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4409Y1 - 지반파일용 캡 - Google Patents

지반파일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409Y1
KR200214409Y1 KR2020000026241U KR20000026241U KR200214409Y1 KR 200214409 Y1 KR200214409 Y1 KR 200214409Y1 KR 2020000026241 U KR2020000026241 U KR 2020000026241U KR 20000026241 U KR20000026241 U KR 20000026241U KR 200214409 Y1 KR200214409 Y1 KR 200214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cap
ground
steel pipe
impact fo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우대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우대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우대기술단
Priority to KR2020000026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40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반파일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타기의 타격에 의해 지중에 강관 등의 파일을 매입할 때, 항타기의 충격력에 의한 파일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지반파일용 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항타기의 타격에 의해 지중(5)에 매입되는 강관 등의 파일(10)에 있어서, 그 저면이 개방된 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파일(10) 상단에 씌워지는 캡(20)과, 이 캡(20)과 파일(10) 사이에 개재되어 항타기에 의해 가해진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된 완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캡(20)과 완충부재(30)에 의해 항타기의 타격에 의한 파일(10)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파일용 캡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지반파일용 캡{Ground Pile Cap}
본 고안은 지반파일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항타기의 타격에 의해 지중에 강관 등의 파일을 매입할 때, 항타기의 충격력에 의한 파일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지반파일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건축물을 시공할 때 지반이 무른 경우, 지반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지반다지기를 시행한다. 이러한 지반다지기 방법 중 강관이나 H 빔 등과같은 파일을 지반에 매입하여 지반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파일매입방법이 있다.
이러한 파일매입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이나 유압을 이용하여 무게추(12)를 상승시킨 후, 자유낙하시켜 파일(10)의 상부를 타격하는 항타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 항타기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10)의 상단부를 물리적으로 타격하여, 파일을 지중에 매입할 수 있다.
그런데, 항타기에 의하여 강관이나 빔을 지중에 매입하는 경우에는 파일(10) 상단부가 무게추(12)의 충격력에 의해 찌그러지는 등 변형부(13)가 발생되는데, 후속공정을 위하여 이 변형부(13)를 절단하여야 하므로 재료의 낭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강관이나 빔 등은 지반다짐 등과 같은 토목공사의 여건에 맞추어 미리 표준화된 길이로 제작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절단되는 부분이 많을 때를 고려하여 처음부터 파일의 길이를 크게 해야 하므로, 재료비나 시공비 등 코스트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항타기의 타격에 의해 지중에 강관 등의 파일을 매입할 때, 항타기의 충격력에 의한 파일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지반파일용 캡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지반파일의 매입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지반파일용 캡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파일 12. 무게추
20. 캡 21. 강관
23. 개구부 30. 완충부재
본 고안에 따르면, 항타기의 타격에 의해 지중(5)에 매입되는 강관 등의 파일(10)에 있어서, 그 저면이 개방된 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파일(10) 상단에 씌워지는 캡(20)과, 이 캡(20)과 파일(10) 사이에 개재되어 항타기에 의해 가해진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된 완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캡(20)과 완충부재(30)에 의해 항타기의 타격에 의한 파일(10)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파일용 캡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지반파일용 캡은 파일(10) 상단에 씌워지는 캡(20)과, 이 캡(20)과 파일(10)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캡(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직경이 상기 강관이나 H 빔 등과 같은 파일(10)보다 약간 큰 강관(21)의 일단부에는 소정 두께의 철판(22)을 용접시키고 그 타단부는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철판(22)은 그 중앙부에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부재(30)는 상기 캡(20) 내부에 설치되어 이 캡(20)과 파일(10)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시공현장에서 조달이 용이한 목재와 철판을 번갈아 이중 또는 삼중으로 겹쳐 소정 두께로 제작된다.
이처럼, 그 내부에 완충부재(30)가 개재된 상기 캡(20)을 파일(10)의 상단에 씌운 후, 이 위에 항타기의 무게추(12)를 자유 낙하시켜 반복적으로 타격함으로써 파일(10)을 지중(5)에 매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파일(10)이 지중(5)에 매입된 후에는 상기 철판(22)의 개구부(23)를 통해 캡(20) 내부에 개재된 완충부재(30)를 밀어내어 제거한다. 이처럼 완충부재(30)가 제거된 캡(20)은 그 내부에 새로운 완충부재(30)를 개재하여 수차례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매입하고자 상기 파일(10)은 항타기의 무게추(12)의 충격력으로 그 상단부가 찌그러지는 등 변형이 발생하는데, 상기 캡(20)은 파일(10) 상단부의 변형에 의해 파일(10) 상단부에 물려 빠지지 않는 등의 시공상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당한 직경을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캡(20) 상단부의 철판(22)은 두꺼울수록 수차례 더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 철판(22)은 항타기의 무게추(12)에 의해 타격되면서 점차적으로 늘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철판(22)의 개구부(23)도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개구부(23)는 캡(20)을 수차례 사용하더라도 막히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직경을 확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30)는 완충효과를 높여줄 수 있고, 상기 파일(10)의 상단부에 목재가 박히는 것을 방지하며, 목재의 쿠션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철판이 상기 파일(10)의 상단부에 접촉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지반파일용 캡은 항타기의 타격에 의해 파일(10)을 지중(5)에 매입할 때, 이 파일(10)의 상단부가 찌그러지는 등 변형이나 손상의 발생을 감소시켜 후속 공정을 위한 절단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재료비 등의 코스트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반파일용 캡은 항타기의 무게추(12)의 충격력을 파일(10)의 하단부까지 전달할 수 있어 같은 횟수의 타격에 대하여 파일(10)이 보다 용이하게 지중(5)에 매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지반파일용 캡은 항타기에 의해 강관이나 빔 등과 같은 파일을 지중에 매입할 때, 이 파일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시켜 절단해 내는 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재료의 낭비가 방지되며, 이에 따라 재료비등의 코스트가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항타기의 타격에 의해 지중(5)에 매입되는 강관 등의 파일(10)에 있어서, 그 저면이 개방된 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파일(10) 상단에 씌워지는 캡(20)과, 이 캡(20)과 파일(10) 사이에 개재되어 항타기에 의해 가해진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된 완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캡(20)과 완충부재(30)에 의해 항타기의 타격에 의한 파일(10)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파일용 캡.
KR2020000026241U 2000-09-19 2000-09-19 지반파일용 캡 Expired - Fee Related KR200214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241U KR200214409Y1 (ko) 2000-09-19 2000-09-19 지반파일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241U KR200214409Y1 (ko) 2000-09-19 2000-09-19 지반파일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409Y1 true KR200214409Y1 (ko) 2001-02-15

