도 우산을 접고, 펼치는 조작이 어렵고 우산을 들고 다니는데 힘겨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내용으로 실용신안출원(제99-029688호)된 '튜브형 우산' 은 외피부와, 우산살, 우산대를 가지는 지지대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튜브와, 상기 튜브의 지지대에 공기가 삽입되어 지지하도록 공기 주머니관이 형성되고, 그 관에 공기를 넣기 위해 일측부에 공기주입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공기 주머니관을 기존의 우산살과 같은 빗살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튜브형 우산은 단순한 비닐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재료를 재단하여 외피와 내피를 단순히 압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튜브형 우산은 일반적인 물놀이용 튜브와 같이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진 채 그 형상만이 우산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우산을 이용시 사용자는 우산대에 형성된 공기주입구를 잡고 움직이게 된다.
그러나 우천시 발생되는 비바람의 강한 힘에 의하여 상기 비닐재로된 우산대는 제역할을 제대로 못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비바람을 그대로 맞는 상황이 연출되므로 상기의 우산은 현실적으로 이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우천시 남녀노소 모두 이용될 수 있도록 원통형 손잡이 내부에는 일정 공간부를 형성시키고, 탈부착이 간단히 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제작과 휴대가 간편한 튜브형 조립 우산을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통손잡이 내부에 보관된 우산을 상기 원통손잡이의 하부에 결합된 뚜껑을 분리시켜 고정구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우산을 꺼낸 후 상기 원통손잡이의 상측에 형성된 요부홈에 상기 고정구를 결합하는 수단과,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공기주입구와 공기통로에 공기를 공급시켜 원형의 튜브관을 형성시킬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튜브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인 튜브의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인 튜브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원통손잡이 11. 뚜껑
12. 공기통로 13. 튜브관
14. 이음부 15. 공간부
16. 공기마개 17. 고정구
18. 공기주입구 19. 요부홈
20. 나사부 21. 우산표면부
22. 우산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실시례에 의해서 이루어진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튜브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인 튜브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인 튜브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고안의 사시도로 고정구(17)와 일체로 형성된 튜브관(13)에는 공기통로(12)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고, 상기 고정구(17)는 원통손잡이(10)의 상측에 형성된 요부홈(19)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원통 손잡이(1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20)에는 뚜껑(11)이 조립되고, 사용자는 상기 원통 손잡이(10)를 잡고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통 손잡이(10)는 가볍고, 견고한 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되어 원형이나 여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통손잡이(10)의 길이는 다양하게 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어린이들의 가방에 간편하게 보관되는 정도의 길이가 타당하겠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사시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원통손잡이(10)의 내부 공간부(15)에서 우산(22)과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17)를 꺼낸 후 상기 고정구(17)의 상부에 부착된 공기마개(16)를 열어 공기를 불어넣으면 원형으로 형성된 튜브관(13)에는 공기가 유입되면서 우산의 형태로 완성되게 된다.
상기에서 원형으로 형성된 튜브관(13)과 다수의 직선형 튜브관(13)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공기를 튜브관(13)으로 유입 시킨후 상기 고정구(17)를 요부홈(19)에 결합시키는 방법과, 아니면 상기 고정구(17)를 먼저 요부홈(19)에 결합시킨 후 공기를 튜브관(13)으로 불어 유입시키는 방법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 부분단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구(17)와 뚜껑(11)은 원통손잡이(10)의 상부와 하부에 만들어진 나사부(2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17)와 튜브관(13)이 일체로 형성되면서, 공기통로(12)와 공기주입구(18)가 형성되고, 공기마개(16)가 부착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튜브의 정단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우산(22)의 외주연 이음부(14)는 고주파 머신(미도시됨)에 의해 접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인 튜브의 사용상태 단면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우산의 외주연은 튜브관(13)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관(13)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우산표면부(21)로 이루어져 있어서, 우산을 제작하는데 유리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천시에는 원통손잡이(10)의 하부에 형성된 뚜껑(11)을 개방하여 고정구(17)와 일체로 형성된 우산(22)을 꺼내어 상기 고정구(17)를 원통손잡이(10) 상부에 형성된 요부홈(19)에 결합시킨다.