Family

ID=7308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241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4409Y1 (ko) 2000-09-19 2000-09-19 지반파일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40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545A (ko) 2013-10-30 2015-05-08 한림우드(주) 파일캡
KR20170006916A (ko) * 2015-07-10 2017-01-18 안대수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
KR101958934B1 (ko) * 2018-09-28 2019-03-15 임전수 토목 공사용 흙막이 조립체
KR101973577B1 (ko) * 2018-06-22 2019-07-22 비티이엔씨 주식회사 공삭공 시공 조건에서의 파일 시공을 위한 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545A (ko) 2013-10-30 2015-05-08 한림우드(주) 파일캡
KR20170006916A (ko) * 2015-07-10 2017-01-18 안대수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
KR101716797B1 (ko) * 2015-07-10 2017-03-16 안대수 건축파일두부 안전캡 겸용 파일항타용 쿠션재 고정구
KR101973577B1 (ko) * 2018-06-22 2019-07-22 비티이엔씨 주식회사 공삭공 시공 조건에서의 파일 시공을 위한 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
KR101958934B1 (ko) * 2018-09-28 2019-03-15 임전수 토목 공사용 흙막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70619B2 (en) Nose block assembly for rockbreaking apparatus
KR200214409Y1 (ko) 지반파일용 캡
CN210395067U (zh) 一种混凝土破碎机风镐的降噪除尘装置
JP4011880B2 (ja) 破砕装置および工具
JPH06504335A (ja) 岩石又は同様の材料を破断する方法
EP3207185B1 (en) A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steel pile in an impact pile driving device, an impact pile driving device, an impact pile driving machine, and a method for arranging the support of a steel pile in an impact pile driving device
KR20120050777A (ko) 편심 및 소음방지용 파일타격헤드
KR20100124165A (ko) 항타 피에이치씨 파일용 슈우
KR950011051B1 (ko) 선단분리형 강관말뚝과 항타에너지 전달부재 및 이들을 사용한 강관말뚝 시공방법
KR20050008599A (ko) 피에이치씨 파일의 볼트 체결식 조인트 슈
JPH08177050A (ja) 打撃ブロックから被打込み部材へ衝撃エネルギーを伝達する装置
CN113216184A (zh) 替打装置
JP3870146B2 (ja) 岩盤への杭打用杭とその杭打工法
JP5487266B2 (ja) 騒音低減型地下穿孔用のハンマードリル
KR200296429Y1 (ko) 콘크리트 말뚝 항타용 보조말뚝
KR200398428Y1 (ko) 관형 파일용 보조파일
CN219298203U (zh) 打地锚的施工装置
KR100895518B1 (ko) 보조항타공법의 파일두부보강용 보조항타캡
CN217629873U (zh) 桩基施工中破除既有预应力锚索的组件
WO1995008674A1 (en) Piling bell
KR101948887B1 (ko) 토사천공장치
KR20130015036A (ko) 피 에이치 씨 파일 휨 방지용 비트
KR200202179Y1 (ko) 쐐기 이탈 방지관
KR20250064788A (ko) 저 반발성 항타 파일캡
KR20250064790A (ko) 완충재를 구비한 항타 파일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9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9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6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1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