상기 고정구(17)에 형성된 공기마개(16)를 열어 공기를 공급하면 공기주입구(18)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통로(12)를 따라 유입되면서 튜브관(13)으로 형성된다.
또한 우산의 외주연 역시 상기의 튜브관(13)으로 이루어져 있어 우산표면부(21)는 자연적으로 팽창하여 우산의 모습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7)에는 다수의 공기통로(12)와 우산의 외주연을 이루는 튜브관(13)이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튜브관(13)에 신속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견고하고, 가볍운 플라스틱 재질로 원통손잡이를 완성하여 평상시에는 튜브형 우산을 상기 원통손잡이의 내부에 보관시켜 가방속이나 핸드백의 공간에 넣어 두었다가, 우천시에는 상기 원통손잡이에서 내용물을 신속하게 꺼내어 조립하여 우산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원통손잡이는 일반 튜브로 형성되지 않고, 견고한 플라스틱의 재질로 되어 있어 강한 비바람에도 중심이 접이거나 훼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튜브형 우산은 여름철 어린이들의 물놀이 용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우산은 무게가 가벼워 남녀노소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대량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름철 어린이들의 물놀이 용품으로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튜브형 조립 우산에 있어서,
    원통손잡이 내부에 보관된 우산을 상기 원통손잡이의 하부에 결합된 뚜껑을 분리시켜 고정구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우산을 꺼낸 후 상기 원통손잡이의 상측에 형성된 요부홈에 상기 고정구를 결합하는 수단과;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공기주입구와 공기통로에 공기를 공급시켜 원형의 튜브관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조립 우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튜브관과 다수의 직선형 튜브관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조립 우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손잡이는 가볍고, 견고한 플라스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외형은 원형이나 여러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조립 우산
KR2020000024943U 2000-09-01 2000-09-01 튜브형 조립 우산 KR200215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943U KR200215460Y1 (ko) 2000-09-01 2000-09-01 튜브형 조립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943U KR200215460Y1 (ko) 2000-09-01 2000-09-01 튜브형 조립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460Y1 true KR200215460Y1 (ko) 2001-03-15

Family

ID=7308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943U KR200215460Y1 (ko) 2000-09-01 2000-09-01 튜브형 조립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4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63467A (en) Combination shelters
US4600091A (en) Carryall handbag and mat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215460Y1 (ko) 튜브형 조립 우산
CN201005180Y (zh) 可伸缩桶装伞
US3465927A (en) Wig stand
US3683947A (en) Umbrella construction
CN207870469U (zh) 一种便携式购物袋
KR200276553Y1 (ko) 머리에 쓰는 1인용 비치파라솔
CN219878469U (zh) 一种cpr急救包
KR960003099Y1 (ko) 우산용 커버
CN209421801U (zh) 一种横档板及其具有横挡的折叠浴盆
KR200167874Y1 (ko) 접히는모자
CN201398554Y (zh) 可拆式防湿折叠伞
CN212661290U (zh) 一种新型折叠式遮阳伞
CN2125955U (zh) 充气塑料旅游折叠面盆
KR200244335Y1 (ko) 모자 우산
CN201726987U (zh) 充气雨伞
KR200187530Y1 (ko) 튜브형 우산
JPH0312263Y2 (ko)
CN2121836U (zh) 扇形展开折叠帽
CN206729399U (zh) 一种可拆卸的带伞套折叠伞
KR200260779Y1 (ko) 휴대용 간이 우산
CN2373031Y (zh) 折叠脸盆
CN2354412Y (zh) 旅游四合一用具
KR200207123Y1 (ko) 공기주입식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901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0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90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11117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11117